Gender politics and the monster-abject representation method of the posthuman age. - Focused on works by Kim Eon-hee and Han-Kang -

포스트휴먼 시대의 젠더정치와 괴물-비체의 재현방식 - 김언희와 한강의 작품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8.02.10
  • Accepted : 2018.03.01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Even in our modern era, the projection of monsters in the recent literature contains the critical imagination of human existence for the posthuman age. The meaning of the monster-abject, especially as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ic criticism, contains criticism of the violent and oppressive patriarch as observed in the modern time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gendered imagination of the discussions of the "abject" discussed by Julia Kristeva, and the "monstrous femine" discussed by Barbara Creed. Kim Eon-Hee's poems and Han Kang's novels, which have been examined extensively for analysis, show that the practical strategy of abject that goes beyond hate and sublime, wonder and joy through the imagination and concepts of monsters. The monster-abject strategy of Kim Eon-Hee's poem can be summarized by the narrative method of mirroring and the imagination of the truncated body. Mirroring falsification, which mimics the male speaker, is a method that some feminists strategically utilize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female aversion in recent years as noted in the literature. In Kim Eon-Hee's poem, "becoming a man" and "imitating a man," through the method of mirroring appear as an image of cutting to dismantle the body. In that way, the narrative strategy of the abject that draws out abominations and bizarre effects which contains a strong critique of the patriarchal dominant ideology. The monster-abject strategy of Han-Kang's novel is embodied through the being of plants and the process of vegetarian-anorexia process. The world of the adject which was oppressed in the Han-Kang's novel, returns to the senses of the body through the symbol of the body. It is noted that the fictional characters who realize the repressed desire through the pathological symptom expressed by the female, go on to body perform active transformation. The sense of a body in a novel is not only a rejection of the world of animalman-civilization, but also a radically questioning of the noted and recognized boundaries between human beings and non-human being entities. The two writer's works show that the imagination of the monster-adject is not limited to rejecting the existing gender categories, but also goes in the direction of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various associated gender actions.

최근 문학작품에 나타나는 괴물의 형상화는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 존재에 대한 비판적 상상력을 담고 있다. 특히 젠더적 시각에서 바라보는 괴물-비체의 문학적 재현은 근대적인 폭력과 억압적인 가부장 세계에 대한 여성 주체의 비판을 담고 있다. 본고는 김언희의 시와 한강의 소설을 중심으로 '비체'와 '괴물'의 문학적 재현이 지닌 젠더적인 상상력에 주목하고자 한다. 두 작가의 작품은 괴물-비체의 상상력을 통해 혐오와 숭고, 경이로움과 기형성을 넘나드는 실천적인 젠더 전략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김언희의 시가 보여주는 괴물-비체의 전략은 미러링의 서술화법과 절단된 신체의 상상력으로 요약될 수 있다. 남성 화자를 흉내내는 미러링의 발화법은 최근 여성혐오의 문제와 관련하여 일부 페미니스트들이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김언희의 시에서 미러링의 화법을 통한 '남성 되기' '남성 흉내내기'는 육체를 해체하는 절단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혐오와 기괴함을 끌어내는 비체의 서술 전략은 가부장적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한 강력한 비판을 담고 있다. 한강 소설이 보여주는 괴물-비체의 전략은 식물되기와 채식-거식의 과정을 통해 구체화된다. 한강 소설에서 억압되었던 비체의 세계는 신체의 상징을 통해 몸의 감각으로 귀환한다. 여성의 신체로 표현되는 병리적 증상을 통해 억눌린 욕망을 깨닫는 소설 인물들은 적극적인 변신을 감행한다. 소설에 나타난 신체의 감각과 변화는 단순히 동물-남성-문명의 세계를 거부하는 것뿐만 아니라 근본적으로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탐문하는 급진적인 물음을 지향한다. 두 작가의 작품은 괴물-비체의 상상력이 기존의 젠더 범주를 거부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젠더 실천을 수행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