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Is a Monster Narrative? Seven Fragmen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nster Narrative and a Catastrophic Narrative

괴물서사란 무엇인가? - 괴물서사에서 파국서사로 나아가기 위한 일곱 개의 단편 -

  • Received : 2018.02.10
  • Accepted : 2018.03.01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The concept of 'monsters' have become popular, again, in recent times. A number of 'monster narratives' that discuss monsters such as zombies, humanoids, viruses, extraterrestrials, and serial killers have been made and re-made in popular media. Noting such an interesting cultural context, this article attempts, first, to find out some essential prototypical elements of a monster narrative and, second, to relate it with a catastrophic narrative. Correspondingly, the word 'monster' has been used as a conceptual prototype category that denies universal and clear definition, which makes it a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and familiar subjects of the use of metaphor. The prototypical meanings of various monster figures can be converged on a certain creature of being in this way held out as bizarre, curious, and abnormal. The monster figure that surpasses existing normality is also connected to 'abjection,' such as something that is cast aside from the body such as the bodily functions seen in its associated blood, tears, vomit, excrement, or semen, and so on. Nevertheless, both the monster figure and abjection produce disgust and horror in the minds of ordinary spectators or readers of media using this metaphor to heighten excitement for the viewers. The abject characteristic of the monster figure also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posthuman figure, meaning to apply to a category of inhuman others who are held outside of the normal category of human beings. In the similar vein, it is natural that the most typical monster figures in our times are posthuman creatures embodied in such forms as seen with zombies, humanoids, cyborgs, robots, and so on. In short, the monster figure includes all of the creatures and beings that disarray normalized humanist categories and values. The monster narrative, in the same sense, is a type of story that tells about others outside modern, anthropocentric, male-centered, and Westernized categories of thought. It can be argued that a catastrophic narrative, a literary genre which depicts the world where a series of catastrophic events demolish the existing human civilization, ought to be seen as a typical modern-day monster narrative, because it also discounts and criticizes normalized humanist categories and values as is the result of the monster narrative. Going beyond the prevailing humanist realist narrative that are so familiar with existing values, the catastrophic narrative is not only a monster narrative per se, but also a monstrous narrative which disrupts and reinvents currently mainstream narratives and ways of thinking.

우리시대에 '괴물'은 다시 전성기를 맞고 있다. 좀비, 휴머노이드, 바이러스, 외계인, 연쇄살인범 등을 다루는 수많은 '괴물서사'들이 대중을 사로잡고 있다. 이 논문은 '괴물서사'가 도대체 무엇인지를 질문하면서 괴물서사의 양상들을 점검한다. 괴물이라는 단어는 유일하고 명확한 정의를 빠져나가는 하나의 개념적 원형범주로 사용되며, 그런 의미에서 '은유'로, 아마도 오늘날 가장 익숙한 은유 중 하나로 활용된다. 괴물이 정의를 빠져나가는 이유는 수많은 괴물 형상들을 공통적으로 묶는 요소가 '기이하다, 의심스럽다, 정상이 아니다'라는 추상적 의미일 뿐이기 때문이다. 정상성과 기준을 뛰어넘는 괴물이라는 존재는 몸에서 떨어져 나오고 배설된 것을 뜻하는 비체(abjection)와 통해있다. 혐오와 공포를 생산한다는 점에서 괴물과 비체는 서로를 참조한다. 이 비체적인 것은 인간 범주 바깥의 '다른 것들'(others)을 의미하는 포스트휴먼적인 것과 일맥상통한다. 인간주의가 확립한 경계를 무너뜨리는 포스트휴머니즘이 경계의 무너짐을 나타나는 괴물에 관심을 갖는 것은 이런 점에서 당연하다. 좀비, 휴머노이드, 사이보그, 로봇 등 포스트휴먼적 존재들은 오늘날 가장 대표적인 괴물의 표상들인 것이다. 요컨대 괴물은 인간적, 인간주의적 범주를 뒤흔드는 모든 존재들이고, 괴물서사는 근대적-인간중심적-남성중심적 범주 바깥의 타자에 대한 이야기들이다. 프로이트가 '낯설은 두려움'(Das Unheimliche)이라는 용어로 말하듯이, 괴물이라는 낯선 존재들은 사실 우리에게 원초적으로 낯익고 익숙했던 것들의 회귀이기도 하다. 괴물서사가 결국 인간주의를 뒤흔들고 비판하고 극복하는 서사라는 점에서 볼 때, 오늘날 괴물서사는 '파국서사'에서 가장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파국서사가 인류 현재 문명의 몰락과 그 이후 상황을 서술하는 이야기라고 할 때, 파국서사의 이야기들은 필연적으로 현재의 가치들을 회의하거나 재사유하거나 배제하는 경향을 보인다. 파국서사와 괴물서사는 공히 인간주의적 현재를 비판하면서 그 이후를 사유하며, 이는 오늘날 생태학의 가장 중요한 개념인 인류세와 자본세가 파국서사와 연관된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파국서사는 기존의 인간주의적 리얼리즘 서사를 넘어서는 곳에서 시작하고, 그런 점에서 그 자체로 괴물서사이며, 현재의 주요한 서사양식과 사유방식을 뒤흔든다는 점에서 괴물적 서사이기도 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