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ssociation between Resting Heart Rate and Colorectal Cancer Prevalence in Korean adul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5-2014

한국 성인의 안정시 심박수와 대장암 유병율의 관계: 국민건강 영양조사 2005년부터 2014년 자료를 바탕으로

  • Received : 2018.01.24
  • Accepted : 2018.03.29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resting heart rate (RHR) and the prevalence of colorectal cancer in Korean adults. A cross sec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to 2014). Total number of subjects were 10,564 adults aged over 19 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s in the highest quartile of RHR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colorectal cancer (Odds ratio (OR) 2.27, 95% confidence interval (CI): 1.34-3.85 to OR 3.00, 95%CI: 1.30-6.92) compared to those in the lowest quartile. Futhermore, every 10 beat per minutes (bpm) increase in RHR was associated with 27% (95%CI: 1.03-1.58) increased prevalence of colorectal cancer. In addition, after stratification by age and gender, the result showed that older people (>65 years) in the highest quartile of RHR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colorectal cancer compared to those who were in the lowest quartile of RHR. (male OR 3.19, 95%CI: 1.10-9.24 to OR 3.38, 95%CI: 1.18-9.73; female OR 2.90, 95%CI: 1.13-7.42 to OR 5.59, 95%CI: 1.20-25.99).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feasibility of RHR as a predictive factor of colorectal cancer prevalence. Moreover, we found that RHR was closely related to the prevalence of colorectal cancer in the age of over 65 years.

본 연구는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성인의 안정시 심박수와 대장암 유병율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데이터는 국민건강 영양조사 2005년부터 2014년 자료를 통합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 총 10,564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안정시 심박수가 가장 높은 그룹은 안정시 심박수가 가장 낮은 그룹에 비해 대장암 유병율이 2.27배 (95%CI: 1.34-3.85) ~ 3배 (95%CI: 1.30-6.92)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정시 심박수가 10 회/분 (beat per minutes)씩 증가할수록 대장암 유병율은 1.27배 (95%CI; 1.03-1.5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5세를 기준으로 연령과 성별을 층화하여 분석한 결과, 65세 이상에서 안정시 심박수가 가장 높은 그룹은 안정시 심박수가 가장 낮은 그룹에 비해 남자는 3.19배 (95%CI: 1.10-9.24) ~ 3.38배 (95%CI: 1.18-9.73), 여자는 2.90배 (95%CI: 1.13-7.42) ~ 5.59배 (95%CI: 1.20-25.99) 대장암 유병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장암 유병율 예측 인자로써 안정시 심박수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65세 이상의 연령이 65세 미만 연령에 비해 안정시 심박수가 대장암 유병율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15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 연구 재단 (NRF-2015S1A5B8036349), 2016년 (NRF-2016H1A2A1908388)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