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lderly's User Experience by Using Virtual Reality

가상현실 기기를 활용한 고령자 사용자 경험에 관한 연구

  • Lee, Jong-Sik (Department of Interaction Science,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Kang-Nyeon (Department of Interaction Science, Sungkyunkwan University)
  • 이종식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
  • 이강년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 Received : 2018.04.12
  • Accepted : 2018.06.08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elderly people's use and experience of Virtual Reality (VR) in order to enhance their quality of life. Leisure is main activity of the elderly. As a result, the quality and diversity of leisure affects the quality of the elderly people's life. VR services including video contents could provide them with advanced and interesting experiences. Across the world, population aging become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in each society. The social and economic burden of aging is serious challenge to sustainability welfare of the world, including S. Korea. The authors used virtual reality devices to conduct experiments on 99 aged 50 to 90 (men's average age : 75 and women's average age : 70.8). Through the survey, major variants were measured such as system quality, present sense, enjoyment, intent to reuse, and awareness of advanced technolog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ith the presence as a dependent variable resulted in a sense of closeness (t = 5.381, p <. 01) and a sense of clarity (t = 4.494, p <. 01). The presence of an independent varia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pleasure (t = 4.312, p <. 01) an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nt to reuse (t = 3.323,).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higher the sense of existence, the more pleasure and the intent to reuse it.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using VR devices and content to enjoy leisure activities can be found in this study even if the elderly group is unfamiliar with IT devices.

본 연구는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기 및 콘텐츠를 활용하고 체험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여가 활동은 일자리가 없는 고령자의 주된 활동이다. 결과적으로, 여가 활동의 다양성과 질이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동영상 콘텐츠를 포함한 가상현실 서비스는 고령자들에게 발전되고 흥미로운 경험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전세계에 걸쳐, 인구 고령화는 각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들 중 하나가 되었다.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부담은 한국을 포함해 세계의 지속가능성에 심각한 도전이 되고 있다. 저자들은 고령 피험자(50세부터 90세까지)를 대상으로 VR의 사용을 연구한다. 본 실험에서 저자들은 시스템 품질, 인터페이스 품질, 현존감, 즐거움, 재이용 의도, 첨단과학기술 인식을 포함한 요인들을 연구하고 측정한다. 회귀분석에서 근접감(t=5.381, p<.01)과 선명감(t=4.494, p<.01)은 VR의 현존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VR의 현존감(설명 변수)은 즐거움(t-4.312, p<.01)과 재이용 의도(t=3.323, p<.01)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고령 피험자는 VR에서 현존감을 더 느낄수록, 더욱 높은 즐거움과 재이용 의도를 느낀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새로운 과학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도 가상현실 서비스를 이용해 여가 활동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한국연구재단의 과학기술인문융합 연구사업으로 과제번호 2017M3C1B6052272 로 학술연구 조성비를 지원 받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