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home punishment, school punishment, stress, school refusal of elementary schoolers

초등학생의 등교거부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체벌, 학교체벌, 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Received : 2018.10.25
  • Accepted : 2018.12.27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fluences of home punishment, school punishment, stress on school refusal of elementary schoolers. For this, the data using the maternal 'Korean Survey on the Rights of Youth and Children in 2013'. Data for the analysis was limited to the analysis objects who made sincere replies on the major variables, and 2,894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object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stress had a direct impact on school refusal, and home punishment, school punishment has a direct impact on stress. In particular, home punishment was having a higher impact on stress than school punishment. Also home punishment and school punishment stress-mediated have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refusal. Thes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truancy and school refusal should be addressed to educational, social, legal issues by family, school, community. Therefore, it suggests the need for close cooperation of home and school.

Keywords

References

  1. 강희라 (2005). 실업계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경향신문(2015. 8. 7). 일본 등교거부 증가... '대안 찾기' 다양화.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교육통계연보. 367-380.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김명희 (2002). 초등학생의 체벌경험, 학교스트레스, 학교부적응 행동의 관계.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양은 (1999). Gestalt 집단상담이 등교거부경향성을 지닌 여고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선희 (2006). 체벌행동과 애착안정성 및 아동 부적응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혜선 (1995). 체벌에 관한 교육학적 검토. 교육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제 29호.
  8. 남억우, 박준희, 백현기, 서명원, 정우현, 함종규 (2002). 최신 교육학대사전. 서울: 교육과학사
  9. 문금순 (1992).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느끼는 스트레스 수준과 자아개념과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백운학 (1981).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등교거부 경향에 대한 요인분석. 학생연구, 12(1), 33-60.
  11. 소현, 정영숙 (2003).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증산간의 관계. 한국학교보건학회지, 권(호), 페이지.
  12. 안명운 (2007). 체벌에 관한 교사.학생.학부모의 인식 분석-군산소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안보경 (2001). 체벌에 대한 반응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강릉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여선미 (2013). 고등학생이 지각한 학교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이 등교거부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수경 (2004). 학교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수희 (2007). 체벌의 쟁점분석 연구: 체벌의 문제점과 대처방안을 중심으로.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은주 (1998).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 청소년 연구, 28, 115-137.
  18. 윤신일 (2009). 교사체벌과 중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법, 충동성 및 자존감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장희정 (2005). 체벌에 대한신념과 양육 스트레스가 체벌행동을 매개로 아동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정원주 (1992). 어머니가 행하는 벌의 유형과 벌에 대한 아동의 지각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21. 조아미 (2001). 강남구 청소년의 등교거부와 학교중퇴 현상에 관한 연구, 학원폭력신고센터 개원 5주년 세미나: 늘어나는 청소년 등교거부, 어떻게 해야하나. 7-31.
  22. 조훈이 (2010). 개인의 심리적 환경이 초등학생 고학년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서울특별시교육청 (2010). 체벌 없는 평화로운 학교 만들기 기본계획
  24. 교육과학기술부 (2011). 학교문화선진화방안
  25. 한지숙 (1995). 체벌에 대한 아동과 어머니의 지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현정희 (2008). 부모의 체벌에 따른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방법, 충동성 및 자존감의 차이.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Atkinson, L., Quarrington, B., & Cyr, J. J. (1985). School refusal: the heterogeneity of a concept. Journal of orthopsychiatry, 55, 83-101. https://doi.org/10.1111/j.1939-0025.1985.tb03423.x
  28.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es: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 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9. Blagg, N. (1987). School phobia and its treatment. London, Croom Helm.
  30. Broadwin, I. T. (1932). A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truancy. Journal of orthopsychiatry, 2, 253-259. https://doi.org/10.1111/j.1939-0025.1932.tb05183.x
  31. Buitelaar J. K, van Andel H, Duyx J. H, van Strien D. C. (1994).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in adolescence: a follow-up study of adolescents with school refusal. Acta Paedopsychiatr, 56, 249-53.
  32. Crick, N. R, (1997). Engagement in gender normative versus nonnormative forms of aggression: Links to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33, 610-617. https://doi.org/10.1037/0012-1649.33.4.610
  33. Crouch, J. L., & Behl, L. E. (2001).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beliefs in corporal punishment, reported stress, and physical child abuse potential. Child abuse & neglect, 25, 413-419. https://doi.org/10.1016/S0145-2134(00)00256-8
  34. Gershoff. (2002). Corporal punushment by parents and associated child behaviors and experences. A meta-analytic and theoretical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28(4), 539-579. https://doi.org/10.1037/0033-2909.128.4.539
  35. Hersov, L. (1960). Persistent non-attendance at school. Journal of Child Psychol Psychiat, 1, 130-136. https://doi.org/10.1111/j.1469-7610.1960.tb01987.x
  36. Kearney, C. A. (2002). Identifying the function of school refusal behavior: a revision of the school refusal assessment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4(4), 235-244. https://doi.org/10.1023/A:1020774932043
  37. Kearney, C. A. (2006).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chool refusal assessment scale-revised: child and parent version.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8(3), 139-144. https://doi.org/10.1007/s10862-005-9005-6
  38. Mackinnon, D. P., Lockwood, C. M., Hoffman, J. M., West, S. G. & Sheets, V. (2002).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Mediation and Other intervening Variable Effects. Psychol Methods, 7(1), 83-104. https://doi.org/10.1037/1082-989X.7.1.83
  39. Socolar, R. R. S., & Stein, E. K. (1995). Spanking infants and toddlers: Maternal belief and practice. Pediatrics, 95(1), 105-111.
  40. Straus, M. A. (1997). Spanking by parents and subsequent antisocial behavior of children.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1(8), 761-767. https://doi.org/10.1001/archpedi.1997.0217045001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