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호・경비 용어의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ecurity Terminology

  • 김홍성 (경기대학교 대학원 경호보안학과)
  • 투고 : 2018.10.15
  • 심사 : 2018.12.10
  • 발행 : 2018.12.31

초록

우리는 현재 경호(警護) 경비(警備)에 관한 용어를 사용함에 있어 오랜 시간 외국의 단어와 어휘를 그대로 인용, 사용하여 왔다. 자국의 언어가 분명 존재하는 데도 불구하고 외국의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그 의미의 전달 면에서 외국적 색체가 짙고, 또한 경호경비의 진정한 뜻과 의미를 미약하게 만들고 있다. 확실하고 뚜렷한 의미의 순수한 우리말로서 독립적으로 표현된 용어가 없을 뿐 더러 그것을 찾는 일을 게을리 하여 외국어를 그대로 수용 사용하고 있음은 우리말의 적절한 경호경비에 관한 용어 선택의 부재(不在)를 불러오게 하였다. 현재 경호경비를 '보안(保安), security'로 포괄적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고유의 말(한글)에도 경호경비의 뜻과 의미에 부합하는 적절한 단어가 있음에도 영어표기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용어의 적절성 여부와 상관없이 편의상 사용되고 있다는 점과, 세계화의 흐름 속에 영어권의 힘이 컸기 때문에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도 영어를 생각 없이 쓰는 일이 잦아졌으며, 영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발달한 문명이나 문화를 누린다고 생각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는 곧 우리 국어에 대한 자각이 부족해서 이다. 이러한 실태를 전제로 경호경비의 용어를 순수한 우리말로 찾는 작업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지금껏 우리는 경계하고 보호하고, 지킨다는 뜻의 용어로 "경호경비, 시큐리티'(Security), guard, protect라는 용어를 사용해 왔다. 경계하고, 지킨다는 의미의 용어로 우리말의 '지킴'이 있다. 지킴은 현재의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는 작용을 말한다. 안전한 상태로의 유지를 위해서는 여러 위해로부터 예방과 경계와 보호가 우선되어야 한다. 학교지킴이, 아동안전지킴이, 환경지킴이, 생활 안전지킴 등등처럼 경계하고 보호함을 뜻하는 '지킴'은 이미 여러 곳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여기에서 지키는 사람을 '지킴이' 라 한다. '지킴이' 란 '지킴' 이라는 단어에 '사람'을 의미하는 우리말 접미사 '이'를 합친 단어다. '지킴'은 감시의 의미와 보존의 의미를 동시에 내포한다. '지킴' 용어와 같이 실효성 있는 용어의 사용 및 현실과 부합된 정서적 용어가 필요하다. 따라서 경호 경비의 용어를 적절한 우리말의 용어로 바꾸었을 때 그 의미와 여러 조건에 모두 부합하는 '지킴' 이란 용어가 적당하다 판단된다.

we have long used foreign words in using the term for guard security despite the obvious existence of own language, the use of foreign terms is strong in foreign feeling in delivery. and also weakens the true meaning of security. there are no terms expressed independently in korean, and we(they) are negligent in finding them and use the terms of foreign language. as a result, we(they) brought about a lack of choice in terms of proper security for our langage. currenty, it is widely used as a security guard even though there is an appropraite word that corresponds to the meaning and meaning of security guards in our words, we still use enlish expressions. there is because the English language is used for convenience regardless of weather the term is appropraite or not, and as the power of the English language is great amid in the trend of globalization. lt is easy to use english without thinking in terms of the use of terminology. ultimitely, however, this is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korean language. with these reasons, we must find the term of security guards in pure korean language. until now, we have used the terms 'guard, security, protect' as the terms security and protection the term 'Jikim' refers to the korean language as a means to be vigilant and guarded. Jikim refers to the action of maintaining the current safe state. Like school jikimi, children safety jikimi and environment jikimi, Jikim is already being used in many places. Therefore, the term 'guard' should be changed to an appropriate Korean term, and the term 'Jikim'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term in various sections. so, 'Jikim' will be appropriate in korean, which corresponds to the meaning of security guards. the guardian here is called the Jikimi. Jikimi is a combination of the word Jikim and the korean pronounce 'I' which means people

키워드

참고문헌

  1. 경찰청 (2009). 경찰백서. 서울: 경찰청.
  2. 김상호, 김형만, 신현기, 이영남, 이종화, 이진권, 임준태, 전돈수, 표창원 (2004). 경찰학개론. 경기: 법문사.
  3. 김성언 (2004). 민간경비의 성장과 함의 : 치안활동의 선지유주의적 재편과 계약적 통치의 등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정환, 서진석 (2009). 한국경비산업발전사. 서울: 백산출판사.
  5. 김지영 (2005). 조선후기 국왕 행차에 대한 연구: 의궤빈차도와 거동기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창호 (2006). 한국경호발달사. 서울: 백산출판사.
  7. 김태민 (2013). 민간경비산업의 실효적 법개정 사안. 한국치안행정논집, 10(1), 123-144.
  8. 남택승 (2011). 국어 의식 향상 방안 연구: 외래어, 외국어 사용 문제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대법원 (1970.9.17). 선고 70도 1391판결.
  10. 법제처 (2009). 13-14.
  11. 서진석 (2004). 민간경비론. 서울: 백산출판사.
  12. 신명호 (2001). 조선후기 국왕 행행시 국정운영체계, '원행을묘정리의궤' 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보, 17, 111-139.
  13. 안영규 (2008). 경찰과 민간경비의 협력방안.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안황권 (2009). 민간경비학. 인천: 진영사.
  15. 유선목 (2017). 경호경비분야 경호무도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방섭 (2010). 조선 정조대 장용영의 운영 실태.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왕무 (2007). 조선후기 국왕의 능행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8. 이윤근 (1989). 한국 사경비 발전 방안에 관한 조사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이창무 (2009). 민간경비 용어의 수정 필요성에 관한 고찰.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8, 204-226.
  20. 장철원 (2003). 한국경호제도 변천사.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정도익 (2007). 우리나라 민간경비교육 훈련의 실태분석과 개선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정청주 (1983). 조선초기의 별시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최선우 (2008). 민간경비론. 인천: 진영사.
  24. 최은하, 김나리, 유영재 (2017). 현행 '경비업법'상 경비개념의 경비업무 해석의 한계 및 민간보안산업 관련 입법의 제.개정 방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50, 33-57.
  25.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경기: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