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Critical Facilities Protection Personnel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Government Policy of the Temporary Position into Permanent Position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정책기조 변화에 따른국가중요시설 방호인력체계 개편 방안

  • 신형석 (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본부 청사보안기획과)
  • Received : 2018.11.09
  • Accepted : 2018.12.03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In order to reflect the Changes in this government's policy of making Temporary Position employees into the Public sector permanent, special security guards from Private Security firms in the National Critical Facilities protection Position are moving forward transformation to Permanent Position. Especially, the organization of the protection personnel of the National Government Buildings designated as the National Critical Facilities is comprised of various types of security personnels, protective officer, special security guards from Private Security firms, Private police guards, police officers and these types of security personnels protect for the Government Buildings. Recently, The Government Security planning division is discussing various types of transformation, Special Security guards are employed directly by the Government in order to convert them into Permanent position, Special Security guards are employed directly through a establishment of Public Security corporation, protective officers are hired by the Government, Self-guards are hired directly by the Government, Private police guards are employed directly by the Government. In order to reflect the Changes the Government policy of making Temporary position employees into the Permanent, the Special Security Guards from Private Security Firms in the National Critical Facility's protection environment, protective personnels operation characteristic under various circumstances.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making Special Security Guards to Permanent position, it is necessary to take precedence over the various opinions of Special Security Guards and stakeholder.

현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라는 정책기조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현재 국가중요시설에서 시설방호 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경비업체 소속 특수경비원의 정규직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국가중요시설로 지정되어 있는 주요 정부청사의 방호인력 구성은 방호직렬 공무원으로 구성된 방호관, 경비업체 소속의 특수경비원, 청원경찰, 경찰로 구성된 청사경비대 등 다양한 형태의 방호인력에 의해 방호직무가 수행되고 있다. 정규직 전환을 위해 국가중요시설에서 방호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특수경비원의 직접고용을 위한 방식으로 특수경비원을 직접 고용하는 형태, 공단 설립을 통해 직접 고용하는 형태, 방호관(공무원)으로 신규 채용하는 형태, 자체경비원으로 직접 고용하는 형태, 청원경찰로 직접 고용하는 형태 등의 다양한 전환 방식이 논의되고 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정책기조 반영을 위해, 국가중요시설에서 방호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경비업체 소속 특수경비원을 직접고용으로 전환하는 방식은 개별 국가중요시설의 방호 환경, 방호인력운영 특성 등 여러 사정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진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특수경비원의 정규직화 진행과정에서는 전환대상자인 특수경비원, 이해관계자들의 다양한 의견수렴이 반드시 선행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찰청 (2015). 청원경찰 채용제도 개선 계획(안).
  2. 경찰청 (2016). 2015 경찰통계연보.
  3. 경찰청 (2017). 청원경찰 FAQ 모음집.
  4. 경찰청 (2018). 2018 경찰백서.
  5. 고용노동부 (2016). 공공부문 비정규직 실태조사.
  6. 공배완 (2010). 민간경비의 직무에 관한 청원경찰법상 제도와 경비업법상 특수경비제도 비교 연구. 법학연구, 38, 325-347.
  7. 관계부처합동 보도자료, 2017.7.20.
  8. 국민권익위원회 (2015). 청원경찰 채용.복무관리의 합리성 제고 방안.
  9. 김영식, 이성용 (2017). 청원경찰 채용제도의 입법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찰법연구 15(1), 107-130.
  10. 김용근, 한승훈 (2015). 청원경찰의 경찰관 직무집행법 수행에 관한 고찰. 인문사회21, 6(3), 199-222.
  11. 문무기 (2010). 특별한 신분을 가진 근로자의 노동기본권. 노동판례리뷰, 6, 256-282.
  12. 이석만, 이주락 (2017). 카지노 시큐리티 종사원의 직무만족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53, 161-187.
  13. 이성용 (2006). 고권적 권한수탁을 통한 사인의 치안활동. 경찰학연구, 6(3), 104-124.
  14. 이승길 (2010). 특수경비원의 쟁의행위 금지에 관한 연구. 노동법논총, 18, 253-295.
  15. 정영훈 (2017). 직접고용원칙의 헌법적 근거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 20(1), 237-268.
  16. 정홍준, 노성철, 김정훈 (2018). 공공부문 민간위탁의 직접고용과 고용관계 성과. 노동정책연구, 18(3), 107-137.
  17. 조성구, 이주락 (2011). 법원경비관리대의 개선과제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안전학회지, 7(1), 137-160.
  18. 최연준 (2017). 국가중요시설의 물리보안 수준과 보안정책 준수의지가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