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untermeasure against Trauma and PTSD of Police Officers -Focused on In-depth Interview with Targets-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외상(Trauma)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대상자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 강길주 (한세대학교 대학원 경찰학) ;
  • 이상열 (중원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Received : 2018.07.30
  • Accepted : 2018.08.22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sychological welfare promotion method of police officers who experience trauma and PTSD due to police activity in local community while handling various accidents and protecting civil life and safety at the forefront of the national disaster accident site. For this objective, following countermeasure was presented through trauma/PTSD-related literature and in-depth interview with police officers who experienced trauma and PTSD. First, psychological examination is required to be performed positively and realistically for the police officers. As police officers have high emotional labor stress not only by physical burden but also by civil service, a regular psychological examination shall be established systematically together with physical rest. Second, proper action for the regular psychological examination result of the police officers is required. Third, a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for the police officers is required to be established and for this objective, expansion of police-operated mindful accompanying center and its devoted operation are required to be performed. Fourth, an opportunity of getting rid of stress of police officers shall be provided and for this objective, required budget for activating club activity is required to be allocated and activity condition should be created.

본 연구는 매일 발생하는 각종 사건 사고 처리와 국가적 재난사고 현장의 최일선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지역사회경찰활동으로 인해 심리적 외상(Trauma)과 외상 후 스트레스(PTSD)를 경험하는 경찰관의 심리적 복지 향상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Trauma 및 PTSD 관련 문헌연구와 Trauma 및 PTSD를 경험한 경찰공무원을 심층면담을 통해 다음과 같은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경찰공무원을 위한 심리검사가 적극적이고 실질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경찰공무원은 체력적인 부담뿐만 아니라 대민서비스로 인한 감정노동 스트레스도 높기 때문에 육체적인 휴식과 더불어 정기적인 심리검사가 제도적으로 확립되어야 한다. 둘째, 경찰공무원을 위한 정기적인 심리검사와 결과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셋째, 경찰공무원의 심리지원을 위한 제도가 정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경찰 마음동행센터의 확대와 내실 있는 운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 해소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동호회를 활성화하도록 지원예산을 편성하고 활동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태 (2017). 경찰 마음동행센터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경찰연구, 16(4), 52-66.
  2. 김윤권, 지규원 (2010). 직무특성을 반영한 경찰 보수체계 개선방안 연구. 행정논총, 48(1), 140-170.
  3. 김종길 (2012).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14(5), 31-54.
  4. 박재풍 (2016). 경찰 트라우마센터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18(2), 71-98.
  5. 변영석 외 (2015). 경찰공무원의 한국판 사건 충격 척도로 평가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및 관련 요인. 제55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자료집.
  6. 송해영 (2015). 경찰공무원의 외상성사건 경험에 의한 트라우마 및 스트레스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아주대학교 (2008). 소방공무원 외상후 스트레스 실태 분석 연구. 소방방재청 연구보고서.
  8. 유재두 (2013). 외상 경험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 대처형태와 PTSD와의 관계연구. 한국경찰학회보, 15(1), 187-199.
  9. 이근무, 김진숙 (2010). 자살자 가족들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2(2), 109-134.
  10. 이상열 (2005). 한국 경찰공무원의 삶의 질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후생복지제도를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4(2), 49-77.
  11. 이옥정, 지영환 (2010). 경찰의 직무스트레스 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외근 경찰관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 분석. 한국경찰학회보, 12(4), 173-203.
  12. 이정현 외 (2015). 경찰공무원에서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기질 및 성격 특성의 관계. 대한불안의학회지, 11(1), 61-68.
  13. 이지영, 임재호, 서수연 (2017). 경찰공무원 정신건강 실태 및 정책 개선방안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6(3), 165-172.
  14. 이진숙 (2013). 트라우마에 대한 소고. 여성연구논집, 24, 175-190.
  15. 최미영, 문태영 (2015). 응급현장 출동 공무원의 외상성 사건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협회 춘계 학술대회발표논문집.
  16. 한보람, 김정규 (2014). 경찰공무원의 외상성 사건과 PTSD 증상 및 우울의 관계: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33(3), 531-548.
  17. Clair, M. E.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incidents, hostility and PTSD symptoms in police officer. Doctoral dissertation, Drexel University.
  18. Green, B. (2004).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UK Police Officer. Current Medical Research and Opinion, 20(1), 101-105. https://doi.org/10.1185/030079903125002748
  19. Markus, H. S., Hunt, B., Palmer, P., Enzinger, C., Schmidt, H., & Schmidt, R. (2005). Markers of endothelial and haemostatic activation and progression of cerebral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longitudinal results of the Austrain Stroke Prevention Study. Stroke, 36, 1410-1414. https://doi.org/10.1161/01.STR.0000169924.60783.d4
  20. Stephens, C., & Long, N. (2000). Communication with police supervisors and peers as a buffer of work-related raumatic stres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