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가구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5초

소표본 통계단위에서의 집세 변동률 추정

  • 박원란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3-68
    • /
    • 2003
  • 도시가구의 지출 중 집세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며 그 변동에 따라 도시가구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도 커서 중요한 통계자료로 인식되고 있다. 집세 계약기간이 통상 2년 단위이기 때문에 집세변동의 발생빈도가 적어서 이러한 소표본 군의 통계단위로 일반적인 집세지수를 작성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렇다고 해서 소표본 군의 표본을 확대하는 것도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산술적인 표본확대가 어려운 소표본 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지역 추정법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소표본 통계단위에서의 집세 변동률 추정방법을 경기도 지역의 6개 도시에서의 집세변동을 추정하는데 적용하였으며 검토해 보았다.

  • PDF

소가구 증가에 대응한 공동주택지 지구단위계획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strict Unit Plan in Apartment Housing with the Increase of 1~2 person Households)

  • 윤정중;최상희
    • 지역연구
    • /
    • 제34권3호
    • /
    • pp.29-42
    • /
    • 2018
  • 우리 사회의 인구성장이 둔화되고 가구형태도 1~2인의 소가구가 53.3%로 과반을 넘고 있어 향후 이를 주거단지에서 어떻게 계획으로 수용하여 적절한 주거공간을 만들어갈지가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가구화 증가 추이에 대해 기존의 지구단위계획이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소가구화에 대응한 향후 지구단위계획의 요소별 개선방안과 적용성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6개 주거단지를 대상으로 소가구와 관련한 지구단위계획의 지침과 내용을 분석하고 문헌고찰 및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1인 가구 증가에 대응하여 다양한 주거유형의 지구단위계획상 반영이 필요한 사항들을 제안하고, 소형공동주택, 쉐어하우스, 독신자전용주거 등 1인 가구 주택특성에 맞는 가구 획지, 건축물 배치, 건축물 형태 및 외관 등과 관련한 계획요소도 제시하였다. 또한 무인택배시설, 게스트하우스 등 부대복리시설의 도입, 유치원 등 수요가 낮은 부대복리시설의 재검토 등 1인 가구 거주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계획요소와 방안들은 향후 공동주택의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과 운영기준 등을 작성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소가구(小家口)를 위한 욕실 디자인 경향 (A Study on Bathroom Design for Small Households)

  • 신인철;최경란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8-103
    • /
    • 2013
  • Households of today tend to gradually change from a large household to a small one. The tendency starts from urban concentration of population with modern industrial society. Small-sized households have rapidly increased with the following three reasons: (i) one-person households with aging society, (ii) individualistic pursuit of happiness, and (iii) emergence of single households due to high prices and a decline in the quality of life. With these social changes, various products for small-sized households have been created and there have also been changes in dwelling patterns with small-size housing and one rooms increasing. Current small-sized living space has combined space of a living room, a bedroom and a kitchen, which makes a house compositive space. A bathroom, however, requires a differentiated suggestion from existing one since it is special space where water is used. Based on this issue,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bathrooms in small-sized living space.

  • PDF

한국인의 식이성섬유소 섭취량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ietary Fiber Intake of Korean)

  • 이규한;박미아;김을상;문현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67-773
    • /
    • 1994
  • 1989년도 국민영양조사의 식품섭취조사에서 조사된 전국규모의 자료를 중심으로총 566종의 식품에 대해 식이성섬유소 분석치를 적용하여 그 섭취량을 분석한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이성섬유소의 섭취량은 전국이 17.53g, 도시평균이 17.91g, 대도시가 18.07g, 중소도시가 17.56g, 농촌이 16.61g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95% 정도를 식물성 식품으로 부터 섭취하고 있었다. 식품군별 식이성섬유소 섭취의 기여도는 채소류>곡류 및 그 제품>해조류>과실류>버섯류>두류 및 그 제품의 순이었다. 곡류 및 그 제품에서 가장 중요한 급원은 쌀로 전국평균이 12.2%였으며, 그 다음이 라면, 식빵, 보리쌀의 순이었으며, 해조류에서 가장 중요한 급원은 미역이었고, 그 다음이 김과 파래였다. 과실류에서는 사과와 감이 버섯류에서는 느타리버섯과 표고버섯이, 두류에서는 콩나물이 식이성섬유소의 중요한 급원이었다. 채소류는 식이성섬유소의 가장 중요한 급원으로, 전국의 경우 32.4%, 도시평균은 31.4%, 대소시에서는 30.8%, 중소도시에서는 33.0%, 농촌에서는 34.8%를 차지하였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급원은 배추김치와 붉은 고추가 1, 2위를 차지하였다. 전국적으로 식이성섬유소 섭취량 분포를 보면 도수분포(Frequency distribution)의 계급구간을 5g으로 섭취하는 가구로 33.9%를 차지하엿고, 5g 이하나 35g 이상 섭취하는 가구도 0.8%와 5.2%를 나타내었다.

  • PDF

자연정화공법에 의한 농촌 전원 독립가구 하수처리장치 개발 (Development of Sewage Treatment Apparatus for Detached House in Agricultural Village by Natural Purification Method)

  • 서동철;박미령;김형준;조인재;이홍재;성성진;조주식;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02-210
    • /
    • 2006
  • 자연정화공법에 의한 농촌 전원 독립가구 하수처리공법 개발을 위하여 호기성조와 혐기성조가 분리된 소형 하수처리 장치에서 혐기성조 위에 호기성조를 포갠 일체형으로 공법을 개선한 소형 하수처리장치를 설계 및 시공하여 하수처리공법별, 하수 부하량 및 하수 주입방법에 따른 수처리 효율을 조사하였다. 소형 하수처리장치의 최적공법은 호기-무산소-혐기조건이었으며, 최적여재는 쇄석이었고, 최적 하수 부하량은 $1,200L/m^3{\cdot}day$이었다. 이러한 조건에서 농촌 전윈 독립가구에서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하수에 대한 대응성을 조사하기 위해 하수 주입방법에 따른 하수처리효율을 조사한 결과 농촌 전원 독립가구 하수처리공법으로 개발된 호기-무산소-혐기조건인 소형 하수처리장치는 실제 농촌 전원독립가구에서 간헐적으로 발생되는 하수에 그대로 적용하더라도 현행 방류수 수질기준인 BOD 20 mg/L, COD 40 mg/L, SS 20 mg/L, T-N 60 mg/L 및 T-P 8 mg/L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방류수 수질기준이 앞으로 BOD 10 mg/L, T-N 20 mg/L 및 T-P 2 mg/L로 강화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처리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농촌 전원 독립가구 하수처리공법으로 개발한 호기-무산소-혐기조건인 소형 하수처리장치는 BOD 99%, COD 95%, SS 99%, T-N 83% 및 T-P 96%초 질소 처리효율을 호기성조와 혐기성조가 분리된 소형 하수처리장치에 비해 17%정도 향상시켰으며, 모든 조가 일체형이므로 부지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공법은 자연정화공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므로 농촌 전원 독립가구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방사성탄소연대 위글매칭에 의한 순천 송광사 불패의 연대측정 (Wiggle Matching Radiocarbon Dates of a Buddhist Wooden Tablet (Bulpae) at Songkwangsa Temple, Suncheon, Korea)

  • 연정아;박원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5-60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ate a Buddhist wooden Tablet (No. 271) at Songkwangsa Temple, Suncheon, Korea, using wiggle matching of radiocarbon dates. For wiggle matching, three samples (2nd, 16th and 34~35th rings from inner side) in the pedestal of the Tablet were selected among total of 37 tree rings. Wiggle matching the radiocarbon dates of three samples resulted in A.D. 1660~1679 (95.4% confidence interval) for the outermost ring. This interval suggested the age of this tablet as the late 17th century, which was almost at the same age as other early Buddhist tablets in Korea.

  • PDF

원주 구룡사 소통(疎筒)의 수종 및 방사성탄소연대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and Radiocarbon Dating of a Container for Written Prayers, Sotong, from Guryongsa Temple in Wonju)

  • 김요정;박원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2-78
    • /
    • 201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species of a wooden container for written prayers, Sotong, from Guryongsa Temple in Wonju, which is currently stored in the Museum of Woljeongsa, and to date it using wiggle matching of radiocarbon dates. It was made exclusively of basswood, Tilia spp. Wiggle matching the radiocarbon dates of three rings resulted in A.D. 1670 to 1691 (${\pm}2{\sigma}$) for the outermost ring. This interval suggested the age of 'Guryongsa Sotong' as the late $17^{th}$ or early $18^{th}$ century, which became a first date on 'Sotong' in Korea.

  • PDF

독일 산업·기술문화재 한자 코크스 제조소 재생사례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cedents for Industrial/Technological Cultural Properties of the Hansa Coking Plant)

  • 김홍기;박창호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9-68
    • /
    • 2016
  • The Industrial/Technological Cultural Properties are being protected, the rest facing with demolition and damages. In order to better cope with such situation, Korea has officially introduced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System since 2001 and began acknowledging the historical values of industrial buildings as modern cultural properties. In the Nordrhein-Westfalen, Germany, there are approximately 3,500 industrial buildings under the cultural asset protection and management not only in the Ruhr-region but also state-wide. Among these, this case study focuses on the Hansa Coking Plant, a large-scale Revitalization project to rehabilitate the old industrial complexes and facility buildings that have been shut down on December 15, 1992.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ain project plans of each facility in the Hansa Coking Plant and to bring out the main features of the plans, so that they can be utilized to find suggestions for Industrial/Technological Cultural Properties Revitalization in Korea.

한국 전통 목가구의 문화적 함의 (Cultural Implications of Korean Traditional Woodcraft Furniture)

  • 이춘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59-274
    • /
    • 2013
  • 19세기 이후에 문화의 개념은 좋고 나쁨의 차별적 개념이 아니라, 한 집단의 삶의 방식이 다른 것과 구별되는 행동 양식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문화는 이미 우리 생활에 깊숙이 배어있으며, 목가구도 생활이고 문화이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 시대 전통 목가구에는 선조들의 어떤 문화가 스며들어 있는지 탐구하고 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 전통 목가구에 스며있는 문화적 함의를 탐구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에 해당하는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가옥 구조 문화가 전통 목가구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 2) 실내 공간 문화가 전통 목가구에 어떻게 투영되었는가? 3) 생활 양식 문화가 전통 목가구에 어떻게 투영되었는가? 4) 오늘날의 현대 생활 문화와 전통 목가구는 어떤 조화를 이루고 있는가?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선시대 목가구와 관련된 문헌 자료를 집중 탐구하였으며, 중요무형문화재 소목장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옥 구조 문화의 측면에서, 좁은 실내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목가구를 벽에 붙이고, 눈높이 맞는 가구를 만들어 전면 조형의 미를 추구하였다. 둘째, 온돌 문화의 측면에서, 낮은 가구들을 벽에 붙여 사용하였으며, 열과 습도의 대류 현상을 반영하여 가구의 다리는 풍혈구조로 반영되어 독특한 구조를 하고 있다. 셋째, 생활양식 문화의 측면에서, 평좌식 문화의 영향으로 안방의 모든 가구는 앉아있는 눈높이에 맞추어 그 크기와 높이와 비례로 짜여져 있고, 좌식형으로 정면이 시야에 들어오는 상자형 가구로 반영되었다. 또한 목가구의 장식에 사용되는 문양은 자연물과 수복강령을 기원하는 형태이며, 마감에 자연미를 극대화하여 표현되었다. 마지막으로, 현대 생활 문화의 측면에서, 전통 목가구를 어느 공간이나 장소에 두더라도 옆에 놓여 있는 가구를 억누르거나 하지 않고, 본래 그 자리에 있었던 것처럼 존재감을 드러내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우렁쉥이 껍질로부터 정제된 섬유소 첨가 젤리의 품질평가 (Quaility Evaluation of Jellies Prepared with Refined Dietary Fiber from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 변명우;안현주;육홍선;이주운;김덕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4-67
    • /
    • 2000
  • 폐자원의 이용방안으로 우렁쉥이 껍질로부터 정제한 섬유소를 첨가하여 일반적인 젤리보다 생리적인 기능성을 강화한 제품 개발을 위해 우렁쉥이 껍질 섬유소를 각각 5% 및 10% 첨가한 기능성 젤리의 기계적 불성 측정 및 관능적 특성을 통하여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기계적 조직감 측정 결과 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견고성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엿으며, 부착성 및 껌성 등의 특성치도 섬유소 첨가량에 의존하여 낮아졌다. 탄성의 경우에만 섬유소 첨가량에 따라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섬유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및 황색도는 증가하였고, 적색도는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색택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는데, 10% 첨가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무첨가구와의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