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n the Satisfac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A case study of Yeong-ju -

도시재생사업의 만족도 평가 - 영주시를 대상으로 -

  • Received : 2018.05.29
  • Accepted : 2018.07.03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Urban regeneration is a worldwide challenging project, showing a great interest in the sector. In order for Korea's urban regeneration to be settled successfully in the early stage,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review the opinions and business performance of the urban regeneration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rban regeneration planning factors affecting urban regeneration on the satisfaction of citizens, public administration and region. This study surveyed the residents and experts of the Yeongju city, Gyeongsangbuk-do, where urban regeneration is actively doing with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local government. Based on the data of the survey, this paper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analytic methods. The results revealed that 'community factor'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progress. In the final stage(at present), both 'community factor' (0.387) and 'physical factor'(0.454)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hile the satisfaction from 'the economic factor'(0.111) has slowed but it has increased with 'the physical factors' in the process of regeneration project, 'the social factors'(-0.007) shows a downward trend. If the role of social factors and community factors are supported at the beginning step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physical factors and economic factors are continued to lead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in the long term.

도시재생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국정과제로서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분야이다. 아직 초기단계인 우리나라의 도시재생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선행된 도시재생선도지역에 대한 현장 중심의 의견 및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고 검토하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의 만족도 평가에 영향을 주는 도시재생계획요인을 사업시기별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적극적인 주민참여로 도시재생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경상북도 영주시에 대하여 지역주민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빈도분석 및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주민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진행하면서 만족도가 높은 요인은 '공동체적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종(현재)시점에서는 '공동체적 요인(0.387)'과 '물리적인 요인(0.454)' 모두가 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제적인 요인(0.111)'에 대한 만족도는 더디게 진행되지만 물리적인 요인과 함께 현재시점에서 상승하였으며, '사회적인 요인(-0.007)'은 오히려 하향세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사업초기에 사회적 요인과 공동체 요인의 역할이 뒷받침되어야만, 장기적으로 물리적 요인과 경제적 요인의 상승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URI, 2016, 마을재생 관련 사업 대상지 지역사회 이해관계자 인식조사.
  2. 강맹훈.송혜승.이명훈, 2017, 도시재생사업의 참여주체별 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의 주민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 제 33권 6호, pp.31-37. https://doi.org/10.5659/JAIK_PD.2017.33.6.31
  3. 김권수, 2014, 서울시의 도시재생사업이 주민의 마을만족도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공사회학회, 제4권 1호, pp.66-92.
  4. 김태동, 2014, 도시재생사업의 주민만족도에 대한 창원과 청주 사례 비교분석,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혜천, 2008,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26집 제3호, pp.1-22.
  6. 성순아.오후.황희연, 2015,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참여 활동이 지속적 참여 동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청주시 사직2동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제50권 제4호, pp.393-406.
  7. 송혜승.장민영.이명훈, 2016, 일본 도시재생사업의 계획체계 및 사업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삿포로시 도시재생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51권 제6호, pp.127-151.
  8. 안정근.정현창.김태주.이재희, 2014, 대도시 도시재생에 따른 계획요소 및 주민 만족도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49권 제3호, pp.211-226.
  9. 이용주.이상엽, 2016, 도시재생사업 타당성 평가기준의 지역특성별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10. 정연준.이경환, 2017, ANP 분석을 활용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선정지표 개발: 공주시를 대상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18권 제1호, pp.115-123. https://doi.org/10.5762/KAIS.2017.18.1.115
  11. 채진해.김성학.양병이, 2011, 거리정비사업의 주민참여 방식 비교를 통한 지역활성화 효과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제39권 2호, pp.52-64. https://doi.org/10.9715/KILA.2011.39.2.052
  12. 홍연.이상호, 2012, 홍콩 사례를 통한 도시재생 사업에서의 주민참여 개선안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8권 제8호, pp.55-62.
  13. 홍의동, 2012, 한국과 영국의 도시재생사업 특성에 대한 비교분석: 청주시와 셰필드시 사례의 사업요소와 참여 주체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Cited by

  1.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주민 만족 영향요인 vol.28, pp.2, 2018, https://doi.org/10.12653/jecd.2021.28.2.0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