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Quality of Life Comparison between Suspicion Hearing Impaired and Hearing Aids Users in Elderly

노인에서 난청 의심자와 보청기 사용자의 삶의 질 비교

  • Son, Byungchang (Dept. of Rehabilitative Sciences,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
  • Heo, Seungdeok (Dep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Daegu University)
  • 손병창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 허승덕 (대구대학교 언어치료학과)
  • Received : 2018.08.17
  • Accepted : 2018.09.21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Purpose : Aim of th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hearing aids are responsible for the quality of life by comparing quality of life between the elderly who are suspected of difficulty in hearing selected by Hearing Handicap Inventory of Elderly (HHIE) without using hearing aids and who are using hearing aids. Methods : For the study, two groups of 33 people were analyzed for independent t-test based on whether they wore Hearing Aids (HA) or not whom wearing hearing aids (hearing aids users) and suspected difficulty in hearing. who are attending the Religious organization Senior Welfare Center in the OO region. Result : The quality of life of hearing aid users is generally observed to be higher than that of non-users in general, and by the section, psychological (p=0.019) and living environment (p=0.032) were appeared statistically signigicant. The elder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ction, "Operation Satisfaction (p=0.038)" in the physical health area, "relationship of reason (p=0.018)" in the social relationship area, "Economic margin (p=0.021)" in the environmental area, "Information accessibility (p=0.020)", In the psychological area, hearing aid was used for "self satisfaction (p=0.033)", "concentration of work (p=0.045)". Conclusion : The use of hearing aids by hearing loss elderly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in the psychological health and living environment section.

Keywords

References

  1. 고영혜, 박명화(2017). 노인의 주관적 청각장애와 지각된 스트레스가 의사소통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9(5), 496-504.
  2. 권오균(2008). 장애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9, 7-32.
  3. 김상훈, 여승근(2015). 노인성난청. 한양의대학술지, 35(2), 78-83.
  4. 김성희(2008). 노인의 신체적 여가활동 참여가 자기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7(1), 293-300.
  5. 김수진(2009). 노인의 청력상태, 기분상태와 삶의 질.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현덕, 김미원(2013). 홀로된 노인의 적응유연성에 관한 연구-이성교제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9), 309-330.
  7. 문승태, 김소라(2012). 귀농인의 삶의 질 인식 수준.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1), 1-21.
  8.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등(2000).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39(3), 571-579.
  9. 박민정, 최소은(2017). 건강행위와 건강상태가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2012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한 성별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8(2), 118-128.
  10. 박민지(2010). 청각장애학생의 장애정체성과 직업선호도의 상관성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1(1), 69-86.
  11. 박인조. 이주일(2015). 활동적 노인의 성격, 직무동기 및 직무만족 사이의 관계.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1(3), 395-417.
  12. 박혜서, 현미열(2016). 어선원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5(4), 273-282.
  13. 보건복지부(2016). 시도 장애인 유형별, 등급별 현황.
  14. 신학진(2012). 노년의 4대 고통이 심리적 요인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모형. 노인복지연구, 57, 357-380.
  15. 양승애(2013). 일개 지역사회 노인의 신체적 기능, 수면의 질,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1(5), 335-345. https://doi.org/10.14400/JDPM.2013.11.5.335
  16. 오영석, 이곤수(2006). 삶의 질 관점에서 본 도농통합의 형평성 효과: 경주시 사례.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0(4), 159-180.
  17. 유용식(2016).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아존중감과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7), 231-241.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231
  18. 이선혜, 문명자(2012). 지역사회 노인의 생활만족도, 건강행위와 성공적 노후간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6(2), 204-214. https://doi.org/10.5932/JKPHN.2012.26.2.204
  19. 이성은(2017). 노인의 청력저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관계의 매개효과. 언어치료학회, 26(3), 143-151.
  20. 이세규(2015). 도시 노인복지시설의 만족도와 충성도가 사회적 관계,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연구: 광주광역시 빛고을노인건강타운을 사례로. 국정관리연구, 10(2), 167-190.
  21. 이종운, 허만세(2012). 청각장애노인의 사회적 고립감, 가족기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1(4), 133-158.
  22. 이지수(2007).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 삶의 만족도 구조모형의 성별 비교. 한국사회복지학, 59(2), 89-114.
  23. 임근식(2012). 지역주민의 삶의 질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시.군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4. 임명환, 길연희, 전광일(2015).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보조기기 및 대체자료 분석과 구현 방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7), 664-673. https://doi.org/10.5392/JKCA.2015.15.07.664
  25. 임흥수, 박송춘(2016). 원예치료가 청각장애 노인의 우울증 감소 및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 산업학회논문지, 10(4), 225-235.
  26. 최지선, 정원호(2011). 노화성 난청과 보청기 효과. 대한의사협회지, 54(9), 918-924. https://doi.org/10.5124/jkma.2011.54.9.918
  27. 허승덕(2018). 증폭 장치 사용 난청 청년의 삶의 질.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3), In Press.
  28. 허승덕(2017). 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Elderly (HHIE)로 확인한 노인성 난청 실태.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1), 170-176. https://doi.org/10.12963/csd.16359
  29. 황현정, 황용석(2017). 노인집단 내 정보격차와 그에 따른 삶의 만족도 연구-가구구성형태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4(3), 359-386.
  30. Lin FR, Metter EJ, O'Brien RJ, et al(2011). Hearing loss and incident dementia. Arch Neurol, 68(2), 214-220. https://doi.org/10.1001/archneurol.2010.362
  31. Patrick DL, Drossman DA, Frederick IO, et al(1998). Quality of life in person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measure. Dig Dis Sci, 43(2), 400-411. https://doi.org/10.1023/A:1018831127942
  32. Weinstein BE(1997). Outcome measures in the hearing aid fitting/selection process. Trends in Amplification, 2(4), 117-137. https://doi.org/10.1177/108471389700200402
  33. World Health Organization(1995). WHOQOL-100.
  34. World Health Organization(1997). Measuring Qualit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