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Using Household Panel Data, with a Focus on Single and Elderly Households

가구 패널자료를 이용한 가계부문 에너지 소비행태 분석 - 1인 가구 및 고령가구를 중심으로 -

  • Hong, Jong Ho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and Environmental Planning Institute, and Director, AIE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Oh, Hyungna (College of International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
  • Lee, Sungjae (Environmental Planni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홍종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 오형나 (경희대학교 국제학부) ;
  • 이성재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Received : 2018.05.14
  • Accepted : 2018.09.11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As the population structure of Korea changes with the increase of single households and elderly households, this may have effect on domestic energy consumption pattern. Our study analyzes whether the energy consumption of single and elderly households are distinguishable from those of general households. For empirical analysis, Household Energy Standing Survey panel data and regional fixed effect model are employed. The result strongly shows that single households consume more energy than other households. The consumption of single households from 40s to 60s wa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aging was different from energy sources. Electricity consumption of elderly household was more than other age groups, while oil consumption of elderly household was less than others. Gas and total energy consumptions turned out to be not much different among different age groups.

우리나라의 인구구조는 1인 가구 및 고령가구가 점차 증가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 에너지 수요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1인 및 고령가구의 에너지 소비패턴이 일반 가구의 에너지 소비패턴과 구별되는 특징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에너지 소비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역고정효과 모형과 에너지 경제연구원의 가구상설표본조사 패널 자료(2013-2015년)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1인 가구는 다른 가구 형태에 비해 모든 에너지원에서 소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인 가구 중 4060대의 소비가 가장 많았다. 고령화 효과는 에너지원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고령가구의 전력 소비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대체로 많거나 비슷하였으나, 등유는 고령가구의 소비가 가장 적었다. 반면, 가스 및 총에너지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는 정부가 1인 가구 및 고령화로 인해 증가하는 전력 혹은 에너지 소비 추이를 면밀히 관찰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가영, "1인가구 증가 소비지형도 바꾼다", LG경제연구원, 2014.
  2. 국토연구원, "2016년 주거실태조사 주요결과", 2017.
  3. 권오상. 강혜정. 김용건, "가구별 소비자료를 이용한 전력수요함수 추정 및 요금제도 변경의 효과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3권 제3호, 2014, pp. 409-434.
  4. 김현경, "에너지 빈곤의 실태와 정책적 함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5. 노정녀, "가구 구성원 특성과 가전제품 사용에 따른 가정용 전력 수요의 예측", 한국경제연구, 제32권 제2호, 2014, pp. 177-202.
  6. 문미라, "서울시 아파트 에너지 소비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도시계획학 박사학위논문, 2018.
  7. 박진의, "1인가구 소비트렌드 및 솔로이코노미의 성장", BC카드, 2016.
  8. 신동현. 조하현. 장민우, "소득 수준에 따른 한국 도시 가구의 전력소비행태 이질성과 전기요금개편 효과 분석", 에너지경제연구, 제14권 제3호, 2015, pp. 27-81.
  9. 에너지경제연구원, "2015년 가구에너지 상설표본조사", 2015.
  10. 에너지경제연구원, "KEEI 2016 장기에너지 전망", 2016.
  11.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통계연보", 2017.
  12. 윤태연. 강재성, "난방방식이 가구의 겨울철 난방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도시가스 개별난방과 지역난방 방식을 중심으로", 에너지경제연구, 제14권 제2호. 2015, pp. 243-272.
  13. 윤태연. 남수현, "공동주택의 가구별 난방비 영향 요인 분석", 에너지경제연구원, 2015
  14. 이상열, "고령화사회의 심화와 에너지소비", 에너지경제연구원, 2015.
  15. 임현진. 정수관 . 원두환, "지구온난화가 가계부문 에너지 소비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전력수요를 중심으로", 에너지경제연구, 제12권 제2호, 2013, pp. 33-58.
  16. 조하현. 장민우, "구간별 가격체계를 고려한 우리나라 주택용 전력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전력누진요금제 조정방안",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4권 제2호, 2015, pp. 365-410.
  17. 조현승. 고대영. 이동희. 황원식,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인한 소비구조 변화와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산업연구원, 2015.
  18. 최문선, "분위회귀분석을 통한 가정부문 용도별 에너지소비량 분포 및 특성 분석",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19. 통계청, "201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2015.
  20. 통계청,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결과 보도자료", 2016a.
  21. 통계청, "2016 고령자 통계", 2016b.
  22.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2015-2045 보도자료", 2017.
  23. 한국소비자원, "대형가전 시장에서의 소비자문제 점검 및 시사점", 소비자정책동향, 제86권, 2017, pp. 1-15.
  24. 한국인터넷진흥원, "2017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8.
  25. Brounen, D., N. Kok, and J. M. Quigley, "Residential energy use and conservation: Economics and demographics", European Economic Review, Vol. 56, Issue 5, 2012, pp. 931-945. https://doi.org/10.1016/j.euroecorev.2012.02.007
  26. Chen, J., X. Wang, and K. Steemers, "A statistical analysis of a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survey study in Hangzhou, China", Energy and Buildings, Vol. 66, 2013, pp. 193-202. https://doi.org/10.1016/j.enbuild.2013.07.045
  27. Fan, H., I. F. MacGill, and A. B. Sproul, "Statistical analysis of driving factors of residential energy demand in the greater Sydney region, Australia", Energy and Buildings, Vol. 105, 2015, pp. 9-25. https://doi.org/10.1016/j.enbuild.2015.07.030
  28. Huang, W.,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in Taiwan: Evidence from quantile regression", Energy, Vol. 87, 2015, pp. 120-133. https://doi.org/10.1016/j.energy.2015.04.101
  29. Kavousian, A., R. Rajagopal, and M. Fischer, "Determinants of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Using smart meter data to examine the effect of climate, building characteristics, appliance stock, and occupants' behavior", Energy, Vol. 55, 2013, pp. 184-194. https://doi.org/10.1016/j.energy.2013.03.086
  30. Longhi, S., "Residential energy expenditures and the relevance of changes in household circumstances", Energy Economics, Vol. 49, 2015, pp. 440-450. https://doi.org/10.1016/j.eneco.2015.03.018
  31. Meier, H. and K. Rehdanz,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pace heating expenditures in Great Britain", Energy Economics, Vol. 32, Issue 5, 2010, pp. 949-959. https://doi.org/10.1016/j.eneco.2009.11.008
  32. Valenzuela, C., A. Valencia, S. White, J. A. Jordan, S. Cano, J. Keating, J. Nagorski, and L. B. Potter, "An analysis of monthly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among single-family residences in Texas, 2010", Energy Policy, Vol. 69, 2014, pp. 263-272. https://doi.org/10.1016/j.enpol.2013.1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