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o Xingzhi's School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Practice and Educational Thought of School Education

도행지(陶行知)의 학교 설립 및 운영을 통해 본 학교교육관 탐색

  • Received : 2018.11.15
  • Accepted : 2018.12.20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tract Tao Xingzhi's (陶行知, 1891-1946) ideas about formal education by investigating his school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practices. Tao Xingzhi established and operated various schools to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The objective of his school establishment was to expand the range of subjects. Tao provided whole-person education at his schools, and the subject matter was based on his life education theory. Tao combined teaching, learning, and activity to reform the pedagogical process, and his school operations were institutionalized and democratically managed. These aspects were comprised of Tao's ideas about formal education. Tao's ideas might offer valuabl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ormal education.

본 연구는 도행지의 대표적인 교육실천인 학교 설립 및 운영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도행지의 학교교육관에 대해 살펴보았다. 도행지는 교육기회의 확대를 위하여 다양한 형식의 학교를 설립하고 운영하였다. 이 학교들은 교육대상의 보편화를 위한 도행지의 교육실천으로 전인교육을 위한 교육목표 하에 생활교육론에 입각한 교육내용으로 교사와 학생의 역할분담을 최소화한 "교학주합일"의 교수학습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학교 운영에서 학칙과 각종 제도를 통한 제도화 관리와 학생 자치를 통한 민주화 관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도행지의 교육실천은 학교교육의 교육대상,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학교 운영의 본질적인 변혁을 일으켰으며 현대 학교교육의 발전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억(1998). "타오싱즈의 생활교육론". 교육철학회, 敎育哲學, 제19집, 75-92.
  2. 김귀성(1990). "陶行知의 生活敎育論". 신룡교학회, 정신개벽논집, 제9집, 147-166.
  3. 김귀성(1992). "陶行知의 兒童敎育論". 圓光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敎育硏究, 제10집, 21-39.
  4. 김귀성(1994). "陶行知의 勞作敎育思想". 한국교육사학회, 한국교육사학, 제16집, 155-186.
  5. 김귀성(2001). "타오싱즈 생활교육론의 사상적 배경-그 쟁점을 중심으로". 교육철학회, 敎育哲學, 제26집, 47-73.
  6. 김귀성(2002a). "타오싱쯔의 민족해방 교육론".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敎育問題硏究, 제16집, 55-80.
  7. 김귀성(2002b). 타오싱쯔 생활교육론의 전개. 서울: 문음사.
  8. 김귀성(2012). 陶行知의 생활교육론에서 예술의 교육적 의미=陶行知的艺术教育意义注重生活教育论. 한국교육사상연구회, 교육사상연구, Vol. 26 No. 2, 21-41. https://doi.org/10.17283/JKEDI.2012.26.2.21
  9. 김귀성 편역(1996). 생활이 바로 교육이다. 서울: 내일을 여는 책.
  10. 김민지(1998). "도행지(1891-1946)의 생활교육사상". 중국사학회, 中國史硏究, 제3집, 85-122.
  11. 이경자(2003). "도행지의 생활교육사상". 교육비평사, 교육비평, 제11집, 140-166.
  12. 이병주(1986). "中共의 陶行知敎育思想批判(1951-1953)".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東亞硏究, 제10집, 119-170.
  13. 이상옥(2010). 타오싱즈(陶行知) 실용주의교육을 통해 본 근대 중국의 계몽교육,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Vol. 41, 379-406.
  14. 이재령(1995). "항일전기(1931-1937)도행지의 항일론과 교육구국운동". 단국대 대학원, 學術論叢, 제19집, 275-314.
  15. 陶行知(1991). 陶行知全集(1-12). 成都: 四川教育出版社.
  16. 陶行知(2011). 陶行知全集. 南京: 江苏教育出版社.
  17. 王紫斌(2013). 陶行知教育思想硏究:历史, 问题及趋势. 基础教育硏究, 2013(2), 7-10.
  18. 中国陶行知研究会网. http://www.taoxingzhi.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