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ritical Review of Innovation Governance Research

과학기술행정체제 및 혁신 거버넌스 연구의 현황과 과제

  • Received : 2017.06.03
  • Accepted : 2018.02.07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major changes of research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administrative system and innovation governance,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 through critical review.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papers of such a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and policy reports and government documents published by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search itself has evolved from the part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to the unique field and main focused historical, normative, comparative analysis and institutional approach. In addition, coordination and integ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have been regarded as important issues in research, and innovation system (NIS) and governance perspectives have begun to be reflected in research. However, it reveals some issues such as small government theory vs big government theory, governance theory vs control tower theory, and shows limitations in problem definition and solution inconsistency, and lack of grand and detailed discourse. Future challenges include the pursuit of evolutionary rationality, the pursuit of diversity in multidimensional research and methods, development of korean policy theory and securing universality.

본 연구는 과학기술행정체제와 혁신 거버넌스 연구의 큰 변화 흐름을 살펴보고, 성찰적 자리매김을 통해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 대상은 "한국행정학회보", "한국정책학회보" 등의 행정학 조직학 분야와 "과학기술학연구", "기술혁신연구", "기술혁신학회지" 등의 과학기술혁신 분야에 실린 과학기술행정체제 및 혁신 거버넌스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각 학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과 주요 저서, 그리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 등 국책 연구기관에서 발표된 정책보고서와 정부 문건자료도 분석에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자체가 정부조직개편의 일부에서 독자 영역으로 진화하고 그 주제도 세분화되었으며, 역사적 규범적 비교분석 제도론적 접근방법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과학기술정책의 조정 통합 문제가 연구에서 중요한 과제로 다루어졌으며, 혁신체제론(NIS) 및 거버넌스 관점이 연구에 반영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작은 정부론과 큰 정부론, 거버넌스론과 컨트롤 타워론 등 몇 가지 차원에서 여전히 쟁점을 드러내고 있으며, 귀인 오류, 합리적 모형의 지배, 처방위주의 연구와 연구의 쏠림, 거대 및 세부 담론의 부재 등에서 한계를 러내고 있다. 향후 과제로 합리성 효율성 종합성 설계의 관점에서 벗어나 진화적 합리성 강조, 다차원적 연구 방법론 활용, 한국적 이론 개발과 보편성 확보, 거버넌스 관점의 주류화, 조직문화 등 소프프웨어 측면에 관한 연구 촉진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구 (2002), "국내 역대대통령의 과학기술 정책", 과학과 기술, 8월호.
  2. 강신택.김광웅 (1993), 행정조직 개혁: 새정부의 개편방안,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3. 과실연 (2010), "국가과학기술 컨트롤타워 다시 세워야 한다", 성명서 31호, 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
  4. 과실연 (2012), 2013 차기 정부를 위한 국정과제 및 정부 조직 제안: 지식창조사회 실현을 위하여.
  5. 과학기술처 (1987), 과학기술행정 20년사.
  6. 과학기술처 (1997), 과학기술 30년사.
  7. 교육과학기술부 (2008), 과학기술 40년사.
  8. 교육과학기술부.기획재정부.행정안전부 (2010.11.23),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상 및 기능 강화를 위한 주요 개편 내용.
  9. 구영우.조성복.민완기 (2012), "혁신체제론의 진화 및 주요 논점", 기술혁신학회지, 제15권 제2호, pp. 165-174.
  10. 국가미래전략연구팀 (2012), 차기정부의 국정과제: 미래 과학기술행정체제 연구, 서울대학교.
  11. 권기창.배귀희 (2004), "과학기술정책과 거버넌스",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문.
  12. 기획예산처 (2002), 국민의 정부 공공개혁 백서, 서울: 기획예산처.
  13. 김계수.이민형 (2003), 국가 과학기술 종합조정시스템과 연구회 운영시스템 발전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14. 김광구 (2009), "과학기술정책의 분석.평가 체제 강화 방안연구", 한국정책학회 세미나 발표문.
  15. 김광웅 외 (1992), "새정부의 정부형태와 정부조직", 한국행정학보, 제26권 제4호.
  16. 김근세 (2005), "김대중 행정부의 정부규모에 관한 실증 분석", 행정논총, 제43권 제2호, pp. 33-62.
  17. 김근세.권순정 (1997), "작은 정부?: 김영삼 행정부의 정부규모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행정학보, 제31권 제3호, pp. 275-293.
  18. 김미나 (2005), "과학기술행정의 시스템 전환 및 컨텍스트의 변화: 과학기술부의 역사적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44권 제2호, pp. 98-130.
  19. 김병섭.박광국.조경호 (2007), 우리 정부조직 이야기, 서울: 법문사.
  20. 김상봉.이상길 (2007), "국가R&D사업 정책결정과정에 있어서 정부부처간 갈등조정에 관한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17권 제3호, 161-192.
  21. 김성수 (2000), "한국 과학기술 정책과정의 조정과 통합: 체제이론에 의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제9권 2호, pp. 216-236.
  22. 김성수 (2005), "과학기술혁신본부와 정책조정 방식 변화", 기술혁신연구, 제13권 제2호. pp. 153-173.
  23. 김성수 (2007), "과학기술 정책네트워크와 정부-민간 관계",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문.
  24. 김성수 (2013), "미래창조과학부: 과학기술 행정체제의 진화와 역행",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4권 제2호, pp. 509-539.
  25. 김영평 (1991), 불확실성과 정책의 정당성,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6. 김영평 (1993), "행정개혁의 논리와 방향", 행정개혁의 신화와 논리, 서울: 나남, pp. 21-48.
  27. 김영평.성지은 (2005), "한국 정책학 연구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고려대학교 50주년 논문 발표집.
  28. 김영평.최병선 편저 (1993), 행정개혁의 신화와 논리, 서울: 나남.
  29. 김혁.함성득 (2004), "새로운 거버넌스하의 미국 대통령-의회 관계의 발전적 변화", 한국행정논집, 제16권 제1호, pp. 1-28.
  30. 대한민국과학기술대연합 (2012),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과학기술행정체제 방향.
  31. 문명재 (2009), "정부조직개편의 정치주기적 반복성과 실제", 한국공공관리학보, 제23권 제4호, pp. 23-41.
  32. 민진 (2008), "이명박 정부의 중앙정부조직개편 사례 연구: 2008년 2월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제5권 제2호, pp. 267-292.
  33. 박기영 (2006),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정부조직개편의 배경과 의미", 한국기술혁신학회 추계발표대회 논문집.
  34. 박대식 (2008), "정부조직개편 접근법 비교분석: 미국과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제5권 제3호, pp. 103-126.
  35. 박동서.최병선.이달곤.권해수 (1992), "작은 정부의 개념 논의", 한국행정학보, 제26권 제1호, pp. 39-55.
  36. 박상욱 (2005), 혁신주체의 참여를 통한 과학기술 거버넌스 구축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7. 박수경.이찬구 (2015),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 거버넌스 개편에 대한 연구: 미래창조과학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4호, pp. 195-216.
  38. 박정택 (2003), "부처간 정책갈등과 조정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기본법 제정과정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학연구, 제3권 제1호, pp. 105-156.
  39. 박진희 (2004), "과학기술 관련 시민사회운동의 역사와 그 역할", 과학기술학연구, 제4권 제1호, pp. 111-140.
  40. 박천오 (2011a), "한국 정부조직개편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조직학회보, 제8권 제1호, pp. 1-30.
  41. 박천오 (2011b), "이명박 정부의 조직개편에 대한 공무원 인식: 통합부처 소속 공무원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49권 제2호, pp. 1-30.
  42. 박희제 (2006), "과학의 상업화와 과학자사회 규범구조의 변화", 한국사회학, 제40권 제4호, 19-47.
  43. 박희제.김은성.김종영 (2014), "한국의 과학기술정치와 거버넌스", 과학기술학연구, 제14권 제2호, pp. 1-47.
  44. 배종윤 (2010), "국정개혁과 정부조직 효율화", 한국정치학회보, 제44권 제4호, pp. 73-95.
  45. 성지은 외 (2013), 저성장 시대의 효과적인 기술혁신지원제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46. 성지은 (2006), "과학기술정책결정구조의 변화: 참여정부 과학기술행정체제개편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44권 제1호, pp. 243-264.
  47. 성지은 (2009), "교육과 과학기술 기능 통합 국가의 과학기술행정체제 비교분석: 일본, 독일, 영국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47권 제2호, pp. 375-404.
  48. 성지은 (2013), "과학기술혁신 패러다임 변화와 거버넌스 개편 방안", 기술혁신학회지, 제16권 제1호, pp. 199-229.
  49. 성지은.박인용 (2016), "시스템 전환 실험의 장으로서 리빙랩: 사례분석과 시사점", 기술혁신학회지, 제19권 제1호, pp. 1-28.
  50. 성지은.송위진 (2007), "총체적 혁신정책의 이론과 적용: 핀란드와 한국의 사례", 기술혁신학회지, 제10권 제3호, pp. 555-579.
  51. 성지은.송위진 (2008), "정책 조정의 새로운 접근으로서 정책 통합: 과학기술혁신정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11권 제3호, pp. 352-375.
  52. 성지은.송위진 (2010), "탈추격형 혁신과 통합적 혁신정책", 과학기술학연구, 제10권 제2호, pp. 1-36.
  53. 성지은.송위진.박인용 (2014),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로서 리빙랩 사례 분석과 적용 가능성 탐색".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제2호, pp. 309-333.
  54. 성지은.송위진.장영배.정병걸.한재각 (2009), 통합적 혁신정책 구현을 위한 정책조정방식 설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55. 성지은.송위진.정병걸.김민수.박미영.정연진 (2012), 지속가능한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발전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56. 성지은.송위진.정병걸.장영배 (2010), 미래지향형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설계 및 개선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57. 성지은.송위진.하대청 (2008), 세계 각국 과학기술단체 현황 및 역할,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58. 성지은.정연진 (2013), "과학기술혁신정책 기획의 추진 현황과 실효성 제고 방안: 과학기술기본 계획과 중장기계획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22권 제2호, pp. 313-340.
  59. 성지은.조황희 (2005), "대통령과 과학기술 리더십",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60. 송위진 (2002), "혁신체제론의 과학기술정책: 기본 관점과 주요 과제", 기술혁신학회지, 제5권 제1호, pp. 1-15.
  61. 송위진 (2003), "과학기술관련 의사결정구조의 변화: '사용자'와 '시민'의 새로운 참여방식 모색", 기술혁신학회지, 제6권 제2호, pp. 159-174.
  62. 송위진 외(2004), 한국 국가혁신체제의 발전 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63. 송위진 (2006), 기술혁신과 과학기술정책, 르네상스.
  64. 송위진 외(2007), 탈추격형 기술혁신체제의 모색, 과학기술정책연구원.
  65. 송위진 (2012), "사회문제 해결형 인문사회-과학기술 융합연구의 특성과 발전 방향", 기술혁신연구, 제20권 제3호, pp. 129-151.
  66. 송위진 (2013), "사회.기술시스템론과 과학기술혁신정책", 기술혁신학회지, 제16권 제1호, pp. 156-175.
  67. 송위진 (20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과 혁신정책의 재해석", 과학기술학연구, 제15권 제2호, pp. 135-162.
  68. 송위진 (2016), "전환연구와 탈추격론의 확장", Working Papers Series, 과학기술정책연구원.
  69. 송위진 엮음 (2017), 사회.기술시스템전환: 이론과 실천, 한울아카데미.
  70. 송하중 외 (2000), 과학기술발전을 위한 최고정책결정자의 역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71. 양희승 (2004), 다부처 참여사업 종합조정의 정책적 의미, 한국 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72. 염재호 외 (2004), 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활성화 방안,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73. 염재호 (2009), 한일 행정개혁의 비교연구: 정부조직개편의 제도론적 접근, 정부학연구, 제15권 제2호.
  74. 오연천 외 (2004), 과학기술혁신체제 개편방안 연구, 과학기술부.
  75. 오연천 외 (2007), 과학기술혁신정책의 기획 및 정책 조정력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과학기술부.
  76. 윤종민 (2012), "과학기술 환경 변화와 과학기술 법제 개편 방향", 기술혁신학회지, 제15권 제4호, pp. 881-915.
  77. 윤종용 외 (2010), 국민소득 4만 달러 시대를 향한 새로운 국가과학기술시스템 구축과 출연(연) 발전방안.
  78. 윤진효 (2002), "한국의 대통령별 기술발전 리더십 분석: 정치체제 변화 맥락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학 연구회 여름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79. 이공래.송위진 (1998), "한국 국가혁신체제의 구조와 특성", 기술혁신연구, 제6권 제2호, pp. 1-31.
  80. 이공래.이정협 (2003), "지역별 기술혁신정책의 패턴과 과제: 지방정부 및 중앙정부 예산투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11권 제1호, pp. 99-123.
  81. 이영희 (2011), 과학기술과 민주주의: 시민을 위한, 시민에 의한 과학기술, 서울: 문학과지성사.
  82. 이창원 (2001), "우리나라 정부기구 개편에 관한 비판적 고찰: 김대중 정부 3년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제10권 제2호, pp. 128-151.
  83. 이창원.임영제 (2009), "우리나라 민주화 이후의 정부조직 개편의 특성에 관한 고찰: '작은 정부론'적 시각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3권 제4호, pp. 1-17.
  84. 임상규 (2006), 우리나라 과학기술행정체제의 진화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5. 임홍탁.송위진 (2017), "사회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초학제적 연구의 특성", 동향과 이슈 제39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86. 장영배 외 (2007), 권역별 과학기술정책 동향조사 분석사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87. 정병걸.성지은 (2005), "과학기술과 상징정치: 참여정부의 과학기술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9권 제1호, pp. 27-48.
  88. 정재용 편저 (2015), 추격 혁신을 넘어: 탈추격의 명암, 신서원.
  89. 정재용.황혜란 편저 (2013), 추격형 혁신시스템을 평가한다, 한울 아카데미.
  90. 정정길.김성수.김재훈.김찬동.하정봉 (2007), 작은 정부론, 서울: 부키.
  91. 정정길 (1994), 대통령의 경제리더십,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92. 조만형 (2007), "과학기술정책 추진체제의 발전방향", 한국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93. 조성한 (2007), "정부조직구조의 영향요인", 한국조직학회보, 제4권 제2호, pp. 1-18.
  94. 조태준.황혜신 (2009), 대부처주의(부처통합)의 효과와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95. 조현석 (2008), "우리나라 과학기술 거버넌스 연구: 참여정부의 개혁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학연구, 제11권 제1호.
  96. 천세봉.장용석.이삼열 (2012), "지방과학기술정책 거버넌스 분석", 지방정부연구, 제15권 제4호, pp. 81-108.
  97. 천세봉.하연섭 (2013), "과학기술정책 거버넌스 변동에 관한 신제도주의 분석: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22권 제2호.
  98. 최병선.최종원 (2008), 국가운영시스템 과제와 전략, 서울: 나남.
  99. 최성욱 (2001a), "정부조직개편에 있어 문화통합 논리의 모색", 한국정책학회보, 제10권 제3호.
  100. 최성욱 (2001b), "조직문화를 통해서 본 통합관료조직: 스키마 중심의 인지해석적 접근", 한국행정학보, 제35권 제3호.
  101. 최성욱 (2004), "조직문화의 관점에서 본 정부조직개편논리", 서울행정학회 포럼.
  102. 최성욱 (2012), "정부조직개편의 논리와 방향", 국민대학교 국정관리전략연구소 편저. 효율적 국정관리를 위한 정부조직, 서울: 오래.
  103. 최영훈.신열.김재관 (2001), "과학기술정책 관리의 변화와 대응: 지역협력센터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10권 제3호, pp. 155-176.
  104. 최창집 (1985), "과대성장국가의 형성과 정치균열의 구조", 한국사회연구, 한길사.
  105. 하규만 (2000), "지방 과학기술의 행정학적 분석: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106. 하태수 (2007), 세계화 이후 한국 정부 규모 및 기능 변화에 대한 실증 분석.
  107. 한국공학한림원 (2012), 국민의 행복을 창조하는 과학기술, 정책총서 IV.
  108. 한국행정연구원 (2003), 정부조직개편의 논리와 대안.
  109. 한국행정학회 (2012), "차기 정부 과학기술행정체제 개편 방안", 한국행정학회 기획 심포지엄.
  110. 함성득 (1998), "우리나라의 국가과학기술 종합조정 및 자문기구의 변천사", 과학과 기술, 제31권 제7호.
  111. 함성득 (2002), "통치자의 과학기술 리더십", 과학과 기술, 8월호.
  112. 함성득.양다승 (2012), "한국 대통령의 과학기술 리더십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제46권 제1호.
  113. 행정안전부 (2008), 정부조직개편 백서.
  114. 홍성만 (2006), "과학기술정책에서 신거버넌스의 가능성", 한국정책연구, 제6권, pp. 109-124.
  115. 홍형득 (2007), "거버넌스 관점에서 우리나라 국가혁신체제(NIS)의 변화와 특징 분석", 한국행정논집.
  116. 홍형득 (2013), "우리나라 과학기술 행정체제 변화와 쟁점: 2012년 개편논의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과 행정연구, 제23권 제4호.
  117. 황용수 외 (2004), 과학기술행정체제의 발전방향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18. 황용수.김갑수 (1999), 과학기술정책 조정기구 운영체계 확립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19. Arnold, Erik et al. (2003), Research and Innovation Governance in Eight Countries: A Meta-Analysis of Work Funded by EZ(Netherland) and RCN(Norway). Technopolis.
  120. Bakhshi H., Freeman A., and Potts J. (2011), State of Uncertainty: Innovation Policy through Experimentation, NESTA.
  121. Choung J-Y., H-R.Hwang, and W. Song (2014), "Transitions of Innovation Activities in Latecomer Countries: An Exploratory Case Study of South Korea", World Development, Vol.54, pp. 156-167. https://doi.org/10.1016/j.worlddev.2013.07.013
  122. Kim Linsu (1997), Imitation to Innovation: The Dynamics of Korea's Technological Learning,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23. Seong Jieun, and Wichin Song (2008), "Innovation Policy and Administration System in the Era of Post Catch-up: The Case of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s Innovation Policy",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Journal, Vol. 16, No. 2.
  124. Seong J., Cho Y., and Song W. (2016), "Korea's Transition Experiments as a Post Catch-up Project",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Journal, Vol. 24(sup1), pp. 103-122. https://doi.org/10.1080/19761597.2016.1207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