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경남, 지영주. 한국노인의 식품안정성과 우울, 삶의 질.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2017;7(7):575-582.
- 김귀분, 석소현. 노인의 삶의 질 영향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008;20(2):146-155.
- 김명화. 한국의 지역사회 거주노인들에게 있어서 우울증, 만성질환, 일상생활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4;14(5):190-198.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190
- 김분한, 김윤숙, 전혜원.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주관적 구조. 성인간호학회지 2007;19(5):92-103.
- 김은하, 이지원. 복지관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일상생활 수행능력, 수면의 질 및 우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009;29(2): 425-440.
- 김형기. 도시지역 독거노인의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7;18(12):443-451 https://doi.org/10.5762/KAIS.2017.18.12.443
- 김시월, 조향숙. 중 고령자 단독가구의 삶의 만족도와 재정, 건강, 심리 상태와의 관계. Financial Planning Review 2012;5(3):89-116.
- 김태현, 한은주.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경험유무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04;9(3):81-106.
- 김영주. 남녀별 독거노인과 동거노인의 건강습관,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비교. 기본간호학회지 2009;16(3):333-344.
- 김형기. 도시지역 독거노인의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7;18(12); 443-451. https://doi.org/10.5762/KAIS.2017.18.12.443
-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index/index.do 2017. 2018.06.25.검색.
- 권오균, 허준수.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013;41(4):65-93.
- 남일성, 염소림. 노인들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 규칙적 운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013;62:109-126.
- 문성미. 노인의 사회경제적 상태, 건강상태,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_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2017;15(6):259-271. https://doi.org/10.14400/JDC.2017.15.6.259
- 박정숙, 오윤정. 농촌노인의 건강문제와 지각된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3;14(2):274-286.
- 박지은 외 0명. 독거 노인이 경험하는 우울증상의 특성 : 희망 없음(Hopelessness)과 지루함(Boredom). 노인정신의학 2012;16:97-103.
- 서순림, 김미한. 독거노인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 요인. 한국노년학 2014;34(4):705-716.
- 서은주, 차남현. 융합시대의 일 지방 독거노인의 일상생활동작과 스트레스. 디지털융복합연구 2016;14(7):251-258. https://doi.org/10.14400/JDC.2016.14.7.251
- 서인균, 고민석. 학대경험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사회연구 2011;31(1):127-157.
- 서인균, 이연실. 독거노인의 사회적 자원과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농촌과 도시독거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016;71(2):219-247.
- 서인균, 조혜정. 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2013;61: 135-162.
- 송희승. 노인의 우울, 걷기,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걷기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2016;14(8):515-525. https://doi.org/10.14400/JDC.2016.14.8.515
- 안제용, 서은란, 임경희, 신재현, 김정범.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의 표준화 연구. 생물치료정신의학 2013;19(1):47-56.
- 양성지. 노인들의 신체운동 참여와 사회자본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2018;57(1):23-36.
- 오인근. 독거여성노인의 스트레스가 무망감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건강증진행위의 조절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012;17(4):237-255.
- 원미라, 이광자.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증 경험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2016;25(3):195-206.
- 이강일, 이종훈. 장기요양기관 노인의 일상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2017;8(6):325-336. https://doi.org/10.15207/JKCS.2017.8.6.325
- 이신숙, 김성희. 농어촌 독거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지역발전연구 2011;11(1):23-60.
- 장영은, 김신열. 독거노인의 사회자본과 스트레스. 인문사회 21 2015;6(3):441-464.
- 정경희. 노년기 독거 현황과 정책적 대응 전략. 보건.복지 Issue&Focus 2015.
- 지영주, 김경남. 노인의 신체활동, 정신건강과 삶의 질.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2017;7(5):625-632.
- 추진아, 김은경. 지역사회 저소득층 노인의 연령주기별 주관적 건강지각 관련 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 16(3):1615-1628.
- 최연희, 김수현. 재가 노인의 우울에 따른 자살 생각과 관련요인. 한국노년학 2008;28(2):345-355.
- 통계청. http://kostat.go.kr/ 2017. 2018.06.25.검색.
- 하경분, 송선희.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3;13(7):278-289.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278
- 한혜경, 이유리.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과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2009;29(3):805-822.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http://www.mois.go.kr/frt/sub/a05/ageStat/screen.do 2018. 2018.06.25.검색.
- 홍은희, 김순애, 이주영. 이웃사랑봉사단 활동을 경험한 독거노인의 삶의 질과 스트레스의 상관 관계.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2017;19(2):101-106. https://doi.org/10.12812/ksms.2017.19.2.101
- Andersson L, Stevens N. Associations Between Early Experiences With Parents and Well-being in Old Age. Journal of Gerontology 1993;48(3):109-116. https://doi.org/10.1093/geronj/48.3.P109
- Han C, Jo SA, Kwak JH, Pae CU, Steffens D, Jo I, Park MH. Valida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Korean ver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Ansan Geriatric study. Compr Psychiatry 2008;49(2):218-23. https://doi.org/10.1016/j.comppsych.2007.08.006
- Krause N. Lifetime trauma, emotion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Gerontologist 2004;44(5):615-23. https://doi.org/10.1093/geront/44.5.615
- Park SM. Health status and suicidal ideation in Korean elderly: the role of living arrangement. Journal of Mental Health 2014;23(2):94-98. https://doi.org/10.3109/09638237.2013.869569
- Segulin N, Deponte A. The evaluation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A modificat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07;44(2):105-112. https://doi.org/10.1016/j.archger.2006.04.002
- West SG, Finch JF, Curran PJ.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oyle(Ed.), Structual equation modeling: Co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Newbury Park, CA: Sage, 1995. pp.5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