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ings Yao and Shun as Understood in Daesoon Thought

대순사상의 요순관

  • Lee, Eun-hui (Department of Daesoon Theology, Daejin University) ;
  • Lee, Gyung-won (Department of Daesoon Theology, Daejin University)
  • Received : 2018.10.31
  • Accepted : 2018.12.15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se days, the world finds itself in a time when 21st century human and societal practices can benefit from alternative viable models; as such models are desperately needed. Daesoon Jinrihoe seeks to show one model inspired by the historical kings, Yao and Shun. In Daesoon Jinrihoe, King Yao and King Shun (堯舜 yo sun) are recollected and projected into modern times. This paper is a study that examines what aspects of Daesoon Thought go into understanding Kings Yao and Shun and what insights their example can provide for modern people today. In Daesoon Thought, the 'Dao of Kings Yao and Shun' has appeared again because the 'Era of the Great Opening (開闢時代 gaebyeok shidae)' has arrived, and this era is characterized by 'Seeking Out the Beginning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 Root (原始返本 wonshi banbon).' This is not simply a return to ancient times. The seeds that fall on the ground grow up to overcome winds and rains, bring forth new fruits in the autumn, and their fruits contain the original seeds. The seeds are simultaneously the original seeds, but not the seeds themselves. Rather, they are complete bodies condensed and infused with abundant experience gained after multitudinous trials. In Daesoon Thought, Kings Yao and Shun are analyzed from the following four perspectives: first, as an ideal human image that combines the qualities of Sages and Heroes (聖雄 seong oong), second, as the historical background behind the truth of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解冤相生),' third, as an ancient model of the ideal world, and fourth, as Daesoon Jinrihoe's 'Mind Dharma (心法)' and also as the classical basis for the 'Cultivation of Dao (修道).' However, the meaning of Kings Yao and Shun in Daesoon Thought is not limited to traditional philosophical thought but also contains certain crucial differences. In Daesoon Thought, the qualities of sages and heroes are combined in a way that does not compromise or penalize, but in accordance with the rule of law and beyond, the ideal world is understood as a world in which there are no natural disasters and everyone enjoys beauty and splendor. Mind Dharma means the spiritual cultivation of the 'Dao of Mutual Beneficence' as presented by Sangje (上帝 the Supreme God) through sincerity, respectfulness, and faithfulness (誠敬信 seong, gyeong, shin). In addition, through the core truth of Daesoon Thought,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the resolution of the grudges associated with Kings Yao and Shun will likewise eliminate the root-grudge plaguing humanity and divine beings. In this paper, I intend to deepen my understanding of Daesoon Thought through a study on our theology's understanding of Kings Yao and Shun, and I also wish to redefine the value of Daesoon Thought through the symboliz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ancient historical figures.

지금 세계는 표본으로 삼을 수 있는 21세기 인간상, 사회상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대순진리회는 역사적 요순을 통해 그 전형(典型)을 보여주고 있다. 대순진리회에서는 이러한 요순을 다시 불러내어 현대에 맞게 되살려내고자 한다. 본 논문은 대순사상이 요순을 어떤 측면에서 이해하는지를 분석하여 요순이 오늘날의 현대인에게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대순사상에서는 개벽(開闢)시대를 당하여 '원시반본(原始返本)'이 되므로 '요순의 도가 다시 나타난다'고 한다. 이것은 단순히 고대(古代)로의 회귀(回歸)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씨앗이 땅에 떨어져 비바람을 이기며 성장하여 가을에 새로운 열매를 맺는데, 그 열매에는 본래의 씨앗이 들어있다는 것이다. 이때의 씨앗은 본래의 씨앗이지만 씨앗 그 자체만이 아니라 모진 시련 후에 거둔 풍성한 경험이 응축된 완전체를 말한다. 대순사상에 나타난 요순은 다음의 네 가지 관점에서 분석된다. 첫째는 성(聖)과 웅(雄)을 겸비한 이상적 인간상, 둘째는 이상세계의 고대적 전형, 셋째는 대순진리회 '심법(心法) 수도(修道)'의 고전적 근거, 넷째는 '해원상생(解冤相生)' 진리의 역사적 배경이라는 측면에서 이해된다. 그러나 대순사상에 나타난 요순의 의미는 전통사상에 머물지 않고 일정한 차이점도 지니고 있다. 대순사상에서 성·웅이 겸비된 상태는 위무(威武)와 형벌을 쓰지 않고 조화로써 법리에 맞게 다스리는 모습이며, 그 이상세계는 천지도수가 조정되어 천재지변이 없고 모든 사람이 선하고 지혜로우며 영화를 영원히 누리는 세상이다. 심법을 말하되 그 심법은 상제에 의해 직접 제시된 '상생의 도'를 성·경·신(誠敬信)으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요순과 관련된 원한은 대순사상의 핵심진리인 해원상생을 통해 근본적인 원한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요순관에 대한 연구를 통해 대순사상의 이해를 심화하고, 고전적 인물에 대한 상징과 재해석을 통하여 대순사상의 가치를 새롭게 규명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4. 『書經』, 『禮記』, 『論語』, 『孟子』, 『大學』, 『中庸』, 『史記』
  5. 소강절, 『황극경세서』 관물외편, 서울: 대유학당, 2011.
  6. 『서경』, 권덕주 역해, 서울: 혜원출판사, 1995.
  7. 『장자』, 한용득 역해, 서울: 홍신문화사, 1997.
  8. 사마천, 『사기본기』, 신동준 옮김, 고양: 위즈덤하우스, 2015.
  9. 고남식, 「해원 주제 강증산 전승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
  10. 고남식, 「단주 해원 전승에 대한 문학치료적 접근」, 『문학치료연구』 4, 2006. http://uci.or.kr/G704-SER000008852.2006.4..002
  11. 금종우, 「요순의 정치와 정책원리에 관한 일고찰」, 『교육연구지』 2, 1964.
  12. 김백철, 『두 얼굴의 영조』, 파주: 태학사, 2014.
  13. 김상준, 「예의 기원과 유교적 안티노미」, 『사회와 이론』 7, 2005.
  14. 김승혜, 『유교의 뿌리를 찾아서』, 서울: 지식의 풍경, 2001.
  15. 김충열, 『중국철학사』, 서울: 예문서원, 1994.
  16. 박평선, 「공자 대동사상의 실현 주체와 방법」, 『동양고전연구』 61, 2015. http://doi.org/10.16880/SEC.2015.61.15.439
  17. 에이브러햄 매슬로, 『동기와 성격』, 오혜경 옮김, 파주: 북이십일, 2009.
  18. 오석원, 『유교와 한국유학』,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4.
  19. 유영옥, 「근대 계몽기 정전화(正典化) 모델의 일변화」, 『대동문화연구』 67, 2009. http://doi.org/10.18219/ddmh..67.200909.295
  20. 이광주, 「해원상생의 시발점」, 『대순회보』 145,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3.
  21. 이경원, 『대순진리회 신앙론』, 서울: 문사철, 2012.
  22. 이승률, 「郭店楚簡 『唐虞之道』に見える:「愛親」と「孝」思想の特質」, 『한국철학논집』 11, 2002.
  23. 이유란, 「맹자의 요순관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24. 이창일, 『소강절의 철학』, 서울: 심산, 2007.
  25. 임금복, 「동양의 신화와 동학경전의 비교」, 『동학학보』 11, 2006. http://uci.or.kr/G704-001606.2006.10.1.002
  26. 정인재, 『양명학의 정신』, 서울: 세창, 2014.
  27. 정재서, 『이야기 동양 신화』, 파주: 김영사, 2010.
  28. 정재서, 「강증산의 중국 신화 수용과 그 의미」, 『대순사상논총』 25 상, 2015. https://doi.org/10.25050/jdaos.2015.25.1.1
  29. 정춘수, 『논어를 읽기 전: 천자문에서 소학까지 한 권으로 배우는 고전 입문』 서울: 부키, 2013.
  30. 「종운」, 『대순회보』 3,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5.
  31. 차선근, 「단주의 원에 대한 이해」, 『대순회보』 175,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5.
  32. 차선근, 「대순진리회의 효 윤리에 나타난 종교성 연구」, 『대순사상논총』 27, 2016. https://doi.org/10.25050/jdaos.2016.27.0.171
  33. 최동희, 「해원상생과 우리 일상언어」,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34. Lewis. Mark, Sanctioned Violence in Early China, New York: SUNY Press,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