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lief, Pragmatic Acceptance, and Epistemic Acceptance

믿음, 실용적 수용, 그리고 인식적 수용

  • Received : 2018.03.11
  • Accepted : 2018.05.17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In his recent three papers, Joohan Lee defends the following three theses. First, an ordinary term 'believes' is polysemous in that it can refer to three different types of mental attitudes; that is, it can refer to a belief as an involuntary mental disposition, or a pragmatic acceptance as a voluntary mental action, or an epistemic acceptance as a different voluntary mental action. Second, a person's pragmatic acceptance of a proposition is his voluntary mental action which takes it to be true for pragmatic reasons, despite the fact that there is no adequate epistemic evidence for the proposition, whereas a person's epistemic acceptance of a proposition is his voluntary mental action which takes it to be true for epistemic reasons, despite the fact that there is a pragmatic reason to the contrary. Third, mental attitudes to which epistemic norms apply are epistemic acceptances as voluntary mental actions, rather than beliefs as involuntary mental dispositions. If these theses are correct, then they will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epistemology. In this paper, however, I argue that Joohan Lee is not successful in defending these theses.

이주한 박사는 최근 세 논문들에서 다음 논제들을 옹호한다. 첫째, 일상적 표현 '믿음'은 세 가지 다른 종류의 심적 태도들을 가리키는 다의어이다. 즉 '믿음'은 불수의적 심적 성향으로서의 믿음, 수의적 심적 행위로서의 실용적 수용, 또는 수의적 심적 행위로서의 인식적 수용을 가리킨다. 둘째, 실용적 수용은 증거가 없음에도 실용적 이유에서 특정 명제를 참으로 간주하는 수의적 심적 태도인 반면 인식적 수용은 자신이 믿고 있는 명제를 그것을 거부해야 하는 비인식적 이유를 거스르면서 인식적 이유에서 증거에 따라 참으로 간주하는 수의적 심적 태도이다. 셋째, 의무론적인 인식규범이 적용되는 태도는 불수의적인 심적 성향으로서의 믿음이 아니라, 수의적인 심적 행위로서의 인식적 수용이다. 이 세 논제들은 만약 옳다면, 현대 인식론에 큰 함축을 가지는 독창적인 주장들이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 필자는 이주한 박사가 자신의 논제들을 정당화하는 데 성공적이지 않음을 주장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병덕 (2002), "믿음관념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철학연구, 제56집, pp. 337-357.
  2. 이병덕 (2013), 현대 인식론, 성균관대학교출판부.
  3. 이주한 (2015), "믿음의 불수의성의 필연성", 철학, 제124집, pp. 141-164.
  4. 이주한 (2017a), "'믿음'과 인식적 수용", 논리연구, 제20집 제2호, pp. 197-239.
  5. 이주한 (2017b), "인식적 수용과 공시적인 인식적 의무", 철학 제132집, pp. 111-137.
  6. Alston, William (1996), "Belief, Acceptance, and Religious Faith", in Jeff Jordan and Daniel Howard-Snyder (eds.), Faith, Freedom, and Rationality, Lanham, MD: Rowman and Littlefield, pp. 3-27.
  7. Bratman, Michael (1992), "Practical Reasoning and Acceptance in a Context", Mind, 101 (401), pp. 1-15. https://doi.org/10.1093/mind/101.401.1
  8. Cohen, L. Jonathan (1989), "Belief and Acceptance", Mind, 93 (391), pp. 367-389.
  9. Lee, Byeong D. (2002), "Shoemaker on Second-Order Belief and Self-Deception", Dialogue, 41(2), pp. 279-289. https://doi.org/10.1017/S0012217300013901
  10. Moser, Paul (1989), Knowledge and Evid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