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Open and Close Kinetic Chain Exercise on the Muscle Activity of Pectoralis Major and Triceps

열린사슬운동과 닫힌사슬운동이 큰가슴근과 위팔세갈래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Kim, Ju-O (Dept. of Physical Therapy, Bethesda Hospital) ;
  • Jang, Sang-Hun (Dept. of Physical Therapy, Gimcheun University)
  • 김주오 (베데스다병원 물리치료실) ;
  • 장상훈 (김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Received : 2018.01.27
  • Accepted : 2018.03.08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pen and close kinetic chain exercise on the muscle activity of pectoralis major and triceps. Method: Twenty healthy male college students were assessed three times over two week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KCE(Open Kinetic Chain Exercise) and CKCE(Close Kinetic Chain Exercise). On the first day, the 7th day and the last day, The MP(mean power) and PT(peak torque) of the PM(pectoralis major) and TR(triceps) during the exercise were measured with an electromyography device and the study was compared. Result: In the present study, it was found that Statistical analysis of the measured values at the end of experimental period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P and PT values of TR and PM.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KCE and OKCE may be an effective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for strengthening muscular activity in patients with low activity in the upper limb, including normal subjects, although it is not suitable for effective exercise by selecting either CKCE or OKCE.

Keywords

References

  1. 구봉오 외 6명. 임상운동학 현문사, 2004;11-12.
  2. 국민의 여가활동과 생활체육 참여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2012.
  3. 권유정. 열린 사슬과 닫힌 사슬운동이 정상 성인의 동적 균형 능력과 근활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8.
  4. 권유정 외 2명. 열린사슬운동과 닫힌사슬운동이 정상 성인의 하지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12;7(2);173-182. https://doi.org/10.13066/kspm.2012.7.2.173
  5. 김연주. 닫힌사슬운동이 전십자인대 재건술 환자의 슬관절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6. 김형근. 닫힌사슬과 열린사슬에서의 하지저항운동이 뇌졸중환자의 하지근 활성도, 균형,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2011.
  7. 문성종. 열린사슬운동 밒 닫힌사슬운동에서 상완굴곡 각도에 따른 앞톱니근의 근활성도 비교.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0.
  8. 박경용. 벤치 프레스 운동 시 벤치 각도에 따른 대흉근의 근전도 분석.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3.
  9. 박지환 외 32명. 정형도수 물리치료학 총론. 현문사, 2011;27-29.
  10. 박혜리. 닫힌 힘 사슬과 열린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이 발레 훈련 시 어린이의 근력, 균형 정렬 및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1. 배원식, 김지혁. 닫힌사슬운동과 열린사슬운동이 요부안정화근의 두께에 미치는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2013;1(2);67-80. https://doi.org/10.15268/ksim.2013.1.2.067
  12. 서국응 외 5명. 생체역학. 부산: 으뜸사. 1996.
  13. 석창엽 외 2명 열린사슬 운동과 닫힌사슬운동시내측 광근과 대퇴이두근의 근활성도 차이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8;12(3);115-128.
  14. 위승두 외 2명. Closed kinetic chain 운동과 open kinetic chain 운동시 근육활성도와 피로반응 한국체육학회지. 1995;19;226-235.
  15. 이홍연. 덤벨운동과 웨이트운동이 중년여성의 체력과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6. 임희성. 계단상.하 보행시 대퇴사두근의 근전도 분석. 건국 대학교 대학원. 1998.
  17. 장경태, 이정숙. 웨이트 트레이닝. 서울: 경인문화사. 1992.
  18. 장정훈(역). Kisner C &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5th Edition. 운동치료총론 서울:영문출판사. 2010.
  19. 장준혁. 열린 사슬과 닫힌 사슬에서 위팔 바깥돌림 운동이 가시아래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20. 조정희 , 정소봉. 등장성 운동을 통한 폐쇄역학운동과 개방역학운동의 근 활성도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2011;40(4);633-643.
  21. Brian D. D., Daniel J.C., & Christopher P.R. Areview of open vs.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for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Clin. Exer. Phys. 1999;1(2);57-63.
  22. Enoka, R. M.. Muscle strength and its development. New poerspectives. Sports Med. 1998;6(3);146-168. https://doi.org/10.2165/00007256-198806030-00003
  23. Hakkinen, K., Pakarinen, A., & Kraemer, W. J.(2001). Selective muscle hypertrophy change in EMG and force, and serum hormones during strength training in old women. J Appl physiol, 2001;91;569-580. https://doi.org/10.1152/jappl.2001.91.2.569
  24. Y. J. Choi, H, J, Yu, Human Arm Motion Tracking based on sEMG Signal Processing, Journal of Contrl, Automation, and Systems Engineering, 2007;13(8); 769-776. https://doi.org/10.5302/J.ICROS.2007.13.8.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