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수업에서 온라인 자동평가용 문제해결 프로그래밍 문제은행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blem Bank of Problem Solving Programming Using Online Judge System in Data Structure Education

  • 김성식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오소희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정상수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투고 : 2018.06.19
  • 심사 : 2018.07.29
  • 발행 : 2018.07.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원양성 대학에서 정보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기본이 되는 자료구조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하고 몰입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서, 문제해결 프로그래밍 자동평가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 자료구조의 주요 토픽별 문제 은행을 개발하였다. 자료구조의 주요 토픽에 적합한 프로그래밍 평가 문제은행 70여 문항을 개발하여, 이를 온라인 자동평가 시스템에 탑재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수업 적용 후 결과에 따른 학습동기와 몰입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교원양성 대학에서 문제해결 프로그래밍, 자료구조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 동기를 부여하며, 몰입하여 해결하는' 교수-학습 콘텐츠와 활용방법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propose a problem bank of problem solving programming using Online Judge System as one of the ways to motivate learners and increase for immersion to students who take Data Structure lecture that is the basis of problem solving ability using information science. In order to do this, we developed a question bank for each major topic in the Data Structure, by developing 70 problem solving programming problems suitable for the main topics of the Data Structure. By mounting it on an Online Judge System and applying to actual classes, and by analyzing the motivation for learning and the degree of immersion according to the result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lesson, we propose a teaching-learning contents and usage for problem solving programming and Data Structure classes at the teacher training university which give motivation for learning and immerse in problem solving programm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2. 교육부(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0)
  3. 교육부(2015). 과학 계열 전문교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20)
  4. 오경선, 안성진 (2015). 프로그래밍이 어려운 이유와 컴퓨팅사고력간의 관계성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5), 55-62.
  5. 송지희(2011).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자동채점기반의 프로그래밍 교육 시스템.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6. 정종광(2010). 과학고 학생을 위한 Online Judge 기반 프로그래밍 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7. Yingwei L., Xiaolin W., &Zhengyi , Z.(2008). Programming grid : a computer-aided education system for programming courses based on online judge. ACM SCE '08 Proceedings, 6.
  8. 임형석(2007). ACM-ICPC 문제의 출제 및 채점 과정. 한국정보과학지, 25(7).52-55
  9. GitHub.(2017). zhblue/hustoj. [online] Available at: https://github.com/zhblue/hustoj [Accessed 3 Feb. 2017].
  10. 장원영, 김성식(2017). 정보 교육에서 프로그래밍(알고리즘) 자동 평가 시스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고찰.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1), 13-26
  11. 전용주(2017). 새로운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컴퓨팅 사고력 기반 창의적 문제해결(CT-CPS) 수업모형의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2. 정종광(2017). KoiStudy. [online] Available at: http://koystudy.net [Accessed 3 Feb. 2017].
  13. 장원영(2017). Coding is fun. [online] Avail-able at: http://codingfun.net [Accessed 3 Feb. 2017].
  14. 장원영, 김성식(2014). 알고리즘 자동평가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 프로그래밍 학습 효과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4), 26-34.
  15. 정은미(2009).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주관식 자동 채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석사학위 논문, 안동대학교
  16. 전현석, 정종광, 김성식(2014). C언어 기초 학습을 위한 문제 설계 및 운영.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8(1), 291-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