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ebtoon era, current status of and development measures for cartoon education - Focusing on college comics education -

웹툰 시대, 만화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안 연구 - 대학만화교육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8.05.01
  • Accepted : 2018.06.21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domestic cartoon industry has went through rapid reformation since 2010 incurred by the emergence of webtoon. Most of the students in cartoon schools long to become webtoonists rather than published cartoonists. Cartoon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rather focuses on webtoons. The growth of webtoons in private education, excluding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s even more promising. In the same train of thought, the number of webtoon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 has surged exponentially. Despite provincial colleges experiencing difficulty due to the lack of the student population, the competition for cartoon admission is intensifying. However, college education often maintains curriculums that do not relate to the on-site demands. Cartoon education in the past was mostly carried out through apprenticeship programs. However such programs began to disappear as college education became more common and as people embraced the emergence of webtoons. Instead collective education and author debut programs replaced the old system. Individualization of education is exacerbating as digital writing tools allow individual webtoonists to publish their works on a weekly basis. The background of the growth of webtoon education can obviously be explained by the growth of the market but there are aspects that can't be explained in such a simple manner.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webtoon education status and discusses possible methodological and formation development measures for the future. The introduction examines the change in education and market. The main subject examines the current secondary schools and universities cartoon education and conducts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various education related changes. This study proposes future directions for universities by looking at the webtoon era and education changes in the conclusion. It also researched how the units of college cartoon education will fuse and deduct practical results via government policies.

국내 만화산업은 2010년대 이후 웹툰을 중심으로 급격히 재편되었다. 관련 전공 대학에서도 출판만화작가보다는 웹툰작가를 희망하는 학생이 대부분이다. 대학뿐만 아니라 고등학교 교육이나 중학교에서도 만화교육은 이제 웹툰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사설 웹툰 학원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것도 궤를 같이한다. 학령인구가 줄어들면서 지방대학 중심으로 신입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만화와 관련한 입시는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시대를 역행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 대학교육은 현장의 수요와 동떨어진 커리큘럼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대학 교육이 일반화되고, 웹툰시대가 도래하면서 도제식교육은 점차 자취를 감추었다. 그 자리에 집체교육과 개인 기량을 중시하는 작가데뷔 프로그램이 정착하면서 과거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웹툰 제작에 디지털 저작도구의 전폭적인 도입은 1인이 주간 연재가 가능하도록 하여 교육의 개인화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웹툰교육의 성장은 웹툰시장의 활황에서 1차적인 원인을 찾을 수 있지만 단편적인 분석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만화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웹툰 시대를 맞아 만화교육이 어떠한 방식과 형태로 바뀌어 나가야할지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서론에서는 만화교육의 변화를 시장의 변화와 함께 찾아보았다. 본론에서는 고등학교, 대학교, 사설 교육의 현황을 살피고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 관련 움직임에 대해 포괄적으로 점검하였다. 특히 웹툰 시대를 기반으로 한 변화의 흐름을 집중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했다. 결론에서는 웹툰 시대와 교육의 변화를 통해 궁극적으로 대학이 추구해야할 바람직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정부의 정책을 통해 대학만화교육의 여러 단위들이 어떻게 융합하고 결과를 만들어 낼지 연구했다.

Keywords

References

  1. 임청산, 만화영상예술학, 대훈닷컵, 2003.11.10. p263.
  2. 강은원, 이승진, 웹툰작가의 인적자원개발 모델링연구 : 창의인재동반 사업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46호(2017.3.31) (사)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pp.142-143
  3. 남혜연, 문화교육으로서 만화교육의 역할과 과제, 만화문화연구, (사)부천만화정보센터, 2004.1.15. pp.80-81.
  4. 임학순, 만화애니메이션 교육 강사의 전문직종화를 위한 지원모델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11호(2007, 8.31) (사)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p.26
  5. 키쿠치 마사루. 일본만화전공대학의 만화교육체계와 입시체계, 그리고 장기적인 발전방법 세계청년만화교육 컨퍼런스 자료집. 2017.7.19. p53.
  6. 웹툰가이드, 한국웹툰대쉬보드, https://was.webtoonguide.com/dashboard, 2018,5.1.
  7.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디지털규장각, 기업.기관.단체.플랫폼, 교육,연구기관. http://www.komacon.kr/dmk/manhwatong/organization_search.asp?srh_fld=2&srh_sfld=1 2018,5.
  8. 오필정, '미국의 상업예술교육과 요즘', 디지지털만화규장각, http://www.komacon.kr/dmk/manhwazine/zine_view.asp?Seq=1769&nowPage=1 2012.11.22.
  9. 윤보경, '두 번째 만화 대담 (Rencontres nationales de la bande dessinee) : 교육과 만화', 디지지털만화규장각http://www.komacon.kr/dmk/manhwazine/zine_view.asp?Seq=3077&nowPage=1, 2017.10.17.
  10. 이안일본유학 블로그. [일본대학 만화학과] 만화를 배울 수 있는 일본 대학. https://blog.naver.com/ianyuhak/220769687990 2016.7.23..
  11. 장윤석, '유럽만화학교' #02. 벨기에 : 생-뤽 고등미술학교, 에이코믹스 https://acomics.webtoonguide.com/archives/24876. 2015.3.10..
  12. 장윤석, '유럽의 만화학교 #03 스위스 - 핀란드 - 독일 , 에이코믹스 https://acomics.webtoonguide.com/archives/25027. 2015.3.17.
  13. 장윤석, 만화의 새로운 지위를 모색하는 '유럽만화학교' #4. 유럽만화의 대칭점 '미국', 에이코믹스. https://acomics.webtoonguide.com/archives/25165. 2015.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