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만화산업

Search Result 25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만화출판이 정착돼야 만화산업이 산다"

  • Jeong, Hye-Ok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172
    • /
    • pp.8-9
    • /
    • 1995
  • 만화출판이 정착되는 데는 걸림돌들이 많다. 서점이나 독자들은 아직 만화책을 돈주고 사보는 책으로 생각지 않는다. 서점에 놓인 책은 활자책에 비해 푸대접당하고 웬만큼 유명해도 잘 팔리지 않는다. 만화출판이 정착하고 않고는 우리의 만화산업이 부흥하느냐의 문제와 직결해 있다.

  • PDF

책이 만들어지기까지-꿈과 희망으로 만들어지는 만화책

  • Kim, Jeong-Sang
    • 프린팅코리아
    • /
    • s.53
    • /
    • pp.122-129
    • /
    • 2006
  • 최근 만화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만화의 위상이 한껏 높아지고 있다. 이제 만화는 더이상 하류 문화가 아닌, 문화산업의 중심으로 더 오르고 있다. 그러나 정작 만화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많지 않다. 만화가 가진 장점은 무엇이고, 또 큰 인기를 얻을 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 국내 만화산업 발전과정을 알아보고, 만화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벼봤다.

  • PDF

Revitalization of Old Time Comics: Case Study on the Remake Policy Managed by KOMACON (만화산업의 발전과 진흥 사례연구: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의 리메이크 정책을 중심으로)

  • Kwon, Jae-Woong;Park, Seung-Hyu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19
    • /
    • pp.199-224
    • /
    • 2010
  • Since the mid 1990s, Korea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ntent industry and has carried out several support policies. Especially, the support system for the comic industry has been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organizations for this area have tried to extend the type of support programs and objects as well. One of the remarkable changes made by these support programs is to encourage the remaking of old comics, which mostly are published comics in 1970s and 1980s, into the new format, the webtoon. Some of revitalized old comics are open to public through several portal web sites, and people can reach them easily by free.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support programs run by policy organizations that are managed in the regional level. This research mainly deals with the type of support programs for the remade old comics and, at the same time, considers the meanings of this support programs for the Korean comic industry.

  • PDF

Analysis the Korea Movie's Success Factors of Comics Published (만화원작의 한국영화 흥행요소 분석)

  • Park, Chan-I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550-553
    • /
    • 2011
  • 영화산업의 메카라 불리우는 헐리우드를 비롯한 세계 영화계는 극심한 소재의 고갈로 비슷비슷한 내용의 반복, 기존의 영화를 리메이크하여 제작하는 관행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런 현상은 다른 영역의 콘텐츠를 영화로 재가공하는 'One Source Multi Use'의 확산을 가지고 왔는데, One Source Multi Use의 원천 소스로 가장 각광받고 있는 것이 만화다. 미국은 1930년대 초반부터 코믹스라는 장르의 만화산업이 발전하여 방대한 그래픽노블과 코믹스를 원천소스로 '슈퍼맨', '배트맨', '스파이더맨' 등의 시리즈를 내놓고 있다. 한국 역시 많은 수의 만화원작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한국이 다른 나라와는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 만화생산 및 소비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것에 기인하는데 그것이 바로 만화가게로 일컬어지는 대본소 시스템이다. 대본소를 통한 만화의 보급은 가공할 만화의 생산을 주도했고 일간지를 통해 연재된 장편만화 역시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시스템이다. 근래에 이르러 문화산업의 원천소스로 각광받는 만화는 스토리텔링을 근간으로 하기에 다양하게 다른 매체로 전이되고 재생산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지 만화로서가 아닌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는 만화원작의 필요조건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Cartoon Style in Image Contents (영상 콘텐츠에 나타나는 만화적 표현에 관한 연구)

  • Lee, Young-Sook;Lee, Heon-Woo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24
    • /
    • pp.65-82
    • /
    • 2011
  • Since the arrival of the internet, numerous creative content industries have been active online. In particular, additional training has been necessary due to higher interest in e-Book publishing, and the opening and expansion of the online comics industry. However, as for the study of film gramma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lively and diverse expression in cartoon directing. In this study, animation and painting techniques, with examples of cartoons being expressed cartoon is intended to provide the possibility of directing. In addition, the comics industry one source multi user to the related industries is a key element with the value-added industries. So in other media expressed a wide range of research on the techniques of comic culture shall serve as key elements of the content looks.

진지한 시각 돋보이는 만화연구서

  • Han, Gang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172
    • /
    • pp.7-7
    • /
    • 1995
  • 만화예술과 산업을 진지한 시각으로 다룬 연구서들이 다양하고 활발하게 출간되고 있다. 우리나라 만화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개괄한 연구서, 만화 선각자들의 삶과 작품세계를 작가별로 정리한 책, 만화산업구조를 체계적.과학적으로 분석한 연구서 등은 이제 만화가 당당하게 문화의 한 영역으로 주목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본격적인 저작들이다.

  • PDF

Cartoonists' Awareness of the Comic Industries Cluster (만화클러스터에 대한 만화창작인력의 인식 연구)

  • Yim, Haksoo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36
    • /
    • pp.593-617
    • /
    • 2014
  • This article is aimed at evaluating the comic industries cluster in the cartoonists' perspective in terms of benefits, innovation milieu and loyalty. This article surveyed the 105 cartoonists in the Bucheon comic industries cluster, which has been established since 1998. As a result of analysis, cartoonists evaluated the comic industries cluster in term of facilities,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social relationship in the positive way. However, the business network with the comic companies, the other contents industries is not established. Th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the cartoonists and local communities is not active in the Bucheon comic industries cluster. In addition, while comic industries cluster is effective in terms of city branding, the comic industries cluster is not effective in terms of economic impacts. In general, cartoonists' loyalty to the comic industries cluster is highly evaluated. The five factors such as knowledge, policy, urban regeneration, facilities are very significant in terms of the cartoonists' loyalty. This article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sustainable strategies of the comic industries cluster in the context of creative city through comic resources.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Issuing Terms and Systemizing of Cartoon Term (만화용어 체계화 및 쟁점용어 표준화를 위한 연구)

  • Yoon, Ki-Heon;Kim, Byoung-Soo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10
    • /
    • pp.73-90
    • /
    • 2006
  • The roles and needs of contents are increasing moving toward sensitivities and culture in terms of key values in the 21st century. The cartoon is evaluated in invaluable as the original contents. Moreover, the size of these industries and employees are extending. Regardless of the quantitative expansion, however, it is real situation that is delaying in the disciplinary development and that is scare in partnership with industries. It is needs to develop the textbook and its' systemizing, standardization of cartoon language, and cartoon dictionary development. Using the cartoon language widely, it requires universality, simultaneously it needs a times and exact definition in advance. The study and standardization work of cartoon terms in base endure the industry development and disciplinary research which enhance the efficiency between the two sectors.

  • PDF

성공한 학습만화 사례 분석

  • Baek, Eun-Ji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4-11
    • /
    • 2011
  • <2010 만화산업백서>에서는 2009년과 2010년 상반기 주요 이슈 중 하나로 학습만화의 강세를 꼽았다. 시리즈(예림당)는 3천만 부를 돌파했고, <만화로 보는 그리스로마신화>(가나출판사)는 2천 3백만 부를, <먼나라 이웃나라>(김영사)는 1천 5백만 부, <마법천자문>(아울북)은 1천3백만 부, <코믹 메이플 스토리>(서울문화사)는 1천 1백만 부, <서바이벌 만화 과학상식>시리즈(아이세움)는 1천 만부를 각각 돌파했다고 한다. 초판 발행 부수가 2,000부도 넘지 못하고 있는 현 만화 단행본 시장에서 이러한 학습만화의 강세는 단순한 유행이나 교육열을 넘어, 학습만화가 한국 만화 산업에 중요한 위치로 자리매김 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2009년 출판만화 시장의 현황을 보면, 어린이만화는 총 927종이 발행되어 시장 규모가 2,362억 원에 달해, 출판만화 전체 시장의 67%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한국 만화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1) 1970년대 '만화전집' 형태로 출판되어 영업사원들에 의해 판매되던 한국 학습만화는 1987년 고려원에서 출간된 이원복의 <먼나라 이웃나라>에 이르러 대중들에게 주목받기 시작했다. 그러던 것이 2000년 초반 <만화로 보는 그리스로마신화>와 <서바이벌 만화 과학상식>시리즈와 <마법 천자문> 등이 참신한 기획력과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천만 부 시대를 열었고, 시리즈에 이르러 3천 만부를 돌파하면서, 명실상부 학습만화 시대를 열었다. 물론 2000년대 중반 인기작의 아류작들이 쏟아져 나오고, 만화 출판 경험이 없는 출판사들이 학습만화 시장에 뛰어 들면서 학습만화 시장의 거품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아주 없었던 것은 아니다. 실제로 학습만화 시장에 뛰어 들었던 많은 출판사들이 서점 가판대에 제대로 진열조차 못해본 체 사라져 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습만화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천만 부 이상을 판매하고 있는 학습만화의 성공요인은 무엇일까? 본고에서는 성공한 학습만화의 스토리텔링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분석해 보고, 변화한 스토리텔링 방식이 마케팅과 기획력과 결합해 어떻게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는지 사례별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