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ducation Use of Animation in Literacy Based on the Media Literacy Approach

미디어 리터러시 접근법을 활용한 애니메이션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 장은영 (한국예술종합학교 애니메이션과)
  • Received : 2018.05.01
  • Accepted : 2018.06.13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lans of educationally using animation literacy on the basis of a media literacy approach. For this study, animation literacy class as a liberal arts was conducted, which students studying animation at university attended. In order to explore the plans of using animation literacy, students' perception of using animation literacy was examined after completing animation literacy class. Also, in-depth interview with experts participating in animation literacy class was performed. Results showed that all students taking animation literacy class acknowledged the educational value of animation literacy and could think over cultural and social implications of animation through class. Also, they could have various perspectives as an acceptor and analytical mind-set as a creator. Findings from in-depth interview with specialists indicated that education on animation literacy was indispensably necessary, and systemicity and objective criteria needed to be established. On top of that, experts proposed the way that through expansion of topics, and diverse animation works, students voluntarily and actively could participate in clas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because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ho were students majoring in animation, class to foster a perspective and ability as not only a viewer and an acceptor but also a producer and a creator should be add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education on animation literacy, and future studies on education of animation literacy will be continuously conducted.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 접근법을 활용하여 애니메이션 리터러시의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영상 애니메이션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대학 교양수업에서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수업을 진행하였고, 수업 이후 학생의 인식 및 수업을 참관한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수업의 활용방안에 대해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에 참여했던 모든 학생이 애니메이션 리터러시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인정하고, 수업을 통해 애니메이션의 문화 사회적 함의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었으며, 수용자로서의 다양한 시각과 창작자로서의 분석적 사고방식을 가질 수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전문가의 심층인터뷰에서는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고, 체계성과 객관적 기준이 마련되어야 함을 지적했으며, 다양한 작품과 주제의 확대를 통해 학생들이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으로 나아가야 할 것을 조언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이 영상과 애니메이션을 전공하는 대학생인만큼 감상 및 수용자의 입장에서 한발 더 나아가 창작자의 관점에서 능력 배양을 위한 수업이 보강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통해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교육 관련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교육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태 외, 미디어 교육과 교과과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2. 김재웅 외,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연구-만화애니메이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3. 박기수, 애니메이션 서사 구조와 전략, 논형, 2004.
  4. 손기환, 조정래,애니메이션의 이해와 감상, 보고사, 2005.
  5. 스가야 아키코 지음, 안해룡.안미라 옮김, 미디어 리터러시,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6. 김양은,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을 통한 읽기 증진 사례연구, 건국대학원 언론홍보대학원(2014, 2).
  7. 신이진, 단편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2015, 2).
  8. 김복영, 사회과 교육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사회과교육, 제41권 4호(2002), pp.25.
  9. 넬슨신, 애니메이션 교육의 중요성,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통권 제4호(2000), pp.52-63.
  10. 박기수,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향유의 전략화, 한국학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통권 제25호( 2006), pp.45-70.
  11. 박유신, 시각문화교육과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애니메이션 교육의 방향,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통권 제35호(2014), pp.29-65.
  12. 박혜령, 김지윤, 임유진, 유은정, 미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체계와 교육 현장을 통해 본 국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발전 방향, 2017 동계 이화 글로벌 프론티어 프로그램 탐사보고서, 2017.
  13. 박희현, 애니메이션 제작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향 연구, 한국융합학회지, 제8권 2호( 2017), pp.149-155.
  14. 안정임, 김양은, 박상호, 임성원, 미디어교육 효과측정 모델: 미디어 리터러시 지수개발, 한국언론재단, 2009 미디어 교육 연구서, 2009.
  15. 이수범, 손영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를 위한 브랜드 개발 연구,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2017.
  16. 정현선 외, 미디어 문해력(literacy)향상을 위한 교실수업 개선 방안연구, 교육부, 2015.
  17. 조정래, 문화예술교육에서 애니메이션에 대한 논의 분석,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통권 제31호(2013), p p.29-55.
  18. 한국콘텐츠진흥원, 미디어 리터러시(Literacy) 국내외 동향 및 정책방향, 코카포커스, 통권 제67호(2013).
  19. 황금숙, 도서관에서의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통권 제39권 3호(2008), pp.73-94.
  20. (Pixar,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