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스마트시티 서비스 니즈 도출을 위한 사용자 행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 Behavior Analysis for Deriving Smart City Service Needs

  • 안세윤 (국립한밭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 김소연 (국립한밭대학교 UCRC 연구소)
  • 투고 : 2018.06.12
  • 심사 : 2018.07.02
  • 발행 : 2018.07.28

초록

최근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시티 서비스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계획하 기 위한 사전 연구로 사용자의 니즈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서비스에 대한 니즈를 도출하기 위해 GIS 기반 위치분석데이터와 비디오 에스노그래피 방법론을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로 선정된 대전 도안지구의 현장조사를 통해 사용자의 집객도가 높은 지역을 세부조사대상지로 선정하고, 도로교통공단의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 : Traffic Accidents Analysis System)의 위치분석데이터를 이용하여 주변 보행환경을 함께 조사하였다. 또한 비디오 에스노그래피의 고정카메라기법을 통해 사용자의 행위 유형과 변화를 관찰하였다. 추출된 영상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활동을 11개의 세분화 된 유형으로 분류하고, 관찰되는 문제점 및 특이사항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된 사용자 행위특성은 향후 사용자 중심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제안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user-centered smart city services. In this study, user behavior analysis was performed as a preliminary study for user - centered smart city service planning. In particular, we will use GIS based location analysis data and video ethonography methodology to derive smart city service direction and needs. In this study, the area of Daejeon Design District selected as the Smart City Test bed was selected as the survey area and the location analysis data of the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of the road traffic corporation and the fixed camera We observed user's behavior type and change with image data extracted through the technique. Location analysis data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accident, and image data is classified into 11 subdivided types of user activities. The problems and specificities observed were analyzed. The user behavior characteristics investigated through this study are meaningful to provide a basis for suggesting user - centered smart city services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상호, 임윤택, 안세윤, 스마트시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2. 안세윤, User Centered Smart City Test bed, 2017 건축도시대회 건축도시산업발전 특성화포럼 스마트시티-스마트 건축포럼, 2017.
  3. J. Spradley, "The Ethnographic Interview," Wadsworth Group, Vol.3, No.16, 1979.
  4. http://servicedesignplatform.com
  5. J. Zeisel, Inquiry by design: Tools for environment-behaviour research (No.5), CUP archive, 1984.
  6. 송현수, 김민중, 정상훈, 석현정, 권동수, 김명석, "비디오 에스노그래피를 이용한 서비스 로봇의 대기상태 행동패턴 연구," 감성과학, 제11권, 제4호, pp.629-636, 2008.
  7. 강상현, 김호성,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확산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이슈분석," Internet & Security Focus, 제4호, pp.45-65, 2014.
  8. 김소연, 안세윤, "페르소나를 활용한 보행공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6권, 제2호, pp.12-20, 2016.
  9. 오성훈, 이소민, 보행환경과 행태 : 조사분석보고서, 건축도시공간연구소, pp.143-147, 2013.
  10. http://taas.koro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