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개호사고에서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연구 -일본의 판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mpensation for Damage in Civil Litigation of Japanese Long-term Care Facilities

  • 정다영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투고 : 2018.09.17
  • 심사 : 2018.09.28
  • 발행 : 2018.09.30

초록

일본은 고령화가 빠르게 진전되어 이미 총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해당한다. 일본의 판례는 요양시설에 입소한 고령자가 사상을 당한 다수의 사안에서 요양시설의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하였다. 구체적인 사안들은 ①전도 또는 전락, ②배회 또는 무단외출, ③질식, ④욕창 및 ⑤이용자 간 사고의 5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판례는 대부분의 사안에서 채무불이행책임을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며, 과실 또는 안전배려의무 위반을 인정하였다. 과실 또는 의무위반은 시설의 관리자 또는 직원이 입소자를 주시하고 주의를 기울일 의무를 위반한 경우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인적·물적 체제를 정비하지 못한 것 자체만으로도 인정된다. 특히 일본에서는 신속한 권리 구제를 위하여 손해배상에 관한 특약 조항이 있는 경우 원고는 사고 및 손해의 발생을 주장·입증하면 충분하고, 피고로서는 불가항력에 의한 사고임을 주장·입증하지 않는 한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한다고 하여 입증책임의 전환을 인정한다. 그런데 요양시설의 손해배상책임은 시설에서 대상자의 입소를 허락하고 서비스이용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주저할 만큼 과중한 것이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일본 재판소가 상대적으로 과실상계와 소인감액을 널리 인정한 논리는 충분히 음미할 필요성이 있다. 개호사고 소송에서 법원의 판단은 구체적인 사실관계에 근거한 사례판단이지만, 개호사업자와 이용자에 대한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향후 우리나라에서 개호사고 소송의 심리·판단 뿐 아니라 요양자의 일탈 및 사고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인적·물적 체제를 구축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법안을 입안함에 있어서도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Japan is a super-aged society where the proportion of the people aged over 65 is exceeded 20%. Therefore, there are many accidents that occur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Japan, and there are many civil litigations. The Japanese court has acknowledged in many cases that the long-term facility is responsible for the damage to the elderly who is injured in the facility. The cases can be divided into ① tumbling down, ② wandering, ③ suffocation, ④ bedsore, and ⑤ accidents among the facility-users. In most cases, the court found that the facility violated its obligation to protect their users. This i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manager or the employee of the facility violates the obligation to watch and care for the elderly, but in some cases, the failure to maintain the human and material system itself is recognized. The basis for such judgment is whether the facility can predict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and whether the facility has taken measures to prevent accidents. Also, the Japanese court recognizes the transfer of burden of proof in order to expedite the victims' rights. However, the liability of the facility for damages should not be so heavy that it would be hesitant to allow a person to enter the facility and make a contract.

키워드

참고문헌

  1. 윤기혁.박경일, "한국 노인요양시설의 요양사고 판례분석 연구: 요양사고 유형, 쟁점 사항 및 예방 대책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43권 3호, 2016.
  2.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5-2065, 2017.
  3. 한국법제연구원, 노인요양법제의 현황과 과제, 2003.
  4. 警察庁生活安全局生活安全企画課, 平成27年中における行方不明者の状況(平成28年6月), 2016.
  5. 古笛恵子 編, 介護事故における注意義務と責任, 新日本法規, 2008.
  6. 宮本健蔵, "雇傭.勞動契約における安全配慮義務", 下森定 編, 安全配慮義務法理の形成と展開, 日本評論社, 1988.
  7. 碓井光明, 社会保障財政法精義, 信山社, 2009.
  8. 林潤, "介護施設における介護者側の注意義務違反", 福田剛久ほか 編, 最新裁判実務大系 第2巻 医療訴訟, 青林書院, 2014.
  9. 石田道彦, "医療法人制度の機能と課題", 社会保障法研究 4号, 2014.
  10. 矢田尚子, "徘徊事故に対する介護事業者の責任", 新.判例解説 Watch vol.20, 2017.
  11. 原田啓一郎, "医療.介護サービス提供主体と特殊な法人形態 社会福祉法人と医療法人を中心に(特集 保障.分配.機能強化の中の社会保障)", 法律時報 89巻3号(通巻1109号), 2017.
  12. 佐藤丈宜, "介護事故による損害賠償請求訴訟の裁判例概観 -過失.安全配慮義務違反の判断を中心として-", 判例タイムズ 1423号, 2016.
  13. 中田裕康, "繼續的役務提供契約の問題點(中)", NBL 601號, 1996.
  14. 浦川道太郞, "サ一ビス契約における消費者被害救濟", 岩波講座現代の法, 1997.
  15. 厚生労働省, 種類別医療法人数の年次推移, 2016.
  16. 厚生労働省, 平成27年(2015)医療施設(動態)調査.病院報告の概況, 2015.
  17. 厚生省社会局老人福祉課 編, 老人福祉法の解説, 中央法規出版,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