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 지속가능발전교육 활동의 효과

The Effects of Educational Activit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윤정희 (ASE 직장 어린이집) ;
  • 김희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 투고 : 2018.01.30
  • 심사 : 2018.03.24
  • 발행 : 2018.03.30

초록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 활동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P시의 A어린이집 유아 20명을 실험집단(남아11명, 여아9명)으로, G어린이집의 20명을 통제집단(남아11명, 여아9명)으로 구성하고 8주 동안 실험집단에는 지속가능발전교육활동을, 통제집단에게는 누리과정 생활주제와 일상적인 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지속가능발전교육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 배려행동은 증가했다. 둘째, 유아 지속가능발전교육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 공동체의식은 증가되었다. 셋째, 유아 지속가능발전교육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 소비자 행동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구성한 유아 지속가능발전교육 활동은 유아의 배려행동과 공동체의식, 소비자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 지속가능발전교육 활동을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하는 것은 가치가 있는 것임을 본 연구는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m. To do this, 40 5-year-old children of day care centers in P city, Gyeonggi-do were grouped the experimental group(11 male, 9 female) and the controlled(11 male, 9 female).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taken the 16 activities based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for 8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the increase of the score in the whole subconcept of the care behavior, which means that the activities in this study are effective for children's care behaviors. Second, the children in this study shows the increase of the community consciousness scores, which means that the activities executed in this study are effective for children's community consciousness. Third,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is study shows the increase of the score of consumer behaviors, which means that the activities formed in this study are efficient for young children's consumer behaviors. This study implies that the activit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정리(2013). 유아 공동체의식 함양 활동 구성 및 적용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교육과학 기술부, 보건복지부(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3. 권영임(2009).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방안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8(2), 11-230.
  4. 권순남(2015). 소비자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소비인식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민경(2014). 지속가능발전교육관점으로 본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활동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5), 495-518.
  6. 김숙자, 홍희주, 김현정, 한미선(2014).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 지향적 유아 교육에서의 교육내용 분석: 만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8(5), 527-540.
  7. 김세미(2015). 지속가능발전교육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정림(2015). 유아 배려행동 척도의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희경(2014). 가치탐구모형에 기초한 환경친화적 유아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류지선(2016).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나눔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이타성 및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태윤, 성정희(2007).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 지침서. 서울: 유네스코한국 위원회.유엔지속가능 발전교육 통영센터.
  12. 변길희(2005).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 기본개념과 소비자 행동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송응식(2014).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과정 지역화의 재 방향 설정. 열린교육연구, 22(1), 307-321.
  14. 신배은(2015).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을 준 경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경제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신은수, 박은혜(2012).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과정의 재방향 설정. 육아지원연구, 7(1), 27-50.
  16. 우남희, 이연섭, 정진경, 정병호, 이기범(2001). 21세기 한국사회의 공동체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공동체 교육: 이론과 실천의 장기참여관찰 연구II. 서울: 한국학술 진흥재단.
  17. 유영의, 김은정, 신은수, 박은혜(2013).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한국의 교육정책 및 현 국가수준 교육 과정의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3), 319-341.
  18. 윤복희(2014). 지속가능발전교육 사례로서의 시장 프로젝트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2), 866-874. https://doi.org/10.5762/KAIS.2014.15.2.866
  19. 이인선(2014).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 실행 및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전예화, 제미경 (2012). 녹색소비 실천교육이 유아의 녹색소비 인식 및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21(3), 527-537. https://doi.org/10.5934/KJHE.2012.21.3.537
  21. 정기섭(2010).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발도르프교육 연구, 2(1), 65-96.
  22. 지옥정(2011).'지속가능성을 위한 유아교육' 사례로서의 '무심천 프로젝트'에 나타난 유아들의 지역사회참여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363-382.
  23. 지옥정(2013).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공원 프로젝트' 중 유아들의 공원에 대한 인식 변화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12(3), 373-396.
  24. 지옥정(2014a).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종이 프로젝트'에서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연계 주체들에게 미친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3(3), 199-225.
  25. 지옥정(2014b). 환경기념일로 풀어 본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서울: 창지사.
  26. 지방의제 21 전국협의회(2006). 지속가능발전교육자료 SERIES 1. 서울: (주) 그린페이지.
  27. 지옥정, 허미화, 백은주, 정미라(2014).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본 어린이집 교사의 물교육 실태, 인식 및 요구. 어린이미디어연구, 13(1), 191-221.
  28. 지옥정, 허미화, 백은주, 정미라(2015). 우리나라 유치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실태 조사. 한국 영유아 보육학, 1(1), 23-52.
  29. 최현정, 장석경(2014). 3-5세 누리과정 지도서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8(4), 251-270.
  30. 함은지(2015). 지속가능발전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와 배려행동에 미치는 효과 및 요소 분석. 강릉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Siraj-Blatchford, J., Smith, K. C., & Pramling-Samuelsson, I. P.(2012). 박은혜, 신은수(역).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32. UNESCO(2005).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2014: Draft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Paris, France: UNESCO.
  33. UNESCO(2012).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ource book. Paris, France: UNESCO.
  34.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WCED 1987). Our Common Future. 조형준, 홍성태 역(1994). 우리 공동의 미래. 서울: 새 물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