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Needs for Community Space and Child-care Supporting Services in Urban Dual Low-income Families

도시 저소득층 맞벌이 가정의 공유공간과 육아지원서비스에 대한 요구 분석

  • 임예지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 이연숙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Received : 2018.03.31
  • Accepted : 2018.05.08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Although the number of dual low-income families continues to increase, working mothers are suffering from difficulties from housework and child rearing due to the economic difficulties and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By understanding the needs about community space and child-care support services, this study will look into planning cooperative child-care environments for dual low-income families with infants and children.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is research targeted 151 dual income families with an average monthly income level of 1-3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SPS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view, respon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cooperative child-care. Out of the 20 general community spaces, the need for an indoor playground, recreation room, day nursery, separate garbage and reading room ranked high. Overall, 21 child-care community spaces and 11 child-care support services were generally rated highly.

Keywords

References

  1. 서울연구원, 서울의 맞벌이 부부 현황은? 서울연구원 인포그래픽스, 제95호, 2014.7.21
  2. 임윤희, 코하우징의 공동육아환경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3
  3. 김미선, 도시 저소득층 맞벌이부부의 자녀보육문제와 개선방안, 한양 석사논문, 2004
  4. 이연숙, 신화경, 홍미혜, 거주자 특성별 주민공유공간 요구에 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8권, 1호, 1997
  5. 남궁서영, 코하우징의 공동생활시설 계획, 카톨릭대 석사논문, 2001
  6. 한주희, 맞벌이 가족을 위한 한국형 코하우징 계획안, 가톨릭대 박사논문, 2005
  7. 최주명, 도시저소득층의 보육서비스에 대한 요구: 안산시, 시흥시를 중심으로, 아주대 석사논문, 2007
  8. 최영란, 맞벌이 가정의 자녀양육부담실태와 지원욕구에 관한 연구, 가야대 석사논문, 2011
  9. 안광호, 임병훈, SPSS를 활용한 사회과학조사방법론, 2004
  10. 오선영, 도시 소득층 취업모의 자녀위탁실태 및 탁아서비스에 대한 요구 조사, 전남대 석사논문, 1993
  11. 곽은순, 정미라, 저소득층 아동의 주거환경,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8권, 3호, 2007
  12. 이인희, 저소득층의 주거복지인식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009
  13. 이재법, 맞벌이가정 아버지의 직무만족과 자녀 양육 참여가 가정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 박사논문, 2015
  14. 통계청, 2016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부가항목)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 2017
  15. 통계청, 2016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부가항목)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 2017
  16. 이지선, 한국 맞벌이, 가사노동 시간이 부족하다. LG Business Insight, 1190, 2012.3.28
  17. 유명희, 공동육아 협동조합 어린이집 보육철학과 건축공간의 관계성, 한국교육시설학회지, 19권, 2호, 2012
  18. 문금희, 공동육아시설을 위한 환경디자인의 개념과 기준. 한국디자인학회지, 12권, 2호, 1999
  19. 육아정책연구소, 지역사회 공동육아 활성화 방안, 2013
  20. 이혜선, 공동육아 어린이집의 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03
  21. 김경애, 맞벌이 부부의 심리적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청주대 석사논문, 2008
  22. 이연숙, 미래주택과 공유공간, 경춘사, 1995
  23. 이부미, 공동육아 놀이문화의 구성요소 및 교육적 의미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지, 8권, 2호, 2009
  24. 유해미, 김문정, 지역사회 공동육아 활성화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3
  25. 김수경, 정유선, 윤정숙, 한.일 취업주부의 가사생활 실태 및 주거요구 비교, 한국주거학회지, 13권, 1호, 2002
  26. 안호, 임병훈, SPSS를 활용한 사회과학조사방법론, 학현사, 2004
  27. 강나나, 아파트단지 거주 맞벌이주부의 선호 주거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 석사논문, 2008
  28. 이주림, 주거 생활권의 육아환경 평가체계 및 영유아 부모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양대 박사논문, 2014
  29. 김성진, 주거이전 동기와 가족구성원 간 향력: 서울시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강원대 박사논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