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ize distributions of suspended fine particles during cleaning in an office

사무실의 실내 청소 과정에서 부유하는 미세먼지의 크기분포

  • Received : 2018.06.19
  • Accepted : 2018.06.26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 of fine indoor dust and the size distribution of fine indoor dust were analyzed by measuring the dust generated during the cleaning process of an indoor office. We measured $PM_{10}$, $PM_{2.5}$, and $PM_{1.0}$ and analyzed the size distributions of dust larger than $0.3{\mu}m$ in diameter during clean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PM_{10}$ increased rapidly during cleaning, however $PM_{1.0}$ did not increase. Before cleaning with a broom, the fine dust concentration was about $50{\mu}g/m^3$, but increased to about $400{\mu}g/m^3$ as cleaning progressed. In the case of indoor cleaning with a vacuum cleaner, the concentration of $PM_{10}$ increased during the cleaning process and the increase of $PM_{2.5}$ was relatively small. $PM_{1.0}$ did not increase as in the case of cleaning the broom.

본 연구에서는 청소 과정에서 바닥에 먼지가 실내 공기 중으로 비산되는 특성을 공기 중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신발을 벗지 않고 생활하는 국내 사무실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내 청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측정하였다. 미세먼지($PM_{10}$)와 초미세먼지($PM_{2.5}$)와 $1{\mu}m$ 보다 작은 먼지의 무게농도($PM_{1.0}$)을 분석하였고, 청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0.3{\mu}m$ 이상의 먼지의 크기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빗자루질과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재비산 되는 미세먼지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입자의 크기에 따른 재비산 특성과 실내 농도 변화 특성을 확인하였다. $PM_{2.5}$$PM_{10}$은 청소 시작과 함께 농도가 증가하였고, 청소 이후에도 실내에 부유하여 장시간 인체에 노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PM_{1.0}$은 상대적으로 청소과정에서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없었다. 특히, $2.5{\sim}10{\mu}m$ 크기의 먼지는 바닥에 먼지가 많은 조건에서 빗자루질로 청소하는 경우, 초기 농도의 약 60배까지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바닥에 먼지가 적은 조건에서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경우도 $2.5{\sim}10{\mu}m$ 크기의 먼지가 증가하였지만 초기 농도의 5배 이하였다. 중성능급 배기필터가 장착된 진공청소기가 가동하는 동안 CPC로 측정된 총 개수농도가 급격히 증가한 후 감소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개수로 대부분을 차지하는 먼지는 250 nm 보다 작은 크기였다. 실내 거주자의 미세먼지 노출은 외부에서 유입된 대기 미세먼지와 실내에서 발생된 실내 생성 미세먼지가 함께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국내 실내 활동 중 발생되는 미세먼지에 대한 체계적인 측정과 분석 연구가 많지 않았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대기 미세먼지 연구 뿐 아니라 앞으로는 실내의 다양한 활동에 기인한 미세먼지 생성 특성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Bae, G. N., and Kim, J. B. (2017). Research trend on behavior and control of indoor aerosol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6(2), 99-112. https://doi.org/10.15250/joie.2017.16.2.99
  2. Hinds, W. C. (1998). Aerosol Technology : Properties, behavior, and measurement of airborne particles, John Wiley and Sons Inc, Second Edition.
  3. Knibbs, L. D., Congrong, H., Duchaine, C., and Morawska, L. (2012). Vacuum cleaner emissions as a source of indoor exposure to airborne particles and bacteria,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6(1), 534-542. https://doi.org/10.1021/es202946w
  4. Lee, S. W., Heo, Y. M., Han, S. Y., and Kim, D. (2014).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particles and bacteria from household vacuum cleaner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3(4), 256-262. https://doi.org/10.15250/joie.2014.13.4.256
  5. Ozturk, B. (2006). A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s of dry and wet vacuum cleaners for the control of indoor particulate matters, Journal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pplication & Science, 1(3-4), 107-119.
  6. Wu, C. L. Chao, C. Y. H., Sze-To, G. N., Wan, M. P., and Chan, T. C. (2012). Ultrafine particle emis- sion from cigarette smoldering, incense burning, vacuum cleaner motor operation and cooking, Indoor and Built Environment, 21(6), 782-796. https://doi.org/10.1177/1420326X11421356
  7. Yoon, H, Shuai, J. F., Kim T., Seo J., Jung D., Ryu, H., and Yang W. (2017). Microenvironmental time-activity patterns of weekday and weekend on Korean adult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6(2), 182-186. https://doi.org/10.15250/joie.2017.16.2.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