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thinking of Jeonggwanheon in Deoksugung Palace: The Original Form, Use and Styl

덕수궁 정관헌(靜觀軒)의 원형, 용도, 양식 재고찰

  • Received : 2018.02.14
  • Accepted : 2018.05.02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interpret Jeonggwanheon(靜觀軒) in terms of its use and architectural style after restoration work through the recently discovered [Deoksugung Palace's original plan](1915). It is presupposed that the existing interpretation of Jeonggwanheon, such as its status as the banquet hall of the Imperial Empire and the place where Emperor Gojong enjoyed coffee here, was a fantasy made from the transformation after the 1930s. When it was built around 1900, Jeonggwanheon arranged small and large rooms around the corridor in the center, and the porch surrounded the three sides of the building. From 1900 to 1907, there is no remaining record telling us who did what or when something happened in Jeonggwanheon except for several portraits of Emperor Gojong and his son which were drawn in 1902. The mixed use of brickwork and wooden porch are found in many of American style houses built in Incheon and Seoul at that time. Especially, the style and decoration of wooden porch seem to be influenced by Queen Anne style in the 19th century in America.

Keywords

References

  1. 덕수궁원안, 1915, 국가기록원 CB0006936
  2. (고종어진순종예진)어진도사도감의궤, (신축)진찬의궤, (임인)진연의궤, 중화전영건도감의궤, 경운궁 중건도감의궤
  3. 정조실록, 고종실록, 순종실록, 순종부록, 승정원일기, 관보
  4. 漢城府及美國人茶伊合同約 , 1897,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 23185
  5. 조선, 18권, 11호, 1934.11.
  6. 독립신문, 매일신보, 동아일보, 브레이크뉴스
  7. 공간, 통권 80호, 1973.12.
  8. 문화재관리국, 덕수궁정비공사착공전사진첩 , 1983, 국가기록원 DEU0004115
  9. 문화재관리국, 문화재관리상황카드(전분): 정관헌, 1961.1972, 국가기록원 DE0000024
  10. 문화재청, 경복궁 건청궁 중건보고서, 2006
  11. 문화재청, 덕수궁 돈덕전 복원 조사연구, 2016
  12. 문화재청, 덕수궁 정관헌 기록화조사보고서, 2004
  13. 문화재청, 덕수궁 준명당 수리보고서, 2010
  14. 문화재청, 덕수궁 함녕전 행각 복원조사보고서, 2009
  15. 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덕수궁원안 번역 및 해제 보고서, 2017
  16. 김동욱, 조선시대 창덕궁 희정당의 편전 전용에 대하여 , 건축역사연구, 3권, 1호, 1994
  17. 김순일, 덕수궁, 대원사, 1991
  18. 김정동, 남아 있는 역사, 사라지는 건축물, 대원사, 2000
  19. 김정동, 고종황제가 사랑한 정동과 덕수궁, 발언, 2004
  20. 김태중, 개화기 궁정건축가 사바찐에 관한 연구 - 고용경위와 경력 및 활동환경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권, 7호, 1996
  21. 신혜원.한동수, 덕수궁 정관헌의 양식 고찰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25권, 1호, 2005
  22. 안창모, 덕수궁, 동녘, 2009
  23. 왕치쥔, 중국건축도해사전, 차주환 이민 송선엽 역, 도서출판고려, 2016
  24. 역사건축기술연구소, 우리 궁궐을 아는 사전 : 창덕 궁 후원 창경궁, 돌베개, 2015
  25. 우동선, 경운궁의 양관들 : 돈덕전과 석조전을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 40권, 40호, 2010
  26. 유홍준.김영철, 건청궁, 찬란했던 왕조의 마지막 기억, 눌와, 2007
  27. 윤일주, 한국양식건축80년사, 야정문화사, 1966
  28. 이성미, 어진의궤와 미술사, 소와당, 2012
  29. 이순우, 통감관저, 잊혀진 경술국치의 현장, 하늘재, 2010
  30. 이태진, 고종시대의 재조명, 태학사, 2000
  31. 장필구, 1915년 덕수궁 실측자료의 기초 분석-국가 기록원 소장 덕수궁원안을 대상으로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6.05
  3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근대건축도면집-도면편-, 2008
  3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근대건축도면집-해설편-, 2008
  34. 허유진.우동선, 충정로3가 360-22번지 양관에 대하여,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2.11
  35. 홍순민, 우리 궁궐 이야기, 청년사, 1999
  36. 홍순민, 광무 연간 전후 경운궁의 조영 경위와 공간 구조, 서울학연구, 40권, 40호, 2010
  37. 리하르트 분쉬, 대한제국을 사랑한 독일인 의사 분쉬, 김종대 역, 코람데오, 2014
  38. Cyril M. Harris, Dictionary of Architecture and Construction, McGraw-Hill, New York, 2006, Fourth Edition
  39. Virginia Savage & Lee McAlester, A Field Guide to American Houses, New York: Alfred A. Knopf, INC.
  40. William Franklin Sands, Undiplomatic Memories, Whittlesey House, McGraw-Hill Book Co., New York, 1930
  41. 小田省吾, 德壽宮史, 李王職, 1938
  42. 小野木 重勝, 明治洋風宮廷建築, 相模書房, 東京, 1984
  43. 국립고궁박물관 홈페이지 (www.gogung.go.kr)
  4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db.history.go.kr)
  45. 시부사와에이치 기념재단 (www.shibusawa.o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