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8세기 이후 조선사회의 온돌에 대한 인식변화와 난방효율 증대를 위한 건축적 모색

A Change of Awareness on the Ondol System and Architectural Seeking for Increasing Heating Efficiency since the 18th Century Joseon Society

  • 투고 : 2017.12.15
  • 심사 : 2018.06.29
  • 발행 : 2018.06.30

초록

As a result of reviewing various documents and existing researches, since the late Goryeo period, the most active period in the Ondol(溫突, Korean floor heating system) facilities is the 17th century. The phenomenological reason was recovering the buildings destroyed by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 the Manchu War of 1636(丙子胡亂), but the underlying cause was an abnormal climate in which a pair of summer and winter cold continued. In the 17th century, as the Ondol facilities grew rapidly without distinction between regions and classes, the supply and demand of fuel caused economic and natural environmental problems. And a negative and positive view on Ondol was suggested. Since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when the demand and supply of Ondol reached its peak, which could no longer increase, a new awareness of Ondol began to grow. The room was called the Panbang(板房) and the Ondol, depending on the material that made up the floor. It was considered natural to have the Ondol from this time on. The Incan(因間) and Jo(竈) that were made to burn were started to be recorded as a kitchen, regardless of size and function. Changes in social awareness of Ondol have led to concerns about heating efficiency. A variety of architectural explorations were conducted. Such a search was later realized in concrete architectural form. There is a double Ondoll structure, and the column spacing is reduced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The heat buffer space is formed around the Ondol room, and the double window can control the light and the air going in and out.

키워드

참고문헌

  1. 李文健, 黙齋日記
  2. 柳希春, 眉巖日記
  3. 成大中, 靑城雜記
  4. 徐有榘, 林園十六志
  5.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각종영건의궤 및 산릉도감의궤
  6. 통문관지
  7. 문화재청, 덕수궁 준명당 수리보고서, 2010
  8. 영건의궤연구회, 영건의궤, 동녘, 2010
  9. 張起仁, 韓國建築辭典, 普成閣, 2005
  10.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역사연구실, 역주 경국대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11. 諸橋轍次, 大漢和辭典, 大修館書店, 昭和61年
  12. 단국대학교 부설 동양학연구소, 漢和大辭典, 2000
  13. 김동욱, 17세기 조선조 궁궐 내전건물의 실내구성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8권, 10호, 1992
  14. 이호열, 조선전기 주택사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15. 서유구, 임원경제지-섬용지1, 임원경제연구소 역, 풍석문화재단, 2016
  16. 장순용.김동욱, 침전건축의 창호구성 기법과 경복궁 복원건물의 고찰, 건축역사연구, 제8권, 4호, 1999
  17. 한지만․이정미, 전통건축의 障子에 관한 연구-障子의 기능 및 미서기의 문헌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30권, 6호, 2014
  18. 정정남, 생활일기에서 본 16세기 읍내에 위치한 주택의 공간구성과 활용,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19권, 7호, 2003
  19. 정정남, 16․17세기 사대부주택의 공간구성과 활용,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20. 정정남, 경운궁(덕수궁) 침전 온돌의 열손실 방지를 위한 건축기법,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3
  21. 김연옥, 한국의 소빙기 기후: 역사기후학적 접근의 一試論, 지리학과 지리교육, 제14권, 1호, 1984
  22. 김연옥, 조선시대의 기후환경, 지리학논총, 제14권, 1987
  23. 이준호, 1623-1800년 서울지역의 기상기후환경-승정원 일기를 토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22권, 4호, 2016
  24. 노영구, 조선전기 한성의 정비와 리문의 설치, 서울학, 제11권, 11호, 1998
  25. 류승희, 조선초기 한성부의 화재발생과 금화도감의 운영, 서울학, 제19권, 19호, 2002
  26. 이태진, 소빙기(1500-1750)의 천체 현상적 원인-조선왕조실록의 관련 기록 분석 , 역사학보, 제149권, 1996
  27. 김성준, 17세기 이후 궁궐 실내바닥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