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이동이 대졸자의 임금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Internal Migration on Wage Growth among College Graduates

  • 최광성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응용경제학과) ;
  • 강동우 (한국노동연구원) ;
  • 최충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경제학부)
  • 투고 : 2018.03.16
  • 심사 : 2018.06.12
  • 발행 : 2018.06.30

초록

본 연구는 대졸자가 첫 직장에서 두 번째 직장으로 이행할 때, 지역이동이 이주자의 임금에 미치는 효과를 이중차분매칭법으로 분석하였다. 지역이동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이동으로 정의하였고, 특히 지역이동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 상호 이동의 임금상승 효과를 각각 추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대졸자직장이동경로조사(2010GOMS)를 이용하였으며, 성향점수 추정에는 대졸자의 개인 특성뿐만 아니라 대학수학능력시험 백분위 점수 및 지역특성 변인을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의 이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임금상승 효과가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internal migration on wage growth among college graduates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We define migration as moving between Seoul Metropolitan Area (SMA) and non-SMA based on the locations of graduates' first and second jobs. We also take the direction of migration into account for examining the wage premium in SMA. In order to estimate the impact of migration on wage growth, we use the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0GOMS) coupled with other supplementary data such as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core and local characteristic variables. The results reveals that graduates moving from SMA to non-SMA do not experience significant wage growth. However, we find that graduates moving from non-SMA to SMA experience an increase in their monthly wage about 170,000~186,000 KRW on average (9.5~10.3% of their monthly wage on the first job).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동우.고영우.최충. 대졸자 직장이동의 지리적 특성과 임금효과. 한국노동연구원, 2017.
  2. 김경년. 지역 산업수요와 지역이동: 전문고 졸업생의 첫 일자리를 중심으로. 노동경제논집 33권 2호 (2010. 8.): 53-89.
  3. 김종욱. 그토록 원하던 첫 직장을 스스로 빠르게 나가는 이유는?., 월간 노동리뷰 2017년 10월호 (통권 제151호), 한국노동연구원, 2017.
  4. 김준영. 청년인구의 지방유출과 수도권집중: 5가지 특징. 지역고용동향브리프 2016년 가을호 (2016. 8.): 6-24, 한국고용정보원. 2016
  5. 김준영.이주현. 지방대학 졸업생의 수도권 이동과 노동시장 성과: 수도권대학 졸업생과의 비교. 지역 고용동향 브리프 2017년 가을호, (2017. 8.): 6-22, 한국고용정보원.
  6. 김희삼. 지방대학 졸업자의 노동시장 성과와 지역별 교육격차. 한국개발연구 32권 2호 (2010. 6.): 55-92.
  7. 류장수. 지역 인재의 유출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지역사회연구 23권 1호 (2015. 3.): 1-23.
  8. 문남철. 대학 졸업자의 지역간 취업이동과 지역발전. 국토지리학회지 44권 4호 (2010. 12.): 581-593.
  9. 심재헌.김의준. 대학졸업자의 지역 간 취업이동 요인분석: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취업이동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75 (2012. 12.): 37-51.
  10. 윤윤규.김유빈.오선정.강동우.김세움. 청년 고용.노동시장의 현황, 문제점 및 정책 과제: 정형화된 사실들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17.
  11. 이규용.고영우.김우영.오민홍.이상호.홍성효 지역고용전략 수립을 위한 노동시장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5.
  12. 이규용.이병훈.전병유.박배균.정준호.고영우. 한국의 지역고용전략(I): 이론과 쟁점. 서울시.한국노동연구원, 2014.
  13. 이상호. 지역간 이동의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지역연구 26권 1호 (2010. 3.): 45-70.
  14. 이상호. 한국의 지방소멸에 관한 7가지 분석. 지역고용동향브리프. 한국고용정보원. 2016년 봄호 (2016. 3.).
  15. 진홍철.강동우.이성우. 수도권 자가점유 및 점유성향의 변화 특성, 1995-2005. 국토연구 66 (2010. 9.): 73-91.
  16. 최경관.조주현. 주택가격이 공시지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6 (6) (2011. 11.).149-162.
  17. 최충.강동우. 국내이주가 대졸자들의 임금소득에 미치는 영향. 2016년 제3차 고용패널토론회, 한국고용정보원 (2016. 11).
  18. Abadie, A., "Semi-parametric Difference-in-differences Estimators." Review of Economic Studies 72 (January 2005): 1-19. https://doi.org/10.1111/0034-6527.00321
  19. Bartel, A.P. "The Migration Decision: What role does job mobility play?." American Economic Review 69 (December 1979): 775-786.
  20. Becker, S. and A. Ichino. "Estimation of Average Treatment Effects Based on Propensity Scores." Stata Journal 2(4) (December 2002): 358-377. https://doi.org/10.1177/1536867X0200200403
  21. Borjas, G. J. 노동경제학. 시그마프레스, 2014.
  22. Borjas, G.J., Bronars, S.G., Trejo, S.J. "Assimilation and the Earnings of Young Internal Migrant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74 (February 1992): 170-175. https://doi.org/10.2307/2109556
  23. Crescenzi, R., N. Holman and E. Orru. "Why do they Return? Beyond the Economic Drivers of Graduate Return Migration." Annals of Regional Science 59(3) (November 2017): 603-627. https://doi.org/10.1007/s00168-016-0762-9
  24. Gabriel, P.E., Schmitz, S. "Favorable Self-selection and the Internal Migration of Young White Male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Human Resources 30(3) (July 1995): 460-471. https://doi.org/10.2307/146031
  25. Greenwood, M. J. "Chapter 12 Internal Migration in Developed Countries." Handbook of Population and Family Economics. Elsevier. Volume 1, Part B (May 1997): 647-720.
  26. Ham, J. C., X. Li and P. B. Reagan. "Matching and Semi-parametric IV Estimation, a Distance-based Measure of Migration, and the Wages of Young Men." Journal of Econometrics 161(2) (April 2011): 208-227. https://doi.org/10.1016/j.jeconom.2010.12.004
  27. Heckman, J., Ichimura, H., Todd, P. "Matching as an Econometric Evaluation Estimator: Evidence from evaluating a job training program." Review of Economic Studies 64 (October 1997): 605-654. https://doi.org/10.2307/2971733
  28. Heckman, J., Ichimura, H., Todd, P. "Matching as an Econometric Evaluation Estimator." Review of Economic Studies 65 (April 1998): 261-294. https://doi.org/10.1111/1467-937X.00044
  29. Hunt, J.C., Kau, J.B. "Migration and Wage Growth: A human capital approach." Southern Economic Journal 51 (January 1985),: 697-710. https://doi.org/10.2307/1057873
  30. McCann, P. Modern Urban and Regional Economics.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31. Plane, D. A. and P. A. Rogerson. The Geographical Analysis of Population with Applications to Planning and Business.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Inc., 1994.
  32. Polachek, S.W., Horvath, F.W. A Life Cycle Approach to Migration: Analysis of the perspicacious peregrinator. In: Ehrenberg, R.G. (Ed.), Research in Labor Economics (June 1977): 103-149.
  33. Rosenbaum, P. R. and Rubin, D. B.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sual Effects." Biometrika 70(1) (April 1983): 41-55. https://doi.org/10.1093/biomet/70.1.41
  34. Tunali, I. "Rationality of Migration."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41 (November 2000): 893-920. https://doi.org/10.1111/1468-2354.00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