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F영화에 나타난 프로메테우스의 모티프 -<엑스 마키나>를 중심으로

The Promethean Motif in SF Movies -the Case of the Film Ex Machina

  • 노시훈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 투고 : 2018.07.10
  • 심사 : 2018.08.13
  • 발행 : 2018.08.31

초록

본고의 목적은 <엑스 마키나>(2015)에서 프로메테우스 모티프 사용을 프로메테우스 신화, 프랑켄슈타인 모티프, 현대 SF영화의 층위에서 고찰함으로써 SF영화에서의 이 모티프의 변화 양상을 밝히는 데 있다. 첫째로, 프로메테우스 신화('살아있는 존재의 창조')의 층위에서 <엑스마키나>의 가장 큰 변화는 프로메테우스-에피메테우스-판도라-제우스의 인물 사각형이 네이든-칼렙-에이바의 삼각형으로 바뀌었다는 것인데, 이는 인간이 신을 밀어내고 창조주의 자리를 차지함으로써 과학기술의 발전이 불러올 문제를 풀고 해피엔드를 가져올 존재가 없어졌음을 의미한다. 둘째로, 프랑켄슈타인 모티프('금지된 지식에 대한 애호', '오만', '창조주에 대한 피조물의 증오')의 층위에서 이 영화는 칼렙이 소설 『프랑켄슈타인』의 로버트 월턴 선장처럼 창조주와 피조물의 이야기의 목격자로 남게 함으로써 프랑켄슈타인-괴물(네이든-에이바) 중심의 서사가 유지되도록 하지만 에이바의 '기계성'을 크게 부각시킴으로써 소설과 차별화한다. 셋째로, 현대 SF영화의 층위에서 다른 것들과는 달리 이 영화에서는 반란이 진압되지 않고 기계가 승리하여 그 능력이 인간의 그것을 넘어서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인간에게 귀속되지 않는 '새로운 종의 출현'을 제시하면서 인간과 기계의 새로운 관계 정립을 요구한다. <엑스 마키나>가 이처럼 다양한 층위에서 프로메테우스 모티프를 다루는 것은 하나의 모티프가 축적해온 다양한 내용을 활용하고 변형을 통해 새로운 요소를 추가함으로써 서사를 매우 풍부하게 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의 의의는 그러한 다층적 모티프 사용과 그것을 통한 서사의 확장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증명했다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nging aspects of the Promethean motif in SF movies by examining the use of this motif on the three layers of Promethean myth, Frankenstein motif, and contemporary SF movies in the film Ex Machina (2015). First, the greatest change of Ex Machina on the layer of the Promethean myth (creation of a living being) is that the character square of Prometheus - Epimetheus - Pandora - Zeus has been turned into a triangle of Nathan - Caleb - Ava. This means that there is a lack of the being whose role is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o bring a happy ending through the human's usurpation of God and eventual replacement as Creator. Second, on the layer of the Frankenstein motif (taste of forbidden knowledge, hybris, and creature's hatred towards the Creator), this film maintains the narrative centered around Dr. Frankenstein and his monster (Nathan and Ava) by making Caleb an eyewitness to the story of the Creator and the creature. Caleb's role is similar to that of Captain Robert Walton of the novel Frankenstein, but the film differentiates itself from the novel through the emphasis of Ava's 'mechanicality.' Third, on the layer of contemporary SF movies, unlike other such films, the revolt of the machine in Ex Machina is not quelled. The machine wins, and its power surpasses that of human beings. This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a new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machine, suggesting the 'emergence of a new species' that does not belong to humans. The handling of the Promethean motif by Ex Machina through these various layers serves to enrich the narrative by compounding numerous classics into one motif and going further to introduce fresh elements by diverging from the common storylin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use of such multilayered motifs and, through this, the expansion of narrative through it in specific cas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