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그릿(Grit)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ademic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 on Grit

  • 정미라 (한영대학교 간호학과) ;
  • 정은 (광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투고 : 2018.04.30
  • 심사 : 2018.06.15
  • 발행 : 2018.06.28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Y시에 소재하고 있는 일개 대학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46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그릿은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결과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스트레스, 학점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2.5%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그릿을 높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fluences on grit in the nursing stud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46 nursing students in the H university located Y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0.0 program. Grit was found to be i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the major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stress and grade point average predict 22.5% of gr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to strengthen the grit of nursing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S. N. Slick and C. S. Lee, "The relative levels of gri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otential dropping-out and university adjustment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8, pp.61-66,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8.61
  2. A. L. Duckworth, C. Peterson, M. D. Matthews and D. R. Kelly,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2, pp.1087-1101, 2007. https://doi.org/10.1037/0022-3514.92.6.1087
  3. 하혜숙, 임효진, 황매향, "학업적응에서 끈기(Grit)와 목표의식, 성실성, 탄력성의 역할," 상담학연구, 제18권, 제1호, pp.371-388, 2017.
  4. 진종임, 김남초, "간호대학생의 투지(Grit), 학업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75-183, 2017. http://dx.doi.org/10.5977/jkasne.2017.23.2.175
  5. 한상춘, 대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6. 조남근, 권정희, 정미예, "대학생의 그릿과 자율성, 마인드셋 그리고 학업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연구, 제24권, 제12호, pp.45-69, 2017.
  7. 통계청 사회조사, "Social Survey Results in 2017.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
  8. 김종경, "간호교육 개선을 위한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관련 문헌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0권, 제1호, pp.47-59, 201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1.47
  9. 차남현,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7권, 제2호, pp.124-131, 2016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2.124
  10. 이승주, 박주영,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2호, pp.269-276, 2018. http://dx.doi.org/10.14400/JDC.2018.16.2.269
  11. W. M. Chernomas and C. Shapiro,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10, No.1, pp.255-266, 2013.
  12. 한국간호교육평가원, http://www.kabone.or.kr/kabon02/index.php, 2013.
  13. K. R. Livsey, "Clinical faculty influences on student caring self-efficacy," International Journal for Human Caring, Vol.13, No.2, pp.53-59, 2009.
  14. A. Bandura, Social foundation of though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6.
  15. 김계현, 하혜숙, "대학생의 학과(학부)만족과 학교 만족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제1권, 제1호, pp.7-20, 2000.
  16. 박현정, 오재우,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및 간호 전문직관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제21권, 제5호, pp.489-500, 2015. http://dx.doi.org/10.14400/JDC.2014.12.12.417
  17. 최현주,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조절 및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pp.68-77, 2017. http://dx.doi.org/10.5762/KAIS.2017.18.6.68
  18. 양승경, 정미라, "간호대학생의 학업소진,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11호, pp.613-629, 2016. http://dx.doi.org/10.22251/jlcci.2016.16.11.613
  19. 장선주, 강미현, 김혜진, "일부 대학생의 전공계열별 학과만족도와 취업관계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5권, 제5호, pp.317-328, 2015.
  20. 이정림, 권대훈, "통제 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11호, pp.245-264, 2001. DOI :10.21509/KJYS.2016.11.23.11.245
  21. 박주영, 우정희, 김주은,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1호, pp.165-175, 2018. DOI :10.14400/JDC.2018.16.1.165
  22. 김아영, 박인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제39권, 제1호, pp.95-123, 2001.
  23. W. B. Schaufeli, I. M. Martinez, A. M. Pinto, M. Salanova, and A. B. Bakker,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 crossnational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33, pp.464-481, 2002. https://doi.org/10.1177/0022022102033005003
  24. 배병훈, 신희천, "자기결정성과 학업 꾸물거림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21권, 제3호, pp.747-764, 2009
  25. 이동재,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 성정체감, 성고정 관념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6. A. L. Duckworth and P. D. Quin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91, pp.166-174, 2009. https://doi.org/10.1080/00223890802634290
  27. W. Borton and J. Grelle, "The dirt on grit: Relations with school adjustment, school performance, and theories of intelligenc," Hanover College, Diambil dari, 2013. https://psych.hanover.edu/research/Thesis12/papers/Borton%20Grelle%20IS%20Final.pdf
  28. 양경미,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12호, pp.445-453, 2017. http: //doi.org/10.14400/JDC.2017.15.12.445
  29. 정미라, 정은, "E-book기반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제18권, 제2호, pp.490-501,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490
  30. 윤성혜, 유지원, 유영란,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동기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검증," 직업교육연구, 제36권, 제3호, pp.47-66,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