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Academic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 on Grit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그릿(Grit)에 미치는 영향

  • 정미라 (한영대학교 간호학과) ;
  • 정은 (광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8.04.30
  • Accepted : 2018.06.15
  • Published : 2018.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fluences on grit in the nursing stud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46 nursing students in the H university located Y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0.0 program. Grit was found to be i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the major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stress and grade point average predict 22.5% of gr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to strengthen the grit of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Y시에 소재하고 있는 일개 대학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46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그릿은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결과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스트레스, 학점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2.5%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그릿을 높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S. N. Slick and C. S. Lee, "The relative levels of gri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otential dropping-out and university adjustment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8, pp.61-66,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8.61
  2. A. L. Duckworth, C. Peterson, M. D. Matthews and D. R. Kelly,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2, pp.1087-1101, 2007. https://doi.org/10.1037/0022-3514.92.6.1087
  3. 하혜숙, 임효진, 황매향, "학업적응에서 끈기(Grit)와 목표의식, 성실성, 탄력성의 역할," 상담학연구, 제18권, 제1호, pp.371-388, 2017.
  4. 진종임, 김남초, "간호대학생의 투지(Grit), 학업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75-183, 2017. http://dx.doi.org/10.5977/jkasne.2017.23.2.175
  5. 한상춘, 대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6. 조남근, 권정희, 정미예, "대학생의 그릿과 자율성, 마인드셋 그리고 학업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연구, 제24권, 제12호, pp.45-69, 2017.
  7. 통계청 사회조사, "Social Survey Results in 2017.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
  8. 김종경, "간호교육 개선을 위한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관련 문헌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0권, 제1호, pp.47-59, 201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1.47
  9. 차남현,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7권, 제2호, pp.124-131, 2016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2.124
  10. 이승주, 박주영,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2호, pp.269-276, 2018. http://dx.doi.org/10.14400/JDC.2018.16.2.269
  11. W. M. Chernomas and C. Shapiro,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10, No.1, pp.255-266, 2013.
  12. 한국간호교육평가원, http://www.kabone.or.kr/kabon02/index.php, 2013.
  13. K. R. Livsey, "Clinical faculty influences on student caring self-efficacy," International Journal for Human Caring, Vol.13, No.2, pp.53-59, 2009.
  14. A. Bandura, Social foundation of though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6.
  15. 김계현, 하혜숙, "대학생의 학과(학부)만족과 학교 만족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제1권, 제1호, pp.7-20, 2000.
  16. 박현정, 오재우,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및 간호 전문직관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제21권, 제5호, pp.489-500, 2015. http://dx.doi.org/10.14400/JDC.2014.12.12.417
  17. 최현주,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조절 및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pp.68-77, 2017. http://dx.doi.org/10.5762/KAIS.2017.18.6.68
  18. 양승경, 정미라, "간호대학생의 학업소진,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11호, pp.613-629, 2016. http://dx.doi.org/10.22251/jlcci.2016.16.11.613
  19. 장선주, 강미현, 김혜진, "일부 대학생의 전공계열별 학과만족도와 취업관계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5권, 제5호, pp.317-328, 2015.
  20. 이정림, 권대훈, "통제 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11호, pp.245-264, 2001. DOI :10.21509/KJYS.2016.11.23.11.245
  21. 박주영, 우정희, 김주은,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1호, pp.165-175, 2018. DOI :10.14400/JDC.2018.16.1.165
  22. 김아영, 박인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제39권, 제1호, pp.95-123, 2001.
  23. W. B. Schaufeli, I. M. Martinez, A. M. Pinto, M. Salanova, and A. B. Bakker,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 crossnational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33, pp.464-481, 2002. https://doi.org/10.1177/0022022102033005003
  24. 배병훈, 신희천, "자기결정성과 학업 꾸물거림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21권, 제3호, pp.747-764, 2009
  25. 이동재,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 성정체감, 성고정 관념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6. A. L. Duckworth and P. D. Quin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91, pp.166-174, 2009. https://doi.org/10.1080/00223890802634290
  27. W. Borton and J. Grelle, "The dirt on grit: Relations with school adjustment, school performance, and theories of intelligenc," Hanover College, Diambil dari, 2013. https://psych.hanover.edu/research/Thesis12/papers/Borton%20Grelle%20IS%20Final.pdf
  28. 양경미,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12호, pp.445-453, 2017. http: //doi.org/10.14400/JDC.2017.15.12.445
  29. 정미라, 정은, "E-book기반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제18권, 제2호, pp.490-501,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490
  30. 윤성혜, 유지원, 유영란,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동기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검증," 직업교육연구, 제36권, 제3호, pp.47-66,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