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conomic Valuation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잊힐 권리의 경제적 가치 추정 연구

  • Received : 2018.04.04
  • Accepted : 2018.05.14
  • Published : 2018.06.29

Abstract

The right to be forgotten means the right of people to reques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roviders to delete their information online. As the number of people asking for deletion of their past embarrassing or negative online activities is increasing, discussions are being rai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in South Korea. However, previous research on the right to be forgotten mainly deals with the legal concept, with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economic value.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social perception towards the right to be forgotten and to estimate its economic value quantita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are concerns about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but with lack of awareness on the right to be forgotten. The monthly average amount that a person is willing to pay to be forgotten is 1,218 Korean won (11 US dollars) and the total economic value is estimated to be about 540 billion won (490 million dollars) per year in 2017. Especially, those who have experienced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put higher value to the right to be forgotten. These results can be useful for making decisions about the right to be forgotten in the future.

잊힐 권리는 정보의 주체가 온라인상에서 자신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삭제하거나 확산의 방지를 요구할 수 있는 자기결정권 및 통제 권리를 뜻한다.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사생활 침해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잊힐 권리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잊힐 권리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법적 개념을 다루고 있으며, 경제적 가치에 대한 고려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잊힐 권리에 대한 우리나라 국민의 인식을 파악하고 잊힐 권리의 경제적 가치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현재 개인정보 공개에 대한 우려는 존재하는 반면 잊힐 권리에 대한 인식은 아직 부족한 상황으로 나타났다. 잊힐 권리에 대한 응답자의 월평균 지불의사금액은 약 1,218원으로 도출되었으며, 연간 경제적 가치는 2017년 기준 약 5,400억 원으로 산정되었다. 특히 개인정보 유출 경험이 있는 응답자의 경우 잊힐 권리에 부여하는 가치는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잊힐 권리에 대한 사회적 쟁점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개인정보보호협회 (2013). 개인정보의 가치와 개인정보 침해에 따른 사회적 비용 분석. 개인정보보호위원회.
  2. 구윤모.강형식.이미숙 (2014). "홍천강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경제적 가치."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8(1): 71-79. https://doi.org/10.13047/KJEE.2014.28.1.71
  3. 구태언 (2014). "잊힐 권리의 국내법상 검토 및 발전방향." 정보법학, 18(3): 1-21.
  4. 김민성.김성태 (2014). "개인정보 노출이 잊혀질 권리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8(2): 307-336.
  5. 김민정 (2015). "실질적 잊힘(Practical Obscurity)의 관점에서 본 잊힐 권리(the right to be forgotten)의 성격 및 의의." 언론과 법, 14(1): 219-248.
  6. 김민천 (2016). "우리나라의 개인정보 보호제도 분석: 인증 및 평가제도와 개인식별번호를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23(4): 38-58. https://doi.org/10.22693/NIAIP.2016.23.4.038
  7. 김선남.이환수 (2014). "빅데이터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안)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정보화정책, 21(4): 20-39. https://doi.org/10.22693/NIAIP.2014.21.4.020
  8. 김송옥 (2015). "잊혀질 권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 언론과 법, 14(1): 249-270.
  9. 김여라.이해춘.유진호 (2007). 가상가치접근법(CVM)을 활용한 개인정보보호의 가치 산출 방법론 고찰. 한국정보보호진흥원.
  10. 김태영.표희동.김혜민.박세헌 (2013).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의 온실가스 저감편익 추정."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16(3): 217-225.
  11. 김혁조 (2014). 빅 데이터 환경의 개인정보에 대한 소비자 가치추정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12. 문소영.김민정 (2016). "기사 삭제 청구권 신설의 타당성 검토: 잊힐 권리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76: 151-182.
  13. 민윤영 (2011). "인터넷상에서 잊혀질 권리와 개인정보 보호법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고려법학, 63(63): 287-316.
  14. 손현 (2013). 유럽연합(EU)의 잊힐 권리 법제화에 대한 평가와 전망. 한국법제연구원.
  15. 송민정 (2012). 빅데이터 시대, 소비자 데이터 프라이버시 이슈에 대한 연구: 미국을 중심으로. KT경제경영연구소.
  16. 심미나 (2016). "잊힐 권리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2010년 이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6(4): 1073-1084. https://doi.org/10.13089/JKIISC.2016.26.4.1073
  17. 유승동.유진호 (2014).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지불의사비용 결정요인."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4(4): 695-703. https://doi.org/10.13089/JKIISC.2014.24.4.695
  18. 유승훈.곽승준.신철오 (2003). "스팸메일의 불편비용 추정." 정보통신정책연구, 10(1): 71-93.
  19. 유진호.지상호.송혜인.정경호.임종인 (2008). "인터넷 침해사고에 의한 피해손실 측정." 정보화정책, 15(1): 3-18.
  20. 이경규.안세훈 (2014). "정보의 웰-다잉(Well0dying)을 위한 입법론적 검토: 기술적 조치 및 그 한계를 중심으로." 정보법학, 18(3): 47-110.
  21. 이주석.유승훈 (2014). "창경궁-종묘 간 단절구간 복원사업의 공익적 가치 분석." 서울도시연구, 15(2): 17-28.
  22. 이창훈 (2013). 화석연료 대체에너지원의 환경경제성평가(I): 원자력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3. 임슬예.최효연.유승훈 (2015).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소 건설의 에너지안보 확보편익 추정." 에너지공학, 24(3): 40-47. https://doi.org/10.5855/ENERGY.2015.24.3.040
  24.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3). 온라인 프라이버시에 대한 철학적 배경과 산업적 접근. 미래창조과학부.
  25. 주문호.임종인 (2016). "디지털 소멸 기술을 통한 잊힐 권리의 보장 가능성 연구."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6(2): 435-447. https://doi.org/10.13089/JKIISC.2016.26.2.435
  26. 지성우 (2011). "소위 '잊혀질 권리(Right to be forgotten)'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보법학, 15(3): 55-85.
  27. 채승완.민경식.황성원.원순재 (2007). 개인정보의 경제적 가치 분석에 관한 고찰.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8. 최경진 (2012). "잊혀진 권리-개인정보 관점에서." 정보법학, 16(2): 97-120.
  29. 한국개발연구원 (2009). 2009년도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영산강살리기 동림지구 생태하천조성사업.
  30. 한상용.신희철.김동준 (2013). "공공자전거 시스템 확대 보급을 위한 지불의사액 추정모형 비교 연구." 교통연구, 20(2): 103-119.
  31. Ausloos, J. (2012). "The 'right to be forgotten'-Worth remembering?" Computer Law & Security Review, 28: 143-152. https://doi.org/10.1016/j.clsr.2012.01.006
  32. Bartolini, C. & Siry, L. (2016). "The right to be forgotten in the light of the consent of the data subject." Computer Law & Security Review, 32: 218-237. https://doi.org/10.1016/j.clsr.2016.01.005
  33. Bateman, I.J. et al. (2002). Economic Valuation with Stated Preference Techniques: A Manual . Edward Elgar, Cheltenham.
  34. Bunn, A. (2015), "The curious case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Computer Law & Security Review, 31, pp.336-350. https://doi.org/10.1016/j.clsr.2015.03.006
  35. Byrum, K. (2017). "The European right to be forgotten: A challenge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s First Amendment and to professional public relations ethics." Public Relations Review, 43: 102-111. https://doi.org/10.1016/j.pubrev.2016.10.010
  36. de Azevedo Cunha, M. V. & Itagiba, G. (2016). "Between privacy, freedom of information and freedom of expression: Is there a right to be forgotten in Brazil?" Computer Law & Security Review, 32: 634-641. https://doi.org/10.1016/j.clsr.2016.05.009
  37. ECIPE (2013). The economic importance of getting data protection right: protecting privacy, transmitting data, moving commerce . U.S. Chamber of Commerce.
  38. European Commission (2011). Attitudes on data protection and electronic identity in the European Union. Special Eurobarometer 359.
  39. Feijoo, C., Gomez-Barroso, J. L. & Voigt, P. (2014). "Exploring the economic value of personal information from firms'financial state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4: 248-256. https://doi.org/10.1016/j.ijinfomgt.2013.12.005
  40. Garcia-Murillo, M. & MacInnes, I. (2017). "Cosi fan tutte: A better approach than the right to be forgotten." Telecommunications Policy, article in press.
  41. Hanemann, W. M. (1984). "Welfare evaluations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66(3): 332-341. https://doi.org/10.2307/1240800
  42. Kim, B. C. & Kim, J. Y. (2017). "The economics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The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60(2): 335-360. https://doi.org/10.1086/694254
  43. Kristrom, B. (1997). "Spike models in contingent valuation."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9: 101-323.
  44. Malgieri, G. & Custers, B. (2017). "Pricing privacy - the right to know the value of your personal data." Computer Law & Security Review, article in press.
  45. Mantelero, A. (2013). "The EU Proposal for a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and the roots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Computer Law & Security Review, 29: 229-235. https://doi.org/10.1016/j.clsr.2013.03.010
  46. OECD (2013). Exploring the economics of personal data: A survey of methodologies for measuring monetary value. OECD Digital Economy Papers, No.220, OECD Publishing, Paris.
  47. Villaronga, E. F., Kieseberg, P. & Li, T. (2017). "Humans forget, machines remember: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right to be forgotten." Computer Law & Security Review, article in press.
  48. Yoo, S. H. & Kwak, S. J. (2002). "Using a spike model to deal with zero response data from double bounded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surveys." Applied Economics Letters, 9: 929-932. https://doi.org/10.1080/13504850210139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