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upporting Surfaces and Visual Existence on the Balance Ability when Exercising Squat

스쿼트 운동 시 지지면의 차이와 시각 여부가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Kim, Myoungchul (Dep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Eulji University) ;
  • Lee, Hyunjae (Dep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Eulji University) ;
  • Lee, Sumin (Dep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Eulji University) ;
  • Kim, Haein (Dep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Eulji University) ;
  • Park, Mihye (Dep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Eulji University)
  • 김명철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 이현재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 이수민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 김해인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 박미혜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Received : 2018.02.22
  • Accepted : 2018.03.27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changes of normal people's balance ability when squat exercise in the condition of visual blocked or non-visual blocked on the stable or the unstable surfaces. Also, this study intended to assess balance ability more objectively and in a more diversified ways by using Biorescue. Methods : This study randomly assigned all the subjects to 4 groups; visual blocked or non-visual blocked on the stable surface or the unstable surface. Subjects were given 3 sets of squat exercises per day, 3 times a week for 3 weeks.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exercise for 3 weeks, subjects measured balance ability using Biorescue and Lower Quarter Y-balance Test to evaluate the improvements of before and after. Results : All the groups showed the differences in the balance ability on the Biorescue and The Lower Quarter Y-balance test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Among these groups, a group with condition of visual blocked on the stable surface showed the highest improvements. And also,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other groups (P>0.05). Conclusion: Using squat combined with variables according to this study, it can be utilized for rehabilitation of the aged and preparation of healthier life.

Keywords

References

  1. 감동헌(2016). 시각적 제약 조건에서의 연습이 골프 퍼팅 학습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강승민, 김진화, 이원재 등(2010). 웨이트 트레이닝의 운동강도 증가시 CBC 8종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0(2), 647-658.
  3. 김기정(2009). 트레이닝 방법에 따른 남자대학 농구선수들의 근력 및 근파워 향상 비교. 한국체육과학회지, 18(3), 1227-1235.
  4. 김명훈, 김수현, 김현진(2015). 줄넘기와 스쿼트 운동이 순발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2), 125-131.
  5. 김민수, 서인열, 정고운(2013). 선택적 지지면에 따른 스쿼트 운동이 정상 성인의 균형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1(3), 63-78. https://doi.org/10.15268/KSIM.2013.1.3.063
  6. 김용미, 강시현, 안왕훈 등(2009). 편마비 뇌졸중 환자에서 체간근 전기 자극이 체간 균형 향상에 미치는 영향.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33(3), 265-270.
  7. 김정자, 김연정, 이민형 등(2005). 하지 분절 각도에 따른 수의 등척성 수축(MVIC)시 근전도 비교. 한국운동역학회지, 15(1), 197-206. https://doi.org/10.5103/KJSB.2005.15.1.197
  8. 김종휴(2004). 태극권수련이 노인여성의 보행과 균형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 원, 석사학위 논문.
  9. 박광희(2001). 줄넘기 운동이 여중생의 체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박상호(2011). 스쿼트 동작 시 하지 관절의 움직임과 요추부 부하에 관한 운동역학적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박은초, 송귀빈(2016). 밸런스 패드와 모래에서의 균형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11(1), 45-52. https://doi.org/10.13066/kspm.2016.11.1.45
  12. 박진남(2012) 점핑운동이 노인의 균형, 보행, 근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배철영, 이영진(1996). 노인의학, 서울, 고려의학, pp.144.
  14. 송귀빈, 박은초(2016). 밸런스 패드와 모래에서의 균형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11(1), 45-52. https://doi.org/10.13066/kspm.2016.11.1.45
  15. 송채훈(2004). 신장성 운동이 자세 균형과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5(1), 417-425.
  16. 양대중, 김제호, 정용식 등(2012).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하지 근활성도와의 상관관계연구.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14(1), 2-3.
  17. 양승훈(2014). 치료적 운동시 시각차단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8. 오세홍(2012). 노인의 서기 자세에서의 균형에 미치는 스위스 볼과 에어로 스텝 운동의 효과 비교.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이예진(2015). 시각차단 한국무용 실시가 성인여성의 하지근력 및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이선우, 이경진, 송창호(2011). 시각되먹임 균형훈련이 낙상을 경험한 노인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근관절건강학회지, 18(1), 16-27.
  21. 이주연(2012). 지지면의 안정성과 시각적 자극에 따른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고유수용성 감각기능과 균형능력비교.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주상화, 이덕원, 김동주 등(2015). 불안정한 지면에서의 균형훈련의 효과가 안정적인 지면에서의 균형능력으로 전이될 수 있는가?. 운동사 학술대회 학술지, 16, 150.
  23. 최명애, 전미양, 최정안(2000) 걷기 훈련이 재택 노인의 낙상방지 체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30(5), 1318-1332.
  24. 허병훈(2008)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균형운동이 시각장애인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Bohannon RW, Leary KM(1995). Standing balance and function over the course of acute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l, 76(11), 994-996. https://doi.org/10.1016/S0003-9993(95)81035-8
  26. Bonan IV, Colle FM, Guichard JP, et al(2004). Relianc on visual information after stroke part I: Balance on dynamic posturography. Arch Phys Med Rehabil, 85(2), 268-273. https://doi.org/10.1016/j.apmr.2003.06.017
  27. Coughlan GF, Fullam K, Delahunt E, et al(2012). A comparison between performance on selected directions of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 and the Y balance test. J Athl Train, 47(4), 366-371. https://doi.org/10.4085/1062-6050-47.4.03
  28. Gorman PP, Butler RJ, Rauh MJ, et al(2012). Differences in dynamic balance scores in one sport versus multiple sport high school athletes. Int J Sports Phys Ther, 7(2), 148-153.
  29. Hase K, Stein RB(1999). Turning strategies during human walking. J Neurophysiol, 81(6), 2914-2922. https://doi.org/10.1152/jn.1999.81.6.2914
  30. Holt RR, Simpson D, Jenner JR, et al(2000). Ground reaction force after a sideways push as a measure of balance in recovery from stroke. Clin Rehabil, 14(1), 88-95. https://doi.org/10.1191/026921500668655351
  31. Hooper TL, James CR, Brismée JM, et al(2016). Dynamic balance as measured by the Y-Balance Test is reduced in individuals with low back pain: A cross-sectional comparative study. Phys Ther Sport, 22, 29-34. https://doi.org/10.1016/j.ptsp.2016.04.006
  32. Hudson C, Garrison JC, Pollard K(2016). Y-balance normative data for female collegiate volleyball players. Phys Ther Sport, 22, 61-65. https://doi.org/10.1016/j.ptsp.2016.05.009
  33. Kandel ER, Jessell TM, Schwartz JH(2000).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4th ed, New York, McGraw-Hill.
  34. Lander JE, Bates BT, Devita P(1986). Biomechanics of the squat exercise using a modified center of mass bar. Med Sci Sports Exerc, 18(4), 469-547.
  35. MacKinnon JA, Perlman M, Kirpalani H, et al(1993). Spinal cord injury at birth: diagnostic and prognostic data in twenty-two patients. J Pediatr, 122(3), 431-437. https://doi.org/10.1016/S0022-3476(05)83437-7
  36. Mergner T, Rosemeier T(1998). Interaction of vestibular, somatosensory and visual signals for postural control and motion perception under terrestrial and microgravity conditions a conceptual model. Brain Res Rev, 28, 118-135. https://doi.org/10.1016/S0165-0173(98)00032-0
  37. Selseth A, Dayton M, Cordova ML, et al(2000). Quadriceps concentric EMG activity is greater than eccentric EMG activity during the lateral step-up exercise. J Sport Rehabil, 9(2), 124-134. https://doi.org/10.1123/jsr.9.2.124
  38. Shumway-Cook A, Anson D, Haller S(1988). Postural sway biofeedback: its effect on reestablishing stance st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69(6), 395-400.
  39. Skelton DA, Beyer N(2003). Exercise and injury prevention in older people. Scand J Med Sci Sports, 13(1), 77-85. https://doi.org/10.1034/j.1600-0838.2003.0030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