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감동헌(2016). 시각적 제약 조건에서의 연습이 골프 퍼팅 학습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강승민, 김진화, 이원재 등(2010). 웨이트 트레이닝의 운동강도 증가시 CBC 8종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0(2), 647-658.
- 김기정(2009). 트레이닝 방법에 따른 남자대학 농구선수들의 근력 및 근파워 향상 비교. 한국체육과학회지, 18(3), 1227-1235.
- 김명훈, 김수현, 김현진(2015). 줄넘기와 스쿼트 운동이 순발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2), 125-131.
- 김민수, 서인열, 정고운(2013). 선택적 지지면에 따른 스쿼트 운동이 정상 성인의 균형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1(3), 63-78. https://doi.org/10.15268/KSIM.2013.1.3.063
- 김용미, 강시현, 안왕훈 등(2009). 편마비 뇌졸중 환자에서 체간근 전기 자극이 체간 균형 향상에 미치는 영향.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33(3), 265-270.
- 김정자, 김연정, 이민형 등(2005). 하지 분절 각도에 따른 수의 등척성 수축(MVIC)시 근전도 비교. 한국운동역학회지, 15(1), 197-206. https://doi.org/10.5103/KJSB.2005.15.1.197
- 김종휴(2004). 태극권수련이 노인여성의 보행과 균형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 원, 석사학위 논문.
- 박광희(2001). 줄넘기 운동이 여중생의 체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상호(2011). 스쿼트 동작 시 하지 관절의 움직임과 요추부 부하에 관한 운동역학적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은초, 송귀빈(2016). 밸런스 패드와 모래에서의 균형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11(1), 45-52. https://doi.org/10.13066/kspm.2016.11.1.45
- 박진남(2012) 점핑운동이 노인의 균형, 보행, 근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배철영, 이영진(1996). 노인의학, 서울, 고려의학, pp.144.
- 송귀빈, 박은초(2016). 밸런스 패드와 모래에서의 균형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11(1), 45-52. https://doi.org/10.13066/kspm.2016.11.1.45
- 송채훈(2004). 신장성 운동이 자세 균형과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5(1), 417-425.
- 양대중, 김제호, 정용식 등(2012).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하지 근활성도와의 상관관계연구.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14(1), 2-3.
- 양승훈(2014). 치료적 운동시 시각차단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오세홍(2012). 노인의 서기 자세에서의 균형에 미치는 스위스 볼과 에어로 스텝 운동의 효과 비교.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예진(2015). 시각차단 한국무용 실시가 성인여성의 하지근력 및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선우, 이경진, 송창호(2011). 시각되먹임 균형훈련이 낙상을 경험한 노인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근관절건강학회지, 18(1), 16-27.
- 이주연(2012). 지지면의 안정성과 시각적 자극에 따른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고유수용성 감각기능과 균형능력비교.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주상화, 이덕원, 김동주 등(2015). 불안정한 지면에서의 균형훈련의 효과가 안정적인 지면에서의 균형능력으로 전이될 수 있는가?. 운동사 학술대회 학술지, 16, 150.
- 최명애, 전미양, 최정안(2000) 걷기 훈련이 재택 노인의 낙상방지 체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30(5), 1318-1332.
- 허병훈(2008)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균형운동이 시각장애인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Bohannon RW, Leary KM(1995). Standing balance and function over the course of acute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l, 76(11), 994-996. https://doi.org/10.1016/S0003-9993(95)81035-8
- Bonan IV, Colle FM, Guichard JP, et al(2004). Relianc on visual information after stroke part I: Balance on dynamic posturography. Arch Phys Med Rehabil, 85(2), 268-273. https://doi.org/10.1016/j.apmr.2003.06.017
- Coughlan GF, Fullam K, Delahunt E, et al(2012). A comparison between performance on selected directions of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 and the Y balance test. J Athl Train, 47(4), 366-371. https://doi.org/10.4085/1062-6050-47.4.03
- Gorman PP, Butler RJ, Rauh MJ, et al(2012). Differences in dynamic balance scores in one sport versus multiple sport high school athletes. Int J Sports Phys Ther, 7(2), 148-153.
- Hase K, Stein RB(1999). Turning strategies during human walking. J Neurophysiol, 81(6), 2914-2922. https://doi.org/10.1152/jn.1999.81.6.2914
- Holt RR, Simpson D, Jenner JR, et al(2000). Ground reaction force after a sideways push as a measure of balance in recovery from stroke. Clin Rehabil, 14(1), 88-95. https://doi.org/10.1191/026921500668655351
- Hooper TL, James CR, Brismée JM, et al(2016). Dynamic balance as measured by the Y-Balance Test is reduced in individuals with low back pain: A cross-sectional comparative study. Phys Ther Sport, 22, 29-34. https://doi.org/10.1016/j.ptsp.2016.04.006
- Hudson C, Garrison JC, Pollard K(2016). Y-balance normative data for female collegiate volleyball players. Phys Ther Sport, 22, 61-65. https://doi.org/10.1016/j.ptsp.2016.05.009
- Kandel ER, Jessell TM, Schwartz JH(2000).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4th ed, New York, McGraw-Hill.
- Lander JE, Bates BT, Devita P(1986). Biomechanics of the squat exercise using a modified center of mass bar. Med Sci Sports Exerc, 18(4), 469-547.
- MacKinnon JA, Perlman M, Kirpalani H, et al(1993). Spinal cord injury at birth: diagnostic and prognostic data in twenty-two patients. J Pediatr, 122(3), 431-437. https://doi.org/10.1016/S0022-3476(05)83437-7
- Mergner T, Rosemeier T(1998). Interaction of vestibular, somatosensory and visual signals for postural control and motion perception under terrestrial and microgravity conditions a conceptual model. Brain Res Rev, 28, 118-135. https://doi.org/10.1016/S0165-0173(98)00032-0
- Selseth A, Dayton M, Cordova ML, et al(2000). Quadriceps concentric EMG activity is greater than eccentric EMG activity during the lateral step-up exercise. J Sport Rehabil, 9(2), 124-134. https://doi.org/10.1123/jsr.9.2.124
- Shumway-Cook A, Anson D, Haller S(1988). Postural sway biofeedback: its effect on reestablishing stance st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69(6), 395-400.
- Skelton DA, Beyer N(2003). Exercise and injury prevention in older people. Scand J Med Sci Sports, 13(1), 77-85. https://doi.org/10.1034/j.1600-0838.2003.0030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