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Job Satisfaction of Private Security Guard

민간경비원의 직무만족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8.01.23
  • Accepted : 2018.02.28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As the role and the importance of private security are emphasized in an independent way, as well as in a supportive way for police affairs,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private security guards by investigating their job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some solutions for improvement of their job satisfaction, such as enhancing task motivation and professionalism of private security guards. For the research were used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4 program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nalytic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st fundamental factor i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was 'social recognition'. Social recognition forms when private security guards are trusted as professionals and the value of a job is enhanced. The policy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private security guards can be explained as follows. First, a government certific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an attempt to recruit professional private security guards.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work ability of private security guards,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a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 for a private security guards and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Third, the wage of private security guards should be readjusted to a realistic level. Fourth, it is necessary to secure substantial effect on the permission and the supervision of private security business. Finally, the business area based on public interest should be expanded.

본 연구는 공경비로 대변되고 있는 경찰의 치안업무에 대한 보조역할 뿐만 아니라 때로는 독립적 역할로써 민간경비의 역할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민간경비업의 구성원인 민간경비원의 직무만족도를 고찰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 민간경비원의 근무의욕 및 전문성 제고 등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기법은 빈도분석을 비롯하여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민간경비원의 직무만족도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사회적 인정'으로 나타났는데, 사회적 인정은 전문직업인으로서 신뢰받고 직업적 가치를 높일 때 형성된다. 민간경비원의 직무만족도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제언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민간경비원 공인자격제도를 신설하여 전문성 있는 민간경비원을 채용해야 한다. 둘째, 민간경비원의 업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민간경비원 전담교육기관 지정 및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민간경비원의 보수체계 현실화가 필요하다. 넷째, 민간경비업의 허가 및 감독에 대한 실질적인 효과성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공익적 업무영역이 확대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범, 김상진 (2016). 민간경비원의 조직학습화 수준에 따른 조직몰입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융합보안논문지, 16(1), 49-58.
  2. 곽윤길, 김진환, 이인열 (2009). 경호원의 질적 향상을 위한 직업윤리교육모색. 한국치안행정논집, 6(2), 227-244.
  3. 권순원, 이영지, 김봄이 (2013). 기혼 여성의 직장-가정 갈등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친 영향. 경영교육연구, 77, 299-329.
  4. 김광수 (2010). 첫 직장의 직무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청년층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다은, 박종승 (2017). 지역 무질서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민간경비의 조절효과. 한국경호경비학회지, 50, 339-366.
  6. 김영현, 박길준 (2015). 민간경비원의 조직윤리, 직무만족 및 조직시민행동의 구조적 관계.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2, 59-85.
  7. 김용호 (2006). 비정규직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고용환경 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인재, 조성진 (2012).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2, 65-93.
  9. 김창호, 하정훈 (2013). 민간경비원의 대인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4, 115-137.
  10. 민진 (2010). 조직관리론. 서울: 대영문화사.
  11. 박주상, 최응렬 (2010). 교대근무 경찰공무원의 수면장애, 피로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찰학총론, 5(1), 25-53.
  12. 서동진 (2013). 민간경비원의 임금만족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양경민 (2017). 일반경비원 신임 교육훈련 교육만족도. 경찰복지연구, 5(1), 149-175.
  14. 이민형 (2012). 지역문화축제 안전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민간경비제도 구축 방안.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1(2), 163-182.
  15. 이상인, 김동현 (2017). 민간경비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태도 변수간의 영향관계 분석. 한국경호경비학회지, 51, 125-149.
  16. 정훈, 강진형 (2013). 민간경비원의 직업윤리의식이 조직신뢰,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7, 7-28.
  17. 최일균 (2015). 보안직 종사자의 고용불안과 직무 환경만족 및 처우개선에 관한 연구. 경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최재영 (2011). 민간경비원의 직무만족도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민간경비원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하정훈 (2013). 민간경비원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인과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한영광 (2011). 노동조합이 직무만족요인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한영선, 정영금 (2014). 유연근무제가 기혼여성의 일-가정 갈등 및 촉진,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4), 1-26.
  22. 홍태경, 김용현 (2012). 기계경비 출동요원의 직무특성과 조직특성이 조직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안행정논집, 9(3), 135-161.
  23. 홍태경, 류준혁 (2015). 민간경비원의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4(2), 133-158.
  24. Locke, E. A. (1976). The Nature &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Dunnette M. 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
  25. Herzberg, F., Mauser, B., & Synderman, B. (1959). The Motivation to Work. Wiley.
  26. Vroom, V. H. (1964). Work and Motivation. New York: Wi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