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and 「ACT ON THE PROTECTION, ETC. OF TEMPORARY AGENCY WORKERS」 among Security Guards

「경비업법」상 경비원과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상 경비원의 비교에 관한 연구

  • 노진거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 최경철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 이영호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Received : 2018.05.15
  • Accepted : 2018.05.31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According to the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security guards are not just workers but security-related service workers complementing the lack of police force and specializing in protecting of national important facilities, industrial facilities and apartment houses. Nevertheless, confusing or mixing the security service workers in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with the guards in the "Act on the Protection etc. of Temporary Agency Workers" lead to a constant debate about the scope of work of security guards. In the case of security service workers in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there is a strict limitations on security service worker's qualification such as strict reasons for disqualification, a need to pass training for new workers and qualification training, a need to report to the competent chief police officer if the security guard has placed or unplaced by the security service company. It distinguishes security service workers in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from the guards in the "Act on the Protection etc. of Temporary Agency Workers" and acknowledges the occupation of security service worker as a professional service worker. Therefore, security service workers in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shouldn't be obliged to do any other work than security work. If it is required to do other work than security work contract by the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doesn't apply but need to use a security guard according to "Act on the Protection etc. of Temporary Agency Workers" or hire a security guard on the employment contract. In this way, when security service workers in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are recognized as professional security related workers, the entire security industry can ultimately develop.

경비업법상 경비원은 단순노무 종사자가 아닌 부족한 경찰력을 보완하고 국가중요시설, 산업시설, 공동주택 등의 경비를 전문으로 하는 보안관련 서비스 종사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안관련 서비스직인 경비업법상 경비원과 단순 노무직인 파견법상 경비원을 혼동 내지 혼용함으로써 경비원의 업무범위에 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경비업법상 경비원의 경우에는 엄격한 결격사유를 규정하고 있으며, 경비원 신임교육 및 직무교육을 받게 하고 있으며, 경비업자가 경비원을 배치하거나 배치를 폐지한 경우에는 관할 경찰관서장에게 신고하게 하는 등 경비원의 자격 등에 대하여 엄격한 제한을 규정하고 있다. 이는 경비업법상 경비원을 파견법상 경비원과 구분하여 전문 서비스직으로서 경비원의 직종을 인정하고자 함에 있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경비업법상 경비원에 대하여는 경비업무 외 업무를 시켜서는 안 된다. 경비업무 외 업무를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경비업법상 도급계약을 체결할 것이 아니라 파견법상 경비원을 사용하던지 또는 고용계약에 의한 경비원을 고용하여 자체경비를 하여야 할 것이다. 이렇게 경비업법상 경비원을 전문 보안관련 서비스직으로 인정할 때 궁극적으로 경비산업 전반이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찰청 (2005). 경비업 업무처리 매뉴얼. 경찰청.
  2. 김태민 (2012). 민간경비산업의 실효적 법개정 사안. 한국치안행정논집, 10(1), 123-144.
  3. 서진석, 안황권, 이상철, 정태황, 남병선, 김영주, 김일곤, 조혜경, 이선미, 권윤정, 권도이 (2018). 일반경비. 서울: (사)한국경비협회.
  4. 안성조 (2009). 경비업법. 인천: 진영사.
  5. 안황권 (2009). 시설경비론. 인천: 진영사.
  6. 안황권, 김정환, 서진석, 김일곤 (2013). 한국민간경비산업60년사. 서울: (사)한국경비협회.
  7. 전용태, 신소영 (2014). 민간경비원의 신임교육훈련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8, 163-189.
  8. 정진환 (2004). 경비업법개론. 서울: 백산출판사.
  9. 최경철 (2016). 경비업법령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최석오 (2012). 경비업법상 직무범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 48, 99-117.
  11. 홍용연 (2007). 경비업법. 서울: 폴리티아.
  12. John J. Fay (2002). Contemporary Security Management. Boston: Butterworth Heinemann.
  13. 대법원 2014. 3. 27. 선고 2013도11969 판결.
  14. 대법원 2016. 1. 28. 선고 2012다17806 판결.
  15. 헌재 2002. 4. 25. 2001헌마614.
  16. 법제처 법령해석 07-0041, 2007. 03. 23, 경찰청.
  17. 제358차 제1차 행정안전위원회 국회회의록 (2018년 3월 27일).
  18. http://www.law.go.kr/main.html (국가법령정보센터).
  19. http://www.assembly.go.kr/search/search.jsp (국회의안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