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년 성인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가 자기효능감, 자녀양육과 노부모부양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orean Adults' Perception of Parent-Child Relation on Self-Efficacy, Child Rearing Practices, Elderly Parent Care Practices, and Happiness

  • 투고 : 2018.02.01
  • 심사 : 2018.04.04
  • 발행 : 2018.05.31

초록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중년 성인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가 성인의 자기효능감, 자녀양육과 노부모부양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초, 중, 고, 대학생 자녀를 둔 성인 2,632명(남 1,275명, 여 1,357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5.44세(남 46.96세, 여 44.10세)였다. 분석 결과,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는 성인의 자기효능감과 자녀양육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었고, 행복에 대해 간접적인 영향이 있었다. 즉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고, 자녀양육에 헌신적이었으며, 높아진 자기효능감은 행복감을 증진하였다.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가 노부모부양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로 차이가 있었다. 남자는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노부모부양에 적극적이었으나, 여자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 토대하여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가 중년 성인의 심리특성 및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orean adults' perception of parent-child relation on their self-efficacy, child rearing practices, elderly parent care practices, and happiness. In this study the parent-child relation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adults' parents and the adult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adults (2,632; male=1,275, female=1,357) with children in primary, secondary, and/or university, with an average age of 45.44-years-old (male=46.96-years-old, female=44.10-years-old). The results showed a direct influence of the adults' perception of parent-child relation on their self-efficacy and their child rearing practices, and an indirect influence on their happiness. This indicates that a more positive adult's perception of parent-child relation leads to higher self-efficacy and greater devotion to their child rearing practices. And furthermore, an elevated self-efficacy enhanced their happiness.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for the influence of adults' perception of parent-child relation on elderly parent care practices. For Korean male adults,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child relation lead to a more active participation in elderly parent care practices. However, for Korean female adults no direct influence was found. Based on these results, a discussion of the influence of adults' perception of parent-child relation on the adul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amily-members relationships is provid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선, 성승연 (2012). 독서치료를 경험한 중년 여성의 삶의 인식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3), 475-516.
  2. 김병영, 정소희, 김영호 (2011). 남아선호 가정에서 성장한 기혼여성의 가족관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대상관계이론적 관점.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5(2), 95-126.
  3. 김수영 (2016).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서울: 학지사.
  4. 김영희, 신희정, 채영문 (2007). 원가족의 정서 분위기, 결혼만족도 및 부모역할 자신감이 유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2(2), 67-87.
  5. 김의철, 박영신 (1999).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가정, 학교, 친구, 사회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3(1), 99-142.
  6. 김의철, 박영신, 김명언, 이건우, 유호식 (2000). 청소년, 성인, 노인 세대의 차이와 생활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1), 119-145.
  7. 김정민, 최연실 (2014). 50대 만학도 여성의 생애사 연구: 삶의 영역, 전환점과 적응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9(1), 1-29.
  8. 김정희 (2002). 가족 재구성 모델을 통한 자기성장 집단상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심리치료, 14(3), 599-619.
  9. 김지영, 최상진 (2004). 아내폭행 원인에 대한 통합적 모델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18(3), 77-95.
  10. 김철근, 이완정 (2012). 아동기의 경험과 부모로서의 양육효능감이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70, 107-126.
  11. 남순현, 한성열 (2002). 가족분화수준, 가족관계의 질 및 친밀감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2), 33-49.
  12. 남순현, 한성열 (2003). 신혼기 부부의 부모로 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결혼 후 친밀감에 미치는 원가족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3), 505-523.
  13. 문정희, 안정신 (2014). 노부모에 대한 성인자녀의 양가감정 탐색. 한국노년학, 34(2), 409-429.
  14. 박경환 (2011). 직장인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분화가 핵심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1), 243-264.
  15. 박소영, 조성희 (2010). 시부모와의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여성가족 패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5(3), 5-26.
  16. 박영균, 박영신, 김의철 (2010). 한국 청소년과 부모 세대 간 심리특성 차이 분석: 생활목표, 가족관련 가치, 학업기대,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1(4), 79-113.
  17. 박영신 (1997). 청소년 자기효능감과 통제부위 신념의 형성요인. 안귀덕, 황정규, 김의철, 박영신. 한국청소년문화: 심리사회적 형성 요인. 41-17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8. 박영신, 김의철 (2004).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 토착심리탐구. 파주: 교육과학사.
  19. 박영신, 김의철 (2006). 청소년기 신뢰의식의 형성과 집단별 차이 비교: 인간관계 신뢰에서의 토착심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3), 85-127.
  20. 박영신, 김의철 (2008). 배우자의 사회적 지원, 자녀에 대한 신뢰 및 자기효능감이 성인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4), 71-101.
  21. 박영신, 김의철 (2009).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자원: 한국인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특집호, 95-132.
  22. 박영신, 김의철 (2011). 중년기 성인 남녀의 행복 형성 요인: 전업주부, 취업주부와 그들의 남편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8(1), 65-108.
  23. 박영신, 김의철 (2013). 한국인의 성취의식: 토착심리 탐구. 파주: 교육과학사.
  24. 박영신, 김의철 (2014).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 토착심리 탐구. 파주: 교육과학사.
  25. 박영신, 김의철, 박선영 (2013). 성인이 지각한 행복의 수준과 요인: 가정,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0(2), 153-184.
  26. 박영신, 김의철, 신영이 (2009). 고등학생 부모가 지각한 자녀의 효도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인간발달연구, 16(2), 109-141.
  27. 박영신, 김의철, 신영이, 이임순 (2014). 청소년의 효도에 대한 지각과 학업성취: 부모정서적 지원과 부모관계효능감의 영향 분석. 청소년학연구, 21(10), 415-443.
  28. 박영신, 김의철, 정갑순 (2004). 한국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와 성취에 대한 종단 연구: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3), 37-59.
  29. 박영신, 김정희, 전성숙 (2016). 가족형태별 중년 성인의 노부모 부양인식과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및사회문제, 22(3), 455-485.
  30. 박영신, 박영균, 김의철, 한기혜 (2011). 도시와 농촌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삶의 질: 지역, 부모의 기대, 부모와 갈등, 자기효능감의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2(3), 5-41.
  31. 박영신, 박영자, 남인순 (2017). 청소년과 부모세대의 노부모 부양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및사회문제, 23(3), 409-449.
  32. 박영신, 이경란 (2014). 직장인의 직무만족도 형성에 대한 연구: 정서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및 직무성취도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및사회문제, 20(4), 469-491.
  33. 박영신, 이경란, 안자영, 이상희 (2015). 직장인의 스트레스 증상과 대처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정서적 지원,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 직무성취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및사회문제, 21(3), 317-338.
  34. 박영신, 이임순, 이상희, 김태우 (2015). 부모자녀관계와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9(3), 505-542.
  35. 박형원 (2015). 기혼 성인의 가족건강성에 대한 영향 요인: 원가족 경험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9), 184-194.
  36. 송기춘, 정혜정 (2010). 기혼 남녀가 지각한 원가족 건강성과 결혼적응이 노부모와의 결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2), 49-69.
  37. 연은경, 김영희 (2014). 아버지의 원가족 부모관계와 부부관계가 자녀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9(3), 509-257.
  38. 오종현 (2016). 원가족경험과 결혼만족 관계에 미치는 자기분화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7(2), 509-532.
  39. 오현주, 최승미, 조현, 권정혜 (2013). 가부장적 원가족 분위기가 신혼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의사소통 패턴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1), 1-16.
  40. 유연지, 조현주, 권정혜 (2008). 부부의 원가족 특성과 고부 옹서 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4), 433-451.
  41. 이성희, 김현수, 조성경 (2012). 결혼이주여성의 개인배경특성, 원가족건강성, 정신건강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7(3), 167-189.
  42. 이숙희, 고인숙, 심정선 (2009). 부모가 지각한 원가족과 부모의 양육스타일 및 세대간 전이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111-134.
  43. 이신숙, 차용은 (2000). 성인자녀의 자아분화 수준과 원가족에 대한 가족건강도 지각이 노모와의 유대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8(4), 21-32.
  44. 이원준, 신성자 (2015). 노부모 수발에 대한 정서적 규범적 헌신과 부모자녀 친밀성의 세대 간 전승효과: 부자, 모녀관계 중심으로.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8(1), 125-154.
  45. 이재림, 김영희 (2011). 원가족 분화경험이 기혼남녀의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불안과 행복감을 매개로. 대한가정학회지, 49(7), 13-24.
  46. 이주연, 장선웅 (2011). 기혼남녀가 지각한 원가족 경험과 부부친밀감이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4), 93-111.
  47. 이준선 (2014). 기혼 기독교인의 원가족 경험이 가족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영적 성숙도를 매개변인으로.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5(1), 157-195.
  48. 장성숙 (2007). 가족주의와 현실역동상담의 일체적 관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심리치료, 19(3), 523-537.
  49. 전주혜, 박정윤, 김양희, 장영은, 어성연 (2010). 부모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2), 1-15.
  50. 최상진 (2000). 한국인 심리학. 중앙대학교 출판부.
  51. 최미경, 김영희, 정혜숙 (2014). 어머니의 원가족 부모관계와 부부관계가 유아기 자녀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3), 221-237.
  52. 최연우, 백용매 (2010). 원가족 건강성과 부부친밀감 및 고부갈등이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17(2), 145-164.
  53. 하성희, 정혜정 (2008). 원가족 건강성과 자기분화의 세대 간 전이. 상담학연구, 9(2), 789-806.
  54. 한윤정, 정혜정 (2014).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과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9(4), 855-881.
  55. Bandura, A. (1995). Manual for the construction of self-efficacy scales. Unpublished manuscript, Department of Psychology, Stanford University, USA.
  56.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57. Brown, M., Larson, J., Harper, J., & Holman, T. (2016). Family-of-origin experience and emotional health as predictors of relationship self-regulation in marriage. Journal of Family Therapy, 38(3), 319-339.
  58. Costa-Ramalho, S., Marques-Pinto, A., & Ribeiro, M. T. (2017). The retrospective experience of climate in the family-of-origin and dyadic coping in couple relationships: pathways to dyadic adjustment. Journal of Family Studies, 23(3), 371-388.
  59.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60. Epstein. S. (1983). The mother-father-peer scale. University of Massachusetts-Amherst.
  61. Fingerman, K. L., Pillemer, K. A., Silverstein, M., & Suitor, J. J. (2012). The baby boomers'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Gerontologist, 52(2), 199-209.
  62. Fingerman, K. L., Kim, K., Tennant, P. S., Birditt, K. S., & Zarit, S. H. (2016). Intergenerational support in a daily context. Gerontologist, 56(5), 896-908.
  63. Hardy, N. R., Soloski, K. L., Ratcliffe, G. C., Anderson, J. R., & Willoughby, B. J. (2015). Associations between family of origin climate, relationship self-regulation, and marital outcome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41(4), 508-521.
  64. Igarashi, H., Hooker, K., Coehlo, D. P., & Manoogian, M. M. (2013). "My nest is full:"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at mid life. Journal of Aging Studies, 27(2), 102-112.
  65. Kim, U. (1995).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 psychological, cultural and ecological analysis. NIAS Reports, No. 21. p.40.
  66. Kim, U., & Park, Y. S. (2004). Indigenous psychologies. In C. Spielberger (Ed.), Encyclopedia of applied psychology, vol 2. 263-269. Oxford: Elsevier Academic Press.
  67. Kiviniemi, A. A. I., Wasz-Hockert, O., Seitamo, L. K., Joskitt, L. O., Heikkinen, H. P., Moilanen, I. K., & Ebeling, H. E. (2011).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images and satisfaction in intimate relationships in a Northern Finland sample. International Journal of Circumpolar Health, 70(2), 215-227.
  68.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69. Martinson, V. K., Holman, T. B., Larson, J. H., & Jackson, J. B.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coming to terms with family-of-origin difficulties and adult relationship satisfaction.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38(3), 207-217.
  70. Prioste, A., Narciso, I., Goncalves, M., & Pereira, C. R. (2016). Adolescent parents' values: The role played by retrospective perceptions of the family-of-origin.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5(1), 224-231.
  71. Sadeghi, M. S., Mazaheri, M. A., Motabi, D. F., & Zahedi, K. (2012). Marital interaction in Iranian couples: Examining the role of culture.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43(2), 281-300.
  72. Silverstein, M., Parrott, T., & Bengtson, V. (1995). Factors that predispose middle-aged sons and daughters to provide social support to older parent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7(2), 465-475.
  73. Trieu, M. M. (2016). Family obligation fulfillment among southeast Asian American young adults. Journal of Family Is ues, 37(10), 1355-1383.
  74. Yoshida, K., & Busby, D. M. (2012).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effects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 cross-cultural study. Journal of Family Issues, 33(2), 202-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