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학계열 장기현장실습(IPP) 참여자 반응 및 행태분석

Analysis of Response and Behavior of Engineering Students Participated in Long-Term Field Practice (IPP)

  • 김동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 투고 : 2018.10.15
  • 심사 : 2018.11.10
  • 발행 : 2018.12.01

초록

본 연구는 도입 4년차인 IPP제도의 성과를 공학계열 참여자의 관점에서 중간평가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결과 IPP에 참여한 공학계열 학생들은 진로선택 도움, 취업경쟁력 제고 등의 IPP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가운데 조사대상 3개년간 긍정적 인식수준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IPP종료 시점에 평가한 참가자 자신들의 전공 역량, 비전공 역량 수준 역시 3개년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반면 실습기업과 운영대학에 대한 만족도는 3개년간 보통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IPP제도를 후배나 동료에게 추천할 의향은 3개년간 보통수준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희망직무와 IPP 참여직무가 일치할수록 IPP효과에 대해서 긍정적 평가를 하였고 IPP제도 추천의향 역시 크게 증가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IPP참가자들이 인식하는 지난 3년간의 IPP성과는 전반적으로 긍정적 수준에 있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직무적합성 정도가 IPP효과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IPP system were examined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was suggested from the viewpoint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long-term field practice. The participating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IPP system was helpful in enhancing their major competence, non-major competence, and job competitiveness. On the other hand, satisfaction with practicing companies and operating universities remains at a normal level for three years, and the intention to recommend IPP system to junior colleagues and colleagues has been consistently high for three years. The more consistent the desired job and the IPP participation job, the greater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IPP effect and the greater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of IPP system.

키워드

표 1. 연도별 IPP참가학생 수(단위: 명) Table 1. Number of participants by year

HSCGCO_2018_v10n2_131_t0001.png 이미지

표 2. 응답자 특성(단위: 명(%)) Table 2. Respondent characteristics

HSCGCO_2018_v10n2_131_t0002.png 이미지

표 3. IPP참가 후 전공역량 인식 차이 Table 3.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major competence after IPP

HSCGCO_2018_v10n2_131_t0003.png 이미지

표 4. IPP참가 후 비전공역량 인식 차이 Table 4.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non-major competence after IPP

HSCGCO_2018_v10n2_131_t0004.png 이미지

표 5. IPP효과인식 차이 Table 5.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IPP effect

HSCGCO_2018_v10n2_131_t0005.png 이미지

표 6. IPP 실습기업 만족도 차이 Table 6.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practicing company

HSCGCO_2018_v10n2_131_t0006.png 이미지

표 7. IPP 운영대학 만족도 차이 Table 7.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HSCGCO_2018_v10n2_131_t0007.png 이미지

표 8. IPP 애호도 차이 Table 8. Difference in IPP loyalty

HSCGCO_2018_v10n2_131_t0008.png 이미지

참고문헌

  1. C. H. Oh, J. H. Ha, N. H. Kim, and M. S. Lee, "Industry.Government.University related professional practice model for higher education,"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vol. 3, no. 2, pp. 128-135, December 2011.
  2. C. H. Oh, J. H. Ha, N. H. Kim, J. S. Cho, and K. Y. Om, "Academic program operation for the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implementation,"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vol. 4, no. 2, pp. 110-115, December 2012.
  3. K. Y. Om and C. H. Oh,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KOREATECH IPP program: Focusing on the main operation of 2013,"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vol. 6, no. 1, pp. 57-64, June 2014. https://doi.org/10.14702/JPEE.2014.057
  4. M. S. Lee, C. H. Oh, N. H. Kim, and J. H. Ha,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successful introduction and operations for IPP program,"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vol. 4, no. 1, pp. 86-92, June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