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Mathematical Competencies

수학 교과 역량을 반영한 수업평가 기준 탐색 -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8.01.03
  • Accepted : 2018.02.01
  • Published : 2018.02.15

Abstract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omains and the standards of instructional evaluation on the teacher knowledge dealing with the knowledg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Especially, in this study, the instruction assessment standards are developed focused on the six types of mathematics competencies such as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reasoning, creativity and collaboration, information and handling, attitude and practice which were emphasized in the mathematical curriculum revised in 2015. By the result, seventh evaluation domains such as an instruction involving problem-solving activity, an instruction involving reasoning activity, instruction involving communication activity, instruction on information and handling activity, instruction involving learners' achievement level and attitude, instruction involving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method and tool, instruction applying on assessment result were new established. According to those domains, the 19 instructional evaluation standards were developed totally. This study is limited to consider the domai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among the domains of teacher knowledge, while dealing with the elements of mathematics competencies in the standards. However, instructional evaluation standards reflecting these competencies should be developed in the other diverse domains of teacher knowledge.

학교 교육에서 교사 지식 내지 교사의 수업 전문성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 부문을 계발하고 정진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할 것이며, 이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교사의 수학 수업평가 요소를 마련하는 일은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이러한 취지하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 전문성의 핵심 영역인 수업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에 대하여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 용이한 수학 수업의 평가영역 및 그에 따른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과 역량에 초점을 두어 이를 반영한 수업평가 기준을 개발하고자 한다. 다만,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지식,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 수업 상황 지식 등과 같은 여러 교사 지식 중, 평가는 교수 학습 방법 및 활동과도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고상숙 외, 2012)에 따를 뿐만 아니라 수학 교과에서의 교과 역량이 교육과정 문서 상 '교수 학습 방법' 부문에 제시되어 있다는 것을 감안하여, '교수 학습방법 및 평가'에 관한 지식 부문에 중점을 두어 교과 역량을 반영한 수학 수업평가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수업평가는 수업전의 수업 계획, 수업후의 수업 실행 (결과), 수업후의 반성 측면에서 그 평가가 가능한데, 실제로 수업 진행 상황에 관한 '실행'이 기본이 되고 중요하다는 판단 하에, 본 연구에서는 수업 실행에 중점을 두어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상숙, 고호경, 박만구, 한혜숙, 홍예윤 (2012). 수학교육평가론. 서울: 경문사. (ko Sang Sook, Ko ho Kyung, Park, Man Goo, Han Hye Sook, Hong Yue Yoon (2012). The theory of Mathematical Education Assessment. Seoul: Kyung Moon Sa.)
  2.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세종: 교육부.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2015-74, 8). Sejong: The Ministry of Education.)
  3. 김유경 (2017). 수업과 통합한 수학 교과 역량 중심의 평가 실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1), 93-11.(Kim, Yukyung (2017). Action Reserach on Math Competencies-oriented Assessment of Integrated Instruction.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21(1), 93-113.)
  4. 박경미 외 42명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Park Kyung Mee, et. al. (2015). A study on mathematical curriculum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Korea Founc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5. 성은현, 성소연, 김누리, Y.S.Hwang (2014). 수업에서의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 자기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영재와 영재교육, 13(2), 230-257.(Seung Eun Hyun, Sung So Yeon, Kim Noo Ri, Hwang Young Suk (2014). Development of the Self Assessment of Creativity Education in the Classroom.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13(2), 230-257.)
  6. 장신애 (2016). 교사가 인식하는 중등 수학과 수업평가 요인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Jang, Sin Ae (2016). Factor Analysis of Second School Math Teaching Evaluation Recognized by Teachers. Grade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 Dissertation.)
  7. 이차영, 박찬주 (2005). 교사평가의 쟁점: 평가주체 논쟁에 관한 외국 사례의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15(3), 177-197.(Lee Cha Young, Park Chanjoo (2005). Who evaluates teachers?: some implications from foreign cases.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15(3), 177-197.)
  8. 임찬빈, 이화진, 최승현, 오은순, 이경언, 이수정, 노은희, 권순달 (2006).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III): 일반 기준 및 교과(국어, 수학, 기술․가정, 음악, 초등)기준 상세화. 연구보고 RRI 2006-3.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Imm, Chan-Binn, Yi, Hwa-Jin, Choi, Seung-Hyun, Oh, Eun-Soon, Lee, Kyung-Eon, Lee, Soo-Jung, Ro, Eun-Hee, Kwon, Sun-Dal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III). Research Report RRI 2006-3. Seoul: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9. 황혜정 (2011). 수학 수업의 교사 지식에 관한 평가 요소 탐색 -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241-263. (Hwang, Hye Jeang (2011).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4(3), 241-263.)
  10. 황혜정 (2012). 수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 지식에 대한 평가 기준 재탐색. 수학교육논문집, 26(1), 29-55. (Hwang, Hye Jeang (2012).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Mathematics Teaching Focused on Teacher's Knowledg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6(1), 29-55.)
  11. 황혜정 (2013). 교사 의견 조사에 기초한 수학 교과에서의 수업평가 기준 및 활용 탐색. 수학교육논문집, 27(1), 39-67. (Hwang, Hye Jeang (2013).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Mathematics Teaching according to the teacher's opinion research.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7(1), 39-67.)

Cited by

  1. 수학 교과에서의 교과 역량을 반영한 수업비평문 개발 연구 vol.36, pp.4, 2018, https://doi.org/10.7858/eamj.2020.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