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소설을 소재로 한 수학학습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ssibility of mathematics learning using novels

  • Shin, Hyunyong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won, Minsuk (Sam Gak San High School) ;
  • Han, Ahyun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투고 : 2018.01.31
  • 심사 : 2018.03.10
  • 발행 : 2018.05.15

초록

이 연구는 비교적 많은 학생들에게 익숙한 두 개의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프랫랜드"를 읽고 각각의 소설에 스며있는 수학적 소재를 발견하고 그러한 수학적 소재가 소설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피는 수학학습 자료를 제시한다. 이러한 학습을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문학에서도 수학을 이야기할 수 있음을 인식하여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측면의 소양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제시하는 학습에서 다루는 수학 내용 일부는 현행 수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학습자료는 영재교육 등 특수 목적의 수업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proposing and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of mathematics learning using novels, "Alice in Wonderland" and "Flatland". The proposed learning model of this article is for 3 hours of mathematics class. The model has been reviewed and remedied by 7 professionals(mathematics teachers). General opinions of the reviewers are quite optimistic on possibility of implement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권민석(2018). 수학영재학생의 띠 문양 분류에서 나타나는 사고특성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Kwon, Min Seok (2018). An Analysi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 Thinking Characteristics in Frieze Pattern Classification.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 교육부(2018). 자유학년 및 연계학기 운영 가이드, Retrieved from http://www.ggoomggi.go.kr/page/new/page_view?no=3269&boardType=33000&title=4&subTitle=5 Ministry of Education(2018). Operation Guide for Free School Year and Related Semester, Retrieved from http://www.ggoomggi.go.kr/page/new/page_view?no=3269&boardType=33000&title=4&subTitle=5
  3. 김선희, 김기연(2011). 수학 교육의 정의적 목표에 대한 재고. 수학교육학연구, 21(2), 149-163. Kim Sun Hee & Kim Ki Yoen (2011). Reconsideration on the Affective Goals i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1(2), 149-163.
  4. 김형원, 고호경(2017). 고등학교 사회 수학 융합 프로그램이 수학 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3), 239-254. Kim, Hyung Won & Ko, Ho Kyoung (2017). Effectiveness of math-social science conjoined program on students' attitudes toward in mathematic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20(3), 239-254.
  5. 남진영(2015).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의 정의적 영역 목표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2), 159-178. Nam JinYoung (2015). A Study on Aims for Affective Development in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9(2), 159-178.
  6. 신현용 (2014a). 거문고 괘율에 관한 조사 및 괘율 분석을 위한 수학적 모형 개발. 한국음악학회, 제55집, 123-153. Shin, H. (2014a). A Survey on Gwaeyul of Geomungo and Development of Mathematical Model for Analysis of Gwaeyul.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Vol. 55, 123-153.
  7. 신현용(2014b). 테셀레이션 소재의 수학이야기 자료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4(2), 363-368. Shin, H. (2014b). Development of Mathematical Story Based on Tessellation. Proceedings of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2014(2), 363-368.
  8. 신현용 (2018). 수학: 학제적 대화코드, 매디자인. Shin, H. (2018). Mathematics: Code for Interdisciplinary Dialogues: mathesign.
  9. 신현용.신실라 (2014). 문양에 관한 수학적 접근: 군론에 의한 한국 전통 띠 문양의 분류. 디자인학연구, 27(3), 259-311. Shin, H. & Sheen, S. (2014). A mathematical approach to patterns: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frieze patterns according to group theory.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7(3), 295-311.
  10. 조혜정, 김인수(2016).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수학교육 논문집>, 30(1), 67-83. Cho, H. & Kim, I. (2016). Analyzing Research on Trends of Affective Aspects in Mathematics in Korea.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30(1), 67-83.
  11. Vitanyi, P. M. B. (2013). Tolstoy's Mathematics in War and Peace, The Mathematical Intelligencer, Volume 35. Number 1, Spr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