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무용기반 저강도 복합운동요법이 당뇨노인의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Physiological Index of the Elderly with Diabetes According to Dance Based Low Intensity Combined Kinesitherapy

  • 김수진 (한양대학교 공연예술학과)
  • 투고 : 2018.01.04
  • 심사 : 2018.05.23
  • 발행 : 2018.05.28

초록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에 있어서 저강도의 복합적 운동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점과 무용-동작활동이 갖는 방법론적 측면의 유용성에 관한 이론적 근거 하에, 사전 동질성 검증을 거친 노인 당뇨환자에게 12주간 무용-동작활동과 저강도 복합운동을 처방한 실험군(병행군)과 저강도 복합운동만을 처방한 대조군(운동군)의 공복혈당 및 혈중지질의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복시 혈당은 집단별 사전-사후 차이에서 실험군의 차이가 대조군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총 콜레스테롤은 집단별 사전-사후 차이에서 실험군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성지방은 집단별 사전-사후 차이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집단별 사전-사후 차이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은 집단별 사전-사후 차이에서 실험군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본 연구는 기존에 다루지 못한 제 2형 당뇨노인에 있어서 무용-동작활동과 저강도 복합운동의 병행 효과를 생리적 지표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입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w intensity combined kinesitherapy on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exercise and methodology aspects, the difference in the post - test scores between fasting glucose and blood lipids in the control group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xercise group) that prescribed the dance - exercise and low intensity combined exercise for the elderly diabetic patients for 12 weeks sample t-test.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asting blood sugar showed difference in pre - post - difference of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second, the total cholesterol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from pre - post - difference. third, the neutral regio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experimental and comparator groupsfrom pre - post - difference. fourth,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experimental and comparator groups from pre - post - difference. fifth,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from pre - post - difference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combined effects of dance - motion activities and low intensity combined exercise for elderly with type 2 diabetes were quantitatively proved by using physiological index who had not been treated previously.

키워드

참고문헌

  1. H. King, R. E. Aubert, and W. H. Herman, "Global burden of diabetes, 1995-2025: prevalence, numericalestimates, and projections," Diabetes Care, Vol.21, No.9, pp.1414-1431, 1998. https://doi.org/10.2337/diacare.21.9.1414
  2.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 - 2011," Diabetes Care, Vol.34, No.1, pp.11-61, 2011.
  3.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 (2014), 2015.
  4. 강설중, 류부호, "복합운동이 노인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학술지, 제16권, 제2호, pp.21-30, 2014.
  5. 박이병, 백세현, "우리나라 당뇨병의 역학적 특성 -대한당뇨병학회.건강보험심사평가원 공동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당뇨병, 제33권, pp.357-362, 2009.
  6. K. Z. Walker, K. O'Dea, M. Gomez, S. Girgis, and R. Colagiuri, "Diet and exercise in the prevention of diabetes," J Hum Nutr Diet, Vol.23, No.4, pp.344-352, 2010. https://doi.org/10.1111/j.1365-277X.2010.01061.x
  7. 신지영, 지역사회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기능적 체력에 미치는 효과,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8. 박정재,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노인들의 기능적 체력,신체구성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충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9. D. J. Cuff, G. S. Meneilly, A. Martin, A. Ignaszewski, H. D. Tildesley, and J. J. Frohlich, "Effective exercise modality to reduce insulin resistance in women with type2 diabetes," Diabetes Care, Vol.26, No.11, pp.2977-2982, 2003. https://doi.org/10.2337/diacare.26.11.2977
  10. R. J. Sigal, G. P. Kenny, N. G. Boule, G. A. Wells, D. Prud'homme, M. Fortier, and J. Jaffey, "Effects of aerobic training, resistance training, or bothongly cemic control in type2 diabetes: a randomizedtrial," Ann Intern Med, Vol.147, No.6, pp.357-369, 2007. https://doi.org/10.7326/0003-4819-147-6-200709180-00005
  11. S. Lambers, C. Van Laethem, K. Van Acker, and P. Calders, "Influence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indices of obesity, diabetes and cardiovascular risk in type2 diabetes patients," Clin Rehabil, Vol.22, No.6, pp.483-492, 2008. https://doi.org/10.1177/0269215508084582
  12. K. H. An, K. W. Min, and K. A. Han, "The effects of aerobic training versus resistance training in non-obese type2 diabetics," J Korean Diabetes Assoc, Vol.9, pp.486-494, 2005.
  13. A. Maiorana, G. O'Driscoll, C. Goodman, R. Taylor, and D. Green, "Combined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improves glycemic control and fitness in type2 diabetes," Diabetes Res Clin Pract, Vol.56, No.2, pp.115-123, 2002. https://doi.org/10.1016/S0168-8227(01)00368-0
  14. A. Maiorana, G. O'Driscoll, C. Cheetham, L. Dembo, K. Stanton, C. Goodman, and D. Green, "The effect of combined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on vascular function in type2 diabetes," J Am Coll Cardiol, Vol.38, No.3, pp.860-866, 2001. https://doi.org/10.1016/S0735-1097(01)01439-5
  15. R. D. Reid, H. E. Tulloch, R. J. Sigal, G. P. Kenny, M. Fortier, L. McDonnell, and D. Coyl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resistance exercise or both, on patient-reported health status and well-being in type2 diabetes mellitus: a randomised trial," Diabetologia, Vol.53, No.4, pp.632-640, 2010. https://doi.org/10.1007/s00125-009-1631-1
  16. 김성빈, 길재호, "12주간 수기요법 복합처치가 만성요통 중년 여성의 근활성도와 척추측만도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학술지, 제15권, 제1호, pp.145-156, 2013.
  17. 김혜진, 소도구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이 근골격계질환 여성농업인의 신체안정성과 감각운동 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8. 최홍열, 소도구 순환운동이 여성노인의 건강체력과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9. 최희정, 탄성밴드운동이 노인여성의 체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명지대학교 사회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0. 정지은, 필라테스 매트운동이 여성노인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요부근력 및 혈관탄성도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1. 김설향, 한승진, 천영진, "노인을 위한 주 1회 낙상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6권, pp.913-920, 2011.
  22. 구미옥, 전미양, 은영, "노인 낙상예방 및 맞춤운동의 개발 및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36권, 제2호, pp.341-352, 2006.
  23. 권진숙, 여가복지시설 운동프로그램 이용 노인의 체력, 신체구성, 삶의 질 변화,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4. 김수민, 박재용, 한창현, "일상생활수행 제한 노인들의 재활운동행위의 실천에 따른 영향요인 분석: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3호, pp.271-281,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3.271
  25. 김란, 우리춤체조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체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6. 유지영, "노인무용 교육효과의 치유작용 메커니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114-121,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4.114
  27. 류분순, 무용.동작 치료학, 학지사, 2000.
  28. 류분순, 고경순, "무용동작치료가 식사장애 여성의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임상예술, 제13권, pp.41-49, 2002.
  29. 오양열, 박상원, 김기리나, 양건열, 정갑영, 이봉희, 예술의 사회적 기여에 관한 국내외 실증사례 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8.
  30. F. Kline, R. W. Burgoyne, and F. Staples, "A report on the use of movement therapy for chronic," The Art in psycho therapy, Vol.4, pp.59-71, 1977.
  31. 이경숙, 한국무용을 이용한 춤 체조가 중 노년여성의 건강관련체력 및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32. 최지연, 비만중년여성들의 발레 프로그램과 유산소 운동 참여간의 신체구성 및 혈중지질 효과 비교,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3. 백영호, 염원상, 김세종, 염종우, 한성섭, 서혜림, 기운서, 이현미, "현대인의 건강증진방안 : 치료레크리에이션 무용동작이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노인의 혈당, 혈압,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영양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9호, pp.37-49, 2001.
  34. 이승범, 권오석, "에어로빅댄스 무용활동이 고령자의 $TNF-{\alpha}$, 심혈관위험인자 및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제20권, pp.1-16, 2010.
  35. G. Borg, Borg's perceived exertion and pain scales, Human Kinetice, 1998.
  36. 김대현, "노인 운동처방 가이드라인,"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제9권, 제1호, pp.16-23, 2008.
  37. A. Halprin, 임용자, 김용량 역, 치유 예술로서의 춤, 물병자리, 2002.
  38. 박선영, 춤 테라피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0.
  39. 김인숙, (무용.동작)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이담Books, 2012.
  40. 김월녀, 무용동작치료가 알코올의존환자부인의 자아존중감 및 불안, 우울, 혈청 cortisol 농도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41. 김연금, 이선규, 백기자, "치유예술로서의 춤이 여성노인의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2655-2661,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5.2655
  42. 이혜경, "무용치유의 연구 동향 분석," 무용역사 기록학, 제35권, pp.129-147, 2014.
  43. H. Nho, K. Tanaka, H. S. Kim, Y. Watanabe, and T. Hiyama, "Exercise training in female patients with a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Eur. J. Appl. Physiol., Vol.78, pp.1-6, 1998. https://doi.org/10.1007/s004210050379
  44. 배수을, "통합무용치료의 접근 방법론 연구 : 문학, 음악, 명상 요소와의 통합을 중심으로," 무용예술학연구, 제37권, pp.1-26, 2012.
  45. 김정하, 윤정수, 백승현, "한국무용 수행이 노인여성의 심리적 지수 및 심혈관계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제30권, 제2호, pp.91-101, 2013.
  46. 정진욱, 김수미, "12주 한국무용프로그램이 당뇨 노인여성의 신체조성, 체력,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연구, 제29권, 제1호, pp.259-280, 2011.
  47. 태혜신, 박명숙, "무용학의 융복합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605-61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605
  48. 김혜진, 안철우, "당뇨병 Statement: 노인 당뇨병," 임상당뇨병, 제8권, 제1호, pp.6-7, 2007.
  49. 조용욱, "최신지견: 노인 당뇨병과 우울증," 임상당뇨병, 제9권, 제4호, pp.269-272,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