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미래 학생 역량의 수업설계 연구: 초등 국어과 사례

Istructional Design Issues of Future Student Competency: Case from Elementary Korean Language Classes

  • 조은순 (목원대학교 사범대학 교직과)
  • 투고 : 2018.03.07
  • 심사 : 2018.04.02
  • 발행 : 2018.05.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국어과 수업에서 미래학생역량에 중점을 두고 교수학습을 전개했을 때 교사들이 겪는 실제 수업상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분석하는 것이다. 초등 국어과 현장 교사와의 초점 접단 인터뷰를 통해 평소 수업에 대한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핵심역량기반 수업설계전략을 현장에 접목한 후 교사들의 피드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수업전개, 교사준비, 행정지원의 측면에서 현재 수업 상황에서 미래학생역량이 반영될 때 해결해야 할 중요한 사항들을 지적하였다. 학생들의 성취기준과 핵심역량목표와의 간극이 해결되어야하며 이를 위한 평가실시 및 학생피드백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들의 개념 정립과 수업전략설계를 위한 집중 연수가 필수적이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적 행정지원도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uture student competency based elementary Korean language classes to examine how they can be combined with current classes based on achievement criterion.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 elementary teachers to find current lesson plans and design strategies, and to analyze their perception of future student competency proposed by Ministry of Education. After competency based lesson design was combined with regular class and implemented, teachers were finally interviewed for feedback of the classes. This study found problem issues such as conception of core competencies, gap between student achievement and competency accomplishment, student evaluation system as well as administrative support for execution. This study concluded that teacher training and systematic support should be enforced to ensure teachers competencies before demanding strategically.

키워드

참고문헌

  1. 권호정, 윤성민, 김민정, 이승주, 정병호, 윤길원 권영선, 장병탁, 송기원, 양혁승, 이원재, 김형순, 이종완, 이칠우, 김상용, 김현철 김병연. 남효순. 호모컨버전스: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 아시아, 2016.
  2. 김진하, "제4차 산업혁명시대.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방안 모색," R&D Inl, Vol.3, pp.46-58, 2016.
  3.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7&no=434411, 2017.6.29.
  4. 김병운, "인공지능 동향분석과 국가차원 정책제언," 정보화정책, Vol.23, No.1, pp.74-93, 2016. https://doi.org/10.22693/NIAIP.2016.23.1.074
  5. 교육과정평가원, 지능정보사회 대비 학교교육의 방향탐색, 2016 KICE 이슈페이퍼, 2016.
  6. 박영숙, 2020 미래교육보고서, 서울: 경향미디어, 2010.
  7. 박영숙, 제롬글렌, 유엔미래보고서 2045, 서울: 교보문고, 2015.
  8. 교육과학기술부,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1.
  9. 김혜숙, 계보경, 길혜지, 전종희, "스마트교육이 학교교육에 미치는 영향: 세종시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 Vol.40, No.3, pp.27-48, 2013.
  10.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5, 2015.
  11. 이은하, 최은정, "핵심역량과 국어과 교육과정의 연계가능성 탐색," 아시아 교육연구, Vol.16, No.2, pp.201-230, 2015.
  12. 조은순, 전영주, 남민우, 김현진, 스마트교육의 미래 비전 방향, 세종: 세종특별자치시 교육청, 2015.
  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국어과 평가기준개발연구, 연구보고서, 2016.
  14. M'hamed Jamili, "Creative teachers and their instructional methods, approaches & activities," The magazine for English language teachers (Sept.) 2017.
  15. 부산시교육연구정보원,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학습자 중심 수업적용방안, 2016년도 부산교육정책연구보고서, 2016.
  16. 조은순, 남민우, 조재윤, 김현진, 미래핵심역량중심 세종형 수행평가 모델개발, 세종: 세종특별자치시 교육청, 2016.
  17. 조은순, 이해듬, 스마트 교육 학교에서의 교사역량에 대한 분석연구: 세종시 스마트 교육 기존 실시와 신규실시 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 추계학술대회 발표, 서울대학교, 2016.
  18. http://news.joins.com/article/21278404, 2017.2.19
  19. Envisoning Technology. Future of Education. Retrieved. April 23, 2015, from http://www.envisioning.io/education/2015
  20. G. J. Hwang, "Definition, framework and research issues of smart learning environments-a context-aware ubiquitous learning perspective," Smart Learning Environment, 1:4, 2014. https://doi.org/10.1186/s40561-014-0004-5
  21. ITU, Measuring the information society report 2013. Retrieved April 23, 2015, from http://www.itu.int/pub/D-IND-ICTOI-2013/en 2013.
  22. J. M. Spector, "Conceptualizing the emerging field of smart learning environment," Smart Learning Environment, Vol.1, No.2, pp.1-10, (online), 2014. https://doi.org/10.1186/s40561-014-00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