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근로자의 고용유지 강화 방안 개발

Enhancing Workers' Job Tenure Using Directions Derived from Data Mining Techniques

  • 안민욱 (경상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 김태운 (경상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 유동희 (경상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투고 : 2018.03.30
  • 심사 : 2018.04.26
  • 발행 : 2018.05.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근로자의 이직준비 여부에 관한 예측모형을 구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 주관으로 수집된 "2015년 대졸자 직업 이동경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이직준비 여부 예측모형에는 의사결정나무, 베이즈넷,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이 사용되었다. 전체 직종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의사결정나무 기반 예측모형에서 최고 예측률을 기록하였으며, 이직준비 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근로시간 형태', '종사상 지위', '정규직 여부', '주당 정규 근로시간', '주당 정규 근로일', '개인의 발전가능성'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나무 기반 예측모형의 결과를 활용하여 근로자 전반에 관한 12개의 이직준비 여부 규칙을 최종 도출하였고, 도출된 규칙을 바탕으로 근로자의 고용유지 강화에 도움을 주는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또한 직종별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직종을 사무, 문화예술, 건설, 정보기술 분야로 구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사무 분야는 10개, 문화예술 분야는 9개, 건설 분야는 4개, 그리고 정보기술 분야는 6개의 이직준비 규칙이 도출되었고 이를 토대로 직종별 맞춤화된 고용유지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to develop prediction models of worker job turnover. The experiment used data from the '2015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 developed the prediction models using a decision tree, Bayes net,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We found that the decision tree-based prediction model reported the best accuracy. We also found that the six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are type of working time, job status, full-time or not full-time, regular working hours per week, regular working days per week, and pers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From the decision tree-based prediction model, we derived 12 rules of employee turnover for all job types. Using the derived rules, we proposed helpful directions for enhancing workers' job tenure. In addition, we analyzed the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employees' job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four job types and derived rules for each: office (ten rules), culture and art (nine rules), construction (four rul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six rules). Using the derived rules, we proposed customized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job tenure for each group.

키워드

참고문헌

  1. http://kosis.kr/index/index.do, 2018.4.24.
  2. W. H. Mobley,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Reading, Addison Wesley, 1982.
  3. A. C. Bluedorn, "The Theories of Turnover: Causes, Effects and Meaning,"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Organizations, Vol.1, pp.75-128, 1982.
  4. 박인규, "호텔 종사원의 직무배태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임금만족을 조절변수로," 대한관광경영학회, 제25권, 제3호, pp.61-79, 2010.
  5. R. M. Steers and R. T. Mowday, "Employee turnover and post-decision accommodation processes," In: L. L. Cummings and B. M. Staw (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JAI Press, pp.235-281, 1981.
  6. C. R. Forrest, L. L. Cummings, and A. C. Johnson, "Organizational Participation: A Critique and Model,"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 No.4, pp.586-601, 1977. https://doi.org/10.5465/amr.1977.4406737
  7. J. R. Hackman and G. R. Oldham, "Development of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0, No.2, pp.159-170, 1975. https://doi.org/10.1037/h0076546
  8. 이재명, 강신기, "금융기관 종사자의 이직 및 창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벤처창업연구, 제10권, 제5호, pp.151-163, 2015.
  9. 이상희, 김혁수, "외식업체 종사원의 이직경험에 따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영향관계," 호텔경영학연구, 제23권, 제3호, pp.245-258, 2014.
  10. 윤은자, 권영미, 전미순, 안정화, "간호사 이직 의도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94-106,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094
  11. 이우경, 최수일, "IT업계 종사자들의 이직의도 결정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369-383,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5.369
  12. 지민경, "직무만족 및 전문직업성과 이직 의도와의 관계 분석-치과위생사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9권, 제4호, pp.343-350, 2015.
  13. 김보인, "근로자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근로자 구성특성 별 비교,"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4권, 제5호, pp.31-47, 2017.
  14. 이진복, 곽원준, "상사의 이직의도가 부하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직의도, LMX, POS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제24권, 제3호, pp.117-136, 2017.
  15. 성지미, 안주엽, "일자리 만족도와 이직의사 및 이직-청년층을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제22권, 제2호, pp.135-179, 2016.
  16. 김경범, 이주현, 노진원, 권영대, "청년 취업자의 이직 준비 관련 요인: 청년패널 2007-2003 자료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480-49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480
  17. 김진희, "인사제도의 내재화 직무몰입 역할피로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제12권, 제3호, pp.119-45, 2012.
  18. 김민주, "여행업 종사자의 개인특성에 따른 이직의도 및 영향요인에 대한 지각 차이 분석," 여가관광연구, 제8권, pp.91-105, 2005.
  19. 이선로, 김기영, "국내 IT 요원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리더십과 임파워먼트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제13권, 제4호, pp.85-107, 2006.
  20. 이행렬, 신용석,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GRI 연구논총, 제14권, 제1호, pp.141-172, 2012.
  21. N. V. Chawla, "Data Mining for Imbalanced Datasets: An Overview," In: O. Maimon and L. Rokach (Eds.), Data Mining and Knowledge Discovery Handbook, Springer, 2005.
  22. M. Dash and H. Liu, "Feature Selection for Classification," Intelligent Data Analysis, Vol.1, No.3, pp.131-156, 1997. https://doi.org/10.1016/S1088-467X(97)00008-5
  23. I. H. Witten and E. Frank, Data mining: Practical Machine Learning Tools and Techniques, Morgan Kaufmann Publishers,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