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development focus of a smart city has been changed gradually from a physical development aspect to a space development aspect. In a space development aspect, the major application technologies are Environment Technology (ET), Information Technology (IT) and Environment Information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it is unclear if the space convergence in a smart city has been changed by the 3 technologies. Therefore, specific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nvergence change of smart city 4 spaces (District, Street, Building, Facility) using the 3 technologies. The convergence distribution ratio according to the periods (period 1 : 1972~1999, period 2 : 2000~2009, period 3 : 2010~2017) among the spaces, ET (Environment Technology), IT (Information Technology), ET+IT (Environment Information Technology) in a smart city were examined. The smart city was high in the order of 'District (53/43%) - Building (36/29.1%) - Street (22/17.9%) - Facility (12/10.0%)' in the number of applications and ratio of convergence (Technology Convergence) at Period 1 (1972~1999). The smart city was high in the order of 'District (223/32.4%) - Building (197/28.6%) - Street (195/28.3%) - Facility (74/14.8%)' in the number of applications and ratio of convergence (Technology Convergence) at Period 2 (2000~2009). At period 3, the District (467/33%) was also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the street (384/27.4%) was higher than the building (361/25.8%) and facility (188/13.4%) in smart city space. Fourth, the smart city was high in the order of 'District - Building - Street - Facility' in the number of applications and ratio of convergence (Technology Convergence) at Periods 1 (1972~1999) and 2 (2000~2009). In contrast, the average of number was high in the order of 'Building - Street - District - Facility'. At period 3(2010~2017), the number of applications and the ratio of convergence was high 'District - Street - Building - Facility'; the average of number was the same as in period 1 and 2. As a result, smart city space has been changed by the development of macroscopic urban spaces in the initial stage. Since then, district space-centric development and building space are confused with devices/technologies and changed for citizen inflow. The building space has evolved continually and smart city space will be expected to revitalize the street space connecting completed buildings.
본 스마트시티의 개발초점은 점차 물리적 개발측면에서 공간적 개발측면으로 변화하고 있다. 공간적 개발의 주요적용 기술로는 환경기술(ET), 정보기술(ET), 그리고 환경기술과 정보기술이 융합된 환경 정보기술(ET+IT)이 있다. 그러나 스마트시티에 공간융합이 3가지의 기술들에 의해 변화 한다는 것은 아직까지 불투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공간(지구, 가로, 건물, 시설)의 융합 변화를 3가지 기술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주요연구 내용은 스마트시티에 융합된 환경기술, 정보기술, 환경 정보기술과 4개의 공간 사이의 융합 분포비율을 시기별(시기 1 : 1972~1999, 시기 2 : 2000~2009, 시기 3 : 2010~2017)로 파악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시티 1기의 공간 적용개수와 융합 분포비율 합계는 지구(53개/43.0%)-건물(36개/29.1%)-가로(22개/17.9%)-시설(12개/10.0%) 순으로 높았다. 둘째, 스마트시티 2기의 공간 적용개수와 융합 분포비율 합계는 지구(223개/32.4%)-건물(197개/28.6%)-가로(195개/28.3%)-시설(74개/14.8%) 순으로 높았다. 셋째, 3기에는 4개의 공간 위계 중, 지구(467개/33%)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1기, 2기와 다른 점은 가로(384개/27.4%)가 건물(361개/25.8%)보다 높았으며, 그 뒤로 시설(188개/13.4%)의 융합되고 있다. 넷째, 스마트시티는 1기와 2기 모두 적용개수와 융합비율에서 지구-건물-가로-시설 순으로 높은 결과 값이 나왔으나, 개수평균에서는 건물-가로-지구-시설 순으로 높았다. 3기에는 적용개수와 융합비율이 지구-가로-건물-시설 순으로 높았으며, 개수평균은 1,2기와 동일하였다. 결과적으로 스마트시티 공간(지구, 가로, 건물, 시설)은 초창기에 도시의 거시적 공간(항만, 공원, 녹지, 유원지, 공공공지, 수도전기, 열 공급시설, 하천, 궤도, 운하)의 개발을 통해 변화 되었다. 이후 지구 공간중심 개발과 스마트시티를 구축하는 중요한 건물(내부, 외부, 사이)공간에 다양한 디바이스/기술이 융합되어 시민유입을 목표로 변화하게 되었다. 건물공간은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으며, 향후 스마트시티 공간은 완료된 건물과 건물을 연결하는 가로 공간으로 활성화 될 것이라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