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ixed hybrid prosthesis

고정성 하이브리드 수복

  • Received : 2018.04.03
  • Accepted : 2018.05.27
  • Published : 2018.06.11

Abstract

Often there are edentulous patients with severe vertical resorption of the alveolar ridge so that implant placement in the mandibular posterior is impossible. In this case, implants can be placed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ndible and the patient can be treated with an implant assisted overdenture, but the inherent discomfort of the removable prosthesis can not be overcome. However, if implants are appropriately placed between the mental foramen of both sides and a fixed hybrid prosthesis is fabricated to the patient, the patient will be satisfied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the removable prosthesis. However, the treatment plan should be well designed to prevent disadvantages and expected complications of fixed hybrid prosthesis. Based on my clinical experience, I will explain treatment plan and protocol in detail.

하악 구치부에 임플란트 식립이 불가능할 정도로 치조제의 수직적 흡수가 심한 무치악 환자들이 종종 있다. 이런 경우 하악 전방부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implant assisted overdenture를 할 수도 있지만 가철성 보철물이 갖는 근본적인 불편함을 해결할 수는 없다. 하지만 양측 이공 사이에 임플란트를 적절히 식립하고 fixed hybrid prosthesis를 제작해준다면 가철성 보철물이 갖는 불편함 없이 환자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만 fixed hybrid prosthesis가 갖는 단점 및 예상되는 합병증을 예방하도록 치료계획을 잘 설계해야 할 것이다. 필자의 임상경험을 토대로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Keywords

HSMCB1_2018_v27n1_24_f0001.png 이미지

Fig. 1-1. 하악 무치악 환자를 4개의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fixed hybrid prosthesis 로 치료하였다. Implant assisted overdenture보다는 훨씬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 같다.

HSMCB1_2018_v27n1_24_f0002.png 이미지

Fig. 2. 최후방 임플란트를 최대한 후방으로 식립하여 후방 cantilever를 줄여야 생역학적으로 유리한 상황이 된다.

HSMCB1_2018_v27n1_24_f0003.png 이미지

Fig. 3-1. 하치조신경의 Anterior loop를 항상 고려해야 한다.

HSMCB1_2018_v27n1_24_f0004.png 이미지

Fig. 4-1, 4-2. 4개의 임플란트를 균등한 간격을 갖도록 식립하였다.

HSMCB1_2018_v27n1_24_f0005.png 이미지

Fig. 10-1. 경우에 따라서는 환자가 사용하고 있는 temporary restoration을 이용하여 mounting을 하기도 한다.

HSMCB1_2018_v27n1_24_f0006.png 이미지

Fig. 10-2. 또는 총의치와 같이 wax denture의 형태로 악간관계를 평가한다.

HSMCB1_2018_v27n1_24_f0007.png 이미지

Fig. 15-1. 설면이 거의 금속으로 되어있다.

HSMCB1_2018_v27n1_24_f0008.png 이미지

Fig. 15-2, 15-3. point보다는 cup형태의 polishing tool을 이용하면 설측을 쉽게 청소할 수 있다.

HSMCB1_2018_v27n1_24_f0009.png 이미지

Fig. 1-2, 1-3, 1-4, 1-5. 완전무치악 환자의 구강내 사진으로 하악의 치조제가 거의 없는 상태로 구강저와 뺨이 연결되는 형태처럼 보인다.

HSMCB1_2018_v27n1_24_f0010.png 이미지

Fig. 3-2, 3-3. 수술시 양측 이공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한다.

HSMCB1_2018_v27n1_24_f0011.png 이미지

Fig. 3-4. Mental foramen의 anterior border로부터 7mm 떨어진 곳에 drilling을 시작한다.

HSMCB1_2018_v27n1_24_f0012.png 이미지

Fig. 5-1, 5-2. 수술이 끝난 후 실리콘 인상재를 이용하여 임시 의치에 구멍을 뚫을 위치를 인기해낸다.

HSMCB1_2018_v27n1_24_f0013.png 이미지

Fig. 5-3, 5-4. 임시 의치에 구멍을 뚫은 후에 구강내에 위치시킨 temporary cylinder가 의치에 걸리는 부분이 없는지 확인해 본다.

HSMCB1_2018_v27n1_24_f0014.png 이미지

Fig. 5-5, 5-6. Temporary cylinder를 고정한 의치상 레진의 중합이 완료되면 구강외로 꺼내어 조정을 시행한다.

HSMCB1_2018_v27n1_24_f0015.png 이미지

Fig. 6-1, 6-2, 6-3, 6-4. 수술 당일에 구강내에 연결된 temporary restoration의 모습이다.

HSMCB1_2018_v27n1_24_f0016.png 이미지

Fig. 7-1, 7-2. 수술 후 temporary restoration이 임플란트에 잘 체결되었는지 방사선사진을 찍어 반드시 확인해보도록 한다.

HSMCB1_2018_v27n1_24_f0017.png 이미지

Fig. 8-1, 8-2. 예비인상에서 제작한 모형에서 impression coping을 연결하여 미리 pattern resin을 이용하여 연결해 보고, 필요하면 미리 disc를 이용하여 분리해 놓는다. 또한 최종인상을 위한 개인트레이도 제작해 놓는다.

HSMCB1_2018_v27n1_24_f0018.png 이미지

Fig. 8-3, 8-4. 미리 준비한 impression coping을 구강내에 연결하여 보고 필요에 따라 분리하기도 한다. 모두 연결할 시에 착탈이 잘 되지 않는 경우도 종종 생긴다.

HSMCB1_2018_v27n1_24_f0019.png 이미지

Fig. 8-5, 8-6. 최종인상을 채득한 모습이다. 경우에 따라 plastic stock tray를 간혹 쓰기도 한다.

HSMCB1_2018_v27n1_24_f0020.png 이미지

Fig. 9-1, 9-2. 최종인상 후 제작된 상하악 모형이다.

HSMCB1_2018_v27n1_24_f0021.png 이미지

Fig. 11-1, 11-2. Metal-framework의 파절이 빈번이 일어난다.

HSMCB1_2018_v27n1_24_f0022.png 이미지

Fig. 11-3, 11-4. 의치상 레진과 하부의 metal-framework이 분리되거나 파절이 되기도 한다.

HSMCB1_2018_v27n1_24_f0023.png 이미지

Fig. 12-1, 12-2. Metal-framework의 단면이 “L” 형태가 되도록 디자인하고, 의치상 레진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작은 크기의 bead보다는 nail head 형태의 유지형태를 주도록 한다.

HSMCB1_2018_v27n1_24_f0024.png 이미지

Fig. 13-1, 13-2. Putty를 이용하여 치아의 확정된 위치를 인기하도록 한다.

HSMCB1_2018_v27n1_24_f0025.png 이미지

Fig. 13-3, 13-4. 계획했던 방법으로 metal-framework을 주조한다.

HSMCB1_2018_v27n1_24_f0026.png 이미지

Fig. 13-5, 13-6. 이전에 인기해 놓았던 putty index를 이용하여 레진치아를 다시 위치시키고, 의치상 레진을 중합한다.

HSMCB1_2018_v27n1_24_f0027.png 이미지

Fig. 13-7, 13-8. 완성된 보철물의 사진이다.

HSMCB1_2018_v27n1_24_f0028.png 이미지

Fig. 14-1, 14-2, 14-3. 구강내에 위치된 fixed hybrid prosthesis의 모습이다.

HSMCB1_2018_v27n1_24_f0029.png 이미지

Fig. 14-4, 14-5, 14-6, 14-7. 최종보철물이 임플란트와 잘 체결되었는지 방사선사진을 통해 반드시 확인하도록 한다.

HSMCB1_2018_v27n1_24_f0030.png 이미지

Fig. 15-4. 클로로헥시딘을 적신 거즈를 풀어 distal cantilever 하방을 쉽게 닦을 수 있다.

HSMCB1_2018_v27n1_24_f0031.png 이미지

Fig. 15-5, 15-6. 임플란트 사이는 치간치솔을 이용하여 닦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미리 framework 하방에 groove를 형성해 놓으면 좋다.

References

  1. Drago C, Howell K. Concepts for designing and fabricating metal implant frameworks for hybrid implant prostheses. J Prosthodont. 2012 Jul;21(5):413-24. https://doi.org/10.1111/j.1532-849X.2012.00835.x
  2. Drago C, Gurney L. Maintenance of Implant hybrid prostheses: Clinical and laboratory procedures. J Prosthodont. 2013 Jan;22(1):28-35. https://doi.org/10.1111/j.1532-849X.2012.00899.x
  3. Adell R. Eriksson B. Lekholm U. Branemark P I. Jemt T. Long-term follow-up study of osseointegrated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totally edentulous jaw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0 Winter;5(4):347-59.
  4. Takahashi T, Shimamura I, Sakurai K. Influence of number and inclination angle of implants on stess distribution in mandibular cortical bone with All-on-4 Concept. J Prosthodont Res. 2010 Oct;54(4):179-84. https://doi.org/10.1016/j.jpor.2010.04.004
  5. Malo P, de Araujo Nobre M, Lopes A, Ferro A, Gravito I. All-on-4 treatment concept for the rehabilitation of the completely edentulous mandible: A 7-year clinical and 5-year radiographic retrospective case series with risk assessment for implant failure and marginal bone level. Clin Implant Dent Relat Res. 2015 Oct;17 Suppl 2:e531-41. https://doi.org/10.1111/cid.12282
  6. Tallarico M, Canullo L, Pisano M, Penarrocha-Oltra D, Penarrocha-Diago M, Meloni SM. An up to 7-year retrospective analysis of biologic and technical complication with the All-on-4 concept. J Oral Implantol. 2016 Jun;42(3):265-71. https://doi.org/10.1563/aaid-joi-D-15-00098
  7. Ayna M, Gulses A, Acil Y. Comprehensive comparison of the 5-year results of All-on-4 mandibular implant systems with acrylic and ceramic suprastructures. J Oral Implantol. 2015 Dec;41(6):675-83. https://doi.org/10.1563/AAID-JOI-D-14-00016
  8. Apostolakis D, Brown JE. The anterior loop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prevalence, measurement of its length and recommendation for interforaminal implant installation based on cone beam CT imaging. Clin Oral Implants Res. 2012 Sep;23(9):1022-30. https://doi.org/10.1111/j.1600-0501.2011.0226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