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공공의료기관 간호사의 병동과 병동 외 구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피로

Job Stress and Fatigue between Ward Nurses and Non-ward Nurses in Public Medical Institution, Seoul

  • Lee, Hyun-Ju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in Jungwon University)
  • 투고 : 2018.02.27
  • 심사 : 2018.04.25
  • 발행 : 2018.04.30

초록

Objectives: Th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job stress and fatigue conditions by dividing nurses in a polyclinic-level public medical institution, Seoul with more than 600 beds into ward nurses and non-ward nurses and to comprehend sub-areas of job stress that affect fatigue.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8 2014 to September 12 2014, so 216 cases were analyzed by using PASW statistics 18.0. Results: Job stress of ward nurses is significantly high in the psychological burden of nursing service area and medical limit. Fatigue of ward nurses is also higher. As a result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nursing service area affects fatigue of ward nurses and there is no significant influence factors in non-ward nurses. Conclusion: Therefore, mental health education and interest of hospital in nursing service area are more needed for ward nurses with high job stress and fatigue among nurse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미숙, 최은희, 최경옥. 외국인 환자 입원병동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 자기효능감, 직무 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 임상간호연구 2016;22(1):68-77. https://doi.org/10.22650/JKCNR.2016.22.1.68
  2. 김미나, 황경혜, 조옥희. 병원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 피로가 간호전문직 태도에 미치는 영향. 2016 한국간호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연제집. 한국간호과학회, 2016년 10월.
  3. 김승연, 박유진, 이윤석. 실습선 승선기간에 의한 승선 집단별 피로도 분석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지 2016;22(2):160-166. https://doi.org/10.7837/kosomes.2016.22.2.160
  4. 김주이, 이태화. 간호근무환경,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이 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2016;22(2):109-117. https://doi.org/10.22650/JKCNR.2016.22.2.109
  5. 나병진, 김은정.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직장-가정 갈등의 매개 및 조절효과. 간호행정학회지 2016;22(3):260-269.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3.260
  6. 류은진, 최소은.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공감피로, 직무 스트레스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17;26(2):65-73. https://doi.org/10.5807/kjohn.2017.26.2.65
  7. 문선정, 가경환, 구인영, 김은희. 일부 농어촌지역 교육기관 종사자들의 피로도에 따른 생활습관행태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서연구 2016:28(3):127-143.
  8. 문인오, 이윤주.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 신체적 건강상태와 부적 정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여성학연구 2015;25(3):45-68.
  9. 박안숙, 손미경, 조영채. 대학병원 병동 및 수술실 근무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피로수준에 관련된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3년; 14(4):1781-1791. https://doi.org/10.5762/KAIS.2013.14.4.1781
  10. 박은아, 박정연. 신생아실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도의 관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11;20(3):261-269. https://doi.org/10.5807/kjohn.2011.20.3.261
  11. 보건복지부. 법률 제 13658호 의료법 제 4조의 2(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공 등): 보건복지부, 2015.
  12. 신미경, 강현임.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간호행정학회지 2011;17(2):158-167.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2.158
  13. 이인희, 이미희, 임정아, 배경의. 임상간호사의 가족지지도가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건강학회지 2016;19(1):1-8.
  14. 이현주.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에듀팩토리, 2017.
  15. 이현주. 의무복무 중인 현역병의 비만도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2013;38(1):54-65.
  16. 전병록, 이현주. 근무지별 철도 전기 및 차량분야 종사자들의 스트레스에 대한 융복합적 관련 요인 비교. 디지털융복합연구 2016;14(4):337-347. https://doi.org/10.14400/JDC.2016.14.4.337
  17. 정종희, 강희영.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3:13(12):291-298.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291
  18. 조영혜 외 9명. 일개 공공병원 종사자의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과 기능수행에 대한 조사연구. 농촌의학.지역보건 2012;37(2):67-75.
  19. 조호진, 정면숙. 종양간호사의 공감, 자아탄력성, 자기관리가 공감피로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014;20(4):373-382.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4.373
  20. 최희강, 박지선, 박미정, 박보배, 김예슬. 어린이병원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 간의 관계. 한국아동간호학회 2017;23(4):459-469.
  21. 홍준현, 부유경. 의무기록정보관리학. 고문사. 2015.
  22. Medipana. Integrated Nursing and Caring Service. http://www.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193529&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2017.
  23. Spotnews. Cause of death of newborn baby in the newborn intensive care unit. http://www.dailian.co.kr/news/view/686367.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