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f Wooden Chukmok and Chukdu Used for East Asian Mounting

동양 장황에 사용된 축목과 축두에 관한 연구

  • Jang, Yeonhee (Curatorial Affairs Division, Jeonju National Museum)
  • 장연희 (국립전주박물관 학예연구실)
  • Received : 2018.03.12
  • Accepted : 2018.05.04
  • Published : 2018.05.31

Abstract

Hanging scrolls and handscrolls are common mounting for East Asian painting and calligraphy in which wooden Chukmok with Chukdu of various materials are attached either at the top and bottom or at each side of a work. Hanging scroll paintings or calligraphy can be hung for appreciation and rolled up for preservation. The Chukmok and Chukdu of a hanging scroll were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nd were known by distinct names in Korea, China, and Japan. In Korea, the wooden Chukmok were called sanghachukhoengmok(上下軸橫木), which means horizontal wooden bars for the top and bottom axes. The wooden Chukdu were called Chukdu(軸頭), meaning the head of an axis. These Chukmok and Chukdu were made of Korean red pine, nut pine, or shiny xylosma. In China, the rod was called zhougan(軸杆) and zhoutou(軸頭), and they were made of Japanese cedar, sappan wood, or red sandalwood. In Japan, the top rod was called hassou(八双; 八裝) and the bottom jikugi(軸木), and they were made of Japanese cedar, red sandalwood, or crystal. In Korean hanging scrolls, the cross section of a Chukdu is either flat or round, and it can be either patterned or patternless. The designs include concentric circles, two circles, and three circles. Among the portraits of meritorious subjects analyzed in this study, three examples feature concentric circles on Chukdu with a flat cross section, which coincides with most of the king's instructions housed at the Jangseogak Archives. This suggests that flat Chukdu with a concentric circle pattern were used for binding most of the paintings of meritorious subjects commissioned by the royal court.

서화의 장황(粧䌙) 형태 중 족자와 두루마리는 상·하 또는 좌·우 끝에 축목(軸木)과 축두(軸頭)를 장착하여 걸어서 감상하고, 말아서 보관하게 된다. 축목과 축두는 한·중·일 각각 다양한 용어와 재료를 사용하였다. 한국의 축목은 상하축횡목, 축두는 축두로 지칭하며 재료는 소나무, 잣나무, 산유자나무 등이 사용되었다. 중국은 축목을 축간, 축두는 축두라 지칭하며 삼나무, 홍목, 자단 등으로 제작되었다. 일본은 상축을 팔쌍, 팔장, 하축은 축목이라 하고 삼나무, 자단, 수정 등이 사용되었다. 한국의 축두 형태는 끝 단면의 문양에 따라 문양이 없는 무문과 문양이 있는 유문으로 크게 대별된다. 무문은 단면이 평평한 평두와 둥근 둔두로, 유문은 동심원형과 쌍원형, 삼원형으로 나뉜다. 특히 공신도상 3점이 평두의 동심원형으로 장서각에서 소장된 대다수의 교서와 형태가 같다. 그 결과 왕실에서 제작된 공신관련 장황에 사용된 축두가 대부분 평두의 동심원형이 사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윤기범, 조선후기 의궤에 기록된 서화류 장황에 사용된 목재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문화재보존학과, 석사학위논문, p3-41, (2013).
  2. 부동광, 청대 궁정宮廷의 서화 장황 예술, p10-48, 동아시아 종이문화재보존심포지엄, 경기, (2008).
  3. 박지선, 유물과 기록을 통해 본 조선의 장황, p100-160, 동아시아 종이문화재보존심포지엄, 경기, (2008).
  4. 이진희, 조선시대 장황 용어와 관련 기록, 장서각 제23집, p117-149, (2010).
  5. 靑木 淑江 외, 日本画用語事典, p123-186, 東京美術, 東京, (2012).
  6. 荒井 経 외, 日本画の傳統と継承, p84-120, 東京美術, 東京, (2012).
  7. 장 연희 외, 조선시대 족자 장황에 사용된 고리의 재료 및 제작기법 연구, 박물관보존과학 16, (2015).
  8. 김나형, 조선시대 공신교서 장황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문화재보존학과, 석사학위논문, p90-130, (2012).
  9. 박지선, 경기도박물관 소장-포은 정몽주 초상의 제작과 보존에 관한 소고, 초상-영원을 그리다, p164-175, 경기도박물관, 경기, (2008).
  10. 외규장각의궤 학술총서2, 외규장각의궤의 장황(粧潢) , p13-87,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