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some Misconceptions in the Statistics and Probability

예비 수학교사의 통계와 확률론에서의 몇 가지 오개념

  • Received : 2018.11.28
  • Accepted : 2018.12.12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should prepare for the teaching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school mathematics and to help improve teacher education. To do this, questionnaires and evaluation of probabilistic and statistical curriculum were conducted for pre-service teachers, and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between them were examined. Through the investigation, the items with low evaluation results due to level of difficulty were extra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first, it is necessary to teach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ith link the contents curriculum of college and secondary school about probability and statistics. Second, accurate diagnosi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is needed. Third, the misconceptions and cause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ere analyzed in detail. And suggests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related to this are needed.

본 연구는 예비 수학교사들이 학교수학에서 확률과 통계 교수를 위해 어떠한 준비를 해야 하는지를 알아보고 교사교육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확률과 통계학 교육과정의 설문과 평가를 실시하고 이들 간의 회귀분석과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조사를 통해 난이도에 비해 평가 결과가 낮게 나타난 문항을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확률과 통계에 대한 중등 학교수학과 대학수학의 내용체계를 연계하여 예비 수학교사들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비 수학교사들의 확률과 통계 교과목 이해 정도의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셋째, 예비 수학교사들이 가진 오개념과 그 원인의 다양함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2. 교육부 (2015b).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2015-2019).
  3. 김원경, 문소영, 변지영 (2006). 수학교사의 확률과 통계에 대한 지식과 신념. 시리즈A, 45(4), 381-406.
  4. 김창일, 전영주 (2017). 수학과 중등임용 확률과 통계 기출문항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4), 387-404.
  5. 이강섭 (2003). 중등 교사 양성을 위한 확률과 통계 영역의 교육과정 개발. 시리즈A, 42(4), 561-577.
  6. 이종학 (2011). 예비 교사의 통계적 추론 능력에 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4), 299-327.
  7. 최지선 (2014). 확률변수 개념에 대한 예비교사의 이해. <학교수학>, 16(1), 19-37.
  8. 한가희, 전영주 (2018). 통계적 추정에 관한 예비 수학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의 오개념 비교.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1(3), 247-266. https://doi.org/10.30807/ksms.2018.21.3.003
  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2009학년도 개편 중등교사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 표시과목 수학의 교사 자격 기준 개발과 평가영역 상세화 및 수업 능력 평가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도 CRE 2008-6-2.
  10. Chesler, J. (2015). Reading the News: The Statistical Preparation of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Issues in the Undergraduate Mathematics Preparation of School Teachers, Vol 1, 1-11.
  11. McLoughlin, M. P. M. M. (2008). A Modified Moore Approach to Teaching Mathematical Statistics: An Inquiry Based Learning Technique to Teaching Mathematical Statistic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Denver, Co.
  12.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13. Nguyen, H., & Eisenreich, H. (2018). Using School Choice to Connect to Mathematics Learning in a Statistics and Probability Course for K-8 Pre-service Teachers. Georgia Educational Researcher, Vol 15, 1-15.
  14. Stanford Univ., CA. (1962). Study Guides In Mathematics: Algebra, Geometry, Number Theory, Probability, and Statistics. School Mathematics Study Group.
  15. Watson, Jane M. (2013). 학교에서 어떤 통계를 배워야 하지? 통계적 소양의 성장과 목표 (박영희 역). 서울: 경문사. (원저 2006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