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overnment's Crisis Communication based on the Main Theme, Source, Crisis Responsibility, Frame Analysis and the Network Analysis on the Side Effects of Drug of the Press

정부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연구: 의약품 부작용 관련 언론 보도에 나타난 주요 주제, 정보원, 위기 책임 귀인, 프레임 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홍주현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 차희원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 학부)
  • Received : 2018.02.08
  • Accepted : 2018.03.26
  • Published : 2018.04.28

Abstract

The side effects of drug is closely linked to the people's health and professional. In this case, press report is very important in evaluating the side effects of drug and people's attitude of government's health policy. This study analyzed press report on the side effects of drug based on the main theme, source, responsibility attribution on crisis, frame and network analysis. Theses is a difference of main theme between the press. Daily newspaper focused on the occurrence of crisis and economical newspaper focused on the manufacture company. Professional paper focused on the criticizing of the health policy. The main source of the press on the side effects of drug is the Congressman. There are few articles which mentions about the crisis responsibility. However most articles mentioned that the subject of crisis solutions is the manufacturer. This study found the main meaning by network analysis. This study highlighted the government's crisis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의약품 부작용과 같이 국민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전문적인 이슈의 경우 언론 보도는 국민들의 위기 대응과 정부의 위기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 연구는 의약품 부작용과 관련된 언론 보도를 주요 주제, 정보원, 위기 책임 귀인, 프레임을 분석하고 언론의 주목을 받은 의약품 부작용보도에 대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해 정부의 위기관리 방안을 제시했다. 일간지, 경제지, 전문지의 보도에 차이가 있었는데, 일간지는 부작용 발생과 같은 위기 발생을 중심으로, 경제지는 제약업계 관련된 기사를, 전문지는 의약품 정책을 비판하는 기사 중심으로 보도했다. 의약품 부작용과 관련된 주요 정보원은 국회의원이었다. 위기의 책임을 언급한 기사는 적었지만, 위기 해결의 주체에 대해서는 의약품을 생산한 업체가 해결해야 한다는 기사가 많았지만 전문지의 경우에는 정부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했다.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기사에서 중요하게 언급된 단어를 찾고, 단어와 단어의 관계 분석으로 기사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찾았다. 이 연구는 내용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의약품 부작용 기사를 분석하고 정부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공중별 정부의 위기 대응 방안을 고려해봤다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R. A. Edwards, "The Moderator as an Emerging Democratic Intermediary: The Role of the Moderator in Internet Discussions about Public Issues," Information Policy, Vol.7, No.1, pp.3-20, 2002.
  2. W. T. Coombs, "Protecting organization reputations during a crisi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Corporate Reputation Review, Vol.10, No.3, pp.163-176, 2007. https://doi.org/10.1057/palgrave.crr.1550049
  3. 김지윤, 성민정, "위기 이력이 언론의 위기 보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식품 안전사고의 보도 프레임을 중심으로," 광고학 연구, 제21권, 제6호, pp.131-158, 2010.
  4. K. Hallahan, "Seven Models of Fraiming: Implications for Public Relations,"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Vol.11, No.3, pp.205-242, 1999. https://doi.org/10.1207/s1532754xjprr1103_02
  5. F. F. Suarez, "Network Effects Revised: The Role of Strong Ties in Technology Selec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8, No.4, pp.710-720, 2005. https://doi.org/10.5465/amj.2005.17843947
  6. M. E. McCombs and D. L. Shaw, "The Evolution of Agenda Setting Research: Twenty Five Years in the Marketplace of Ideas," J. of Communication, Vol.43, No.2, pp.58-67, 1993.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3.tb01262.x
  7. R. M. Entmann and A. Rojecki, "Freezing out the public: Elite and media framing of the U.S. anti-nuclear movement," Political Communication, Vol.10, pp.155-173, 1993. https://doi.org/10.1080/10584609.1993.9962973
  8. D. A. Scheufele and D. Tewksbury, "Framing, Agenda Setting, and Priming: The Evolution of Three Media Effects Model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7, No.1, pp.9-20, 2007.
  9. W. A. Gamson, D. Croteau, W. Hoynes, and T. Sasson, "Media Images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18, pp.373-398, 1992. https://doi.org/10.1146/annurev.so.18.080192.002105
  10. 박대민, "뉴스 정보원 이용에서의 폭발성과 언론의 편향성," 커뮤니케이션이론, 제10권, 제1호, pp.295-324, 2014.
  11. 최윤형, 신경아, "식품위기 위험 보도의 특징 분석 : 멜라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4권, 제2호, pp.207-241, 2012.
  12. 김성용, 오세준,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언론의 보도 프레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221-230,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221
  13. 남일우, "한류보도와 문화홍보: 독일 언론의 한류보도 프레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7권, 제8호, pp.312-324,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8.312
  14. P. Shoemaker and P. Reese, Mediating the Message in the 21st Century, NY: Routledge, 2014.
  15. 이미나, 홍주현, "기업의 위기 대응 전략에 따른 공중의 반응 분석: 트위터 상의 이슈확산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홍보학 연구, 제18권, 제4호, pp.30-61, 2014.
  16. 유승희, 차희원, "위기책임성, 명성위기유형, 위기대응전략이 메시지효과와 기업명성에 미치는 영향:정서의 매개효과," 광고학 연구, 제26권, 제7호, 2015.
  17. 이준희, 차희원, "이슈 소유권, 위기책임성인식, 그리고 대응전략 제시순서에 따른 정서와 위기커뮤니케이션 효과,"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4호, 2014.